Kim Da-mi '백번의 추억'(A Hundred Memories) 로 배우는 한국어 (Korean) vol.38 : -'이/가 지나야 (-(i)/ga jinaya)'
K-드라마 '백번의 추억'
'실종'과 '후회'
Learning Korean with K-Drama: 'Disappearance', 'Regret', and 'Should Have'
안녕하세요! 청춘 드라마 '백번의 추억' 10회 선공개 장면을 통해 긴박한 상황에서 사용하는 실용 한국어 표현을 배워볼게요. **허남준**에게 닥친 위기로 인해 주변 인물들이 **울고불고**하며 걱정하는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특히 자신의 행동을 후회하는 **'-ㄹ/을 걸'**과 같은 문법을 통해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마스터해봐요! 영상을 먼저 보시죠.
Hello! Let's learn practical Korean expressions used in urgent situations through the pre-released scene of Episode 10 of the youth drama 'A Hundred Times Memories'. The video shows characters **crying and sobbing (ulgobulgo)** due to the crisis facing **Heo Nam-jun**. Let's master how to express emotions using grammar like **'-l/eul geol'**, which conveys regret about one's past actions! Watch the video first.
선행 학습: 꼭 알아야 할 한국어
Pre-learning: Essential Korean
본격적인 내용에 앞서, 영상에 나오는 주요 어휘와 문법 표현을 미리 배워두면 훨씬 더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습니다!
Before we dive in, pre-learning the key vocabulary and grammar expressions from the video will make your study more effective and enjoyable!
실종 (失踪)
발음: [siljong]
의미: '잃을 실(失)', '발자취 종(踪)'으로, 간 곳이나 종적이 사라짐을 뜻합니다. 사람에게 사용하여 행방불명과 같은 의미입니다. 'disappearance', 'missing'의 의미입니다.
예시: 경찰은 어제 접수된 실종 신고를 바탕으로 수색을 시작했어요. (The police began searching based on the **missing person** report filed yesterday.)
울고불고
발음: [ulgobulgo]
의미: 몹시 서럽거나 간절해서 크게 울며 떼쓰는 모양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고불고'가 반복되어 극적인 감정을 나타냅니다. 'crying and sobbing loudly', 'begging tearfully'의 의미입니다.
예시: 아이가 장난감을 사 달라고 울고불고 난리가 났어요. (The child was **crying and sobbing** desperately, demanding to buy the toy.)
성인 (成人)
발음: [seongin]
의미: '이룰 성(成)', '사람 인(人)'으로, 다 자라서 어른이 된 사람을 이릅니다. 책임감이 따르는 나이를 의미합니다. 'adult', 'grown-up'의 의미입니다.
예시: 성인이 되면 자신의 행동에 책임을 져야 합니다. (When you become an **adult**, you must take responsibility for your actions.)
-ㄹ/을 걸 (-(l/eul) geol)
발음: [-l/eul geol]
의미: 과거에 하지 않은 일에 대해 **후회**하거나 아쉬워하는 감정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입니다. 구어체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I should have...', 'I wish I had...'의 의미를 가집니다.
예시: 아우 그냥 내가 옆에 있을 걸. (Oh, I **should have been** by his side.)
-이/가 지나야 (-(i)/ga jinaya)
발음: [-i/ga jinaya]
의미: **시간적 조건**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앞선 시간이 경과해야만 뒤따르는 행위나 상황이 가능함을 나타냅니다. 'only after... passes/goes by'의 의미입니다.
예시: 24시간이 지나야 실종 신고를 할 수 있대요. (They say you can only file a missing person report **after 24 hours pass**.)
-는대요/-(이)래요 (-(neu)ndaeyo/-(i)raeyo)
발음: [-neundaeyo/-iraeyo]
의미: 다른 사람으로부터 들은 내용을 청자에게 전달하는 **간접 인용** 표현입니다.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되며, 'I heard that...', 'They said that...'의 의미입니다.
예시: 세리 아버지가 사라지셨대요. (They said that Se-ri's father **disappeared**.)
연습 문제
Practice Exercises
배운 어휘와 문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풀어보세요! (Try solving the problems us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you've learned!)
문제 1: 문법 완성하기 (Grammar Completion)
다음 문장의 빈칸에 가장 적절한 문법 표현을 넣어 완성하세요. (Fill in the blanks with the most appropriate grammatical expression.)
공부 좀 열심히 할 (__________). 시험을 망쳤어요. (공부 좀 열심히 할 걸)
문제 2: 어휘 이해하기 (Vocabulary Comprehension)
다음 문장을 읽고 '성인'의 의미와 가장 유사한 단어를 고르세요. (Read the sentence and choose the word most similar to the meaning of '성인'.)
"경찰서에서는 성인이라서 24시간이 지나야지 실종 신고를 할 수 있대." (At the police station, they said a missing person report for an adult can only be filed after 24 hours.)
i. 미성년자 (Minor) / ii. 어른 (Adult) / iii. 학생 (Student)
정답: ii. 어른
K-드라마 대화 속 숨은 한국어
Hidden Korean in K-Drama Dialogue
이번 영상은 세리 아버지가 **실종**되면서 발생하는 **긴급한 상황**을 다룹니다. 주인공들은 경찰이 **'성인이라서 24시간이 지나야지 실종 신고를 할 수 있대요' [00:00:54]**라는 말을 전달하며 '-는대요' 문법을 사용합니다. 특히 **'아우 그냥 내가 옆에 있을 걸' [00:01:13]**이라는 표현은 상황에 대한 **후회와 자책감**을 매우 구어적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This video deals with the **urgent situation** caused by Se-ri's father's **disappearance (siljong)**. The characters use the '-neundaeyo' grammar pattern to convey the police's statement: **'They said that a missing person report for an adult can only be filed after 24 hours pass' [00:00:54]**. Notably, the expression **'Aww, I should have just been by his side' [00:01:13]** conveys **regret and self-reproach** colloquially.
함께 읽기: K-드라마 스물다섯 스물하나 (12) TOPIK
💡 오늘의 팁 | Today's Tip
**'-ㄹ/을 걸'** 문법은 '나가지 말걸'처럼 **'말다'**와 결합하여 **후회의 감정**을 강조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 이 표현은 일상 대화나 드라마에서 자신의 결정에 대한 아쉬움을 표현할 때 자연스럽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The grammar pattern **'-l/eul geol'** is particularly useful when combined with **'malda'** (to stop/not do), such as in 'nagaji malgeol' (I shouldn't have gone out), to emphasize the feeling of **regret**. This expression is naturally used in daily conversations or dramas to express disappointment about one's own decisions.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Recommended Articles
아래 링크를 통해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다른 글들도 함께 만나보세요.
Check out other articles below that will help you with your Korean language learning.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