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60_DAY29 : 유추하다, 짐작하다, ~(으)면
Day 29: 어려운 표현 유추 & 누적 복습
TOPIK 2급안녕하세요! 29일차 학습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오늘은 어려운 한국어 표현을 문맥 속에서 유추하는 연습과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총정리하는 누적 복습을 진행할 거예요.
Hello! Welcome to Day 29 of your Korean learning journey. Today, we'll practice inferring the meaning of difficult Korean expressions within context and conduct a cumulative review of everything we've learned so far.

📚 오늘의 대화 (Today's Dialogue)
친구 마이크와 그레이스가 한국어 공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어요. (Mike and Grace are talking about studying Korean.)
그레이스, 요즘 한국어 공부는 좀 어때? 읽기 지문이 너무 길어서 힘들지 않아?
Grace, how's your Korean study going these days? Aren't the reading passages too long and difficult?
응, 마이크. 특히 기사 같은 지문은 낯선 표현이 많아서 읽기가 좀 버겁더라고.
Yeah, Mike. Especially articles, there are many unfamiliar expressions so reading them is a bit overwhelming.
맞아. 나도 처음에는 그랬어. 그런데 자꾸 읽다 보면 문맥으로 뜻을 짐작하게 되더라.
Right. I was like that at first too. But if you keep reading, you start to guess the meaning from the context.
아, 문맥으로 유추하는 연습 말하는 거지? 그게 쉽지 않던데…
Ah, you mean practicing inferring from context? That's not easy...
응. 그리고 내가 이해한 게 맞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해. 예를 들어, 모르는 단어가 나와도 그냥 넘기지 않고, 전체 흐름을 보면서 의미를 떠올려보는 거야.
Yeah. And it's important to check if what you understood is correct. For example, even if an unknown word appears, don't just skip it, but try to recall its meaning by looking at the overall flow.
그렇구나. 그럼 읽는 양을 좀 늘려야겠다. 고마워, 마이크!
I see. Then I should increase the reading volume. Thanks, Mike!
한국어 쓰기 실력을 한 단계 더 올리고 싶다면 다음 글도 참고해 보세요. 쓰기 영역 고득점을 위한 필수 문장 패턴
🔑 핵심 어휘 (Core Vocabulary)
유추하다 (Yu-chu-ha-da): to infer, to deduce
어떤 사실이나 현상을 바탕으로 다른 사실이나 현상을 미루어 생각하다. (To think about another fact or phenomenon by deducing it based on a certain fact or phenomenon.)
• 나는 문맥을 통해 모르는 단어의 의미를 유추하려고 노력한다. (I try to infer the meaning of unknown words through the context.)
누적 (Nu-jeok): accumulation
자꾸 쌓여서 합해지는 것. (Something that keeps accumulating and adding up.)
• 매일 조금씩 공부하면 누적된 실력이 쌓일 것이다. (If you study little by little every day, your accumulated skills will build up.)
버겁다 (Beo-geop-da): to be overwhelming, to be too much
힘이나 능력이 모자라서 벅차다. (To be beyond one's strength or ability; to be overwhelming.)
• 이 많은 일들을 혼자 처리하기에는 너무 버겁다. (It’s too overwhelming to handle all these tasks alone.)
어려운 문장을 유추하는 능력은 한국어 실력의 핵심입니다. 더 깊이 있는 학습을 원하시면 아래 글도 읽어보세요. 한국어 실력 향상을 위한 통찰력
💡 핵심 문법 (Core Grammar)
1. -(으)면 (eu-myeon): If, when
어떤 조건이나 가정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Used to indicate a certain condition or assumption.)
• 날씨가 좋으면 공원에 갈 거예요. (If the weather is good, I will go to the park.)
• 열심히 공부하면 시험에 합격할 수 있어요. (If you study hard, you can pass the exam.)
2. -는 바람에 (neun ba-ram-e): Due to, as a result of
예상치 못한 부정적인 결과의 원인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Used to indicate the cause of an unexpected negative result.)
• 갑자기 비가 오는 바람에 옷이 다 젖었어요. (My clothes all got wet because it suddenly rained.)
• 늦잠을 자는 바람에 회사에 지각했어요. (I was late for work because I overslept.)
3. -는 통에 (neun tong-e): Due to, as a result of - often with a negative connotation
어떤 일이 계속되거나 혼란스러운 상황 때문에 부정적인 결과가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Used to indicate that a negative result occurred due to a continuous or chaotic situation.)
• 아이가 계속 우는 통에 아무 일도 할 수 없었어요. (I couldn't do anything because the child kept crying.)
• 차가 너무 막히는 통에 약속 시간에 늦었어요. (I was late for my appointment because of heavy traffic.)
TOPIK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면, 60일 코스의 첫걸음을 다시 돌아보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TOPIK 2급 60일 코스: Day 1✍️ 연습 문제 (Practice Problems)
1. 그가 오지 우리는 시작할 수 없었다. (Choose between '-는 바람에' or '-는 통에')
2. 매일 운동하면 건강해질 . (Use the correct grammar form of '-(으)면')
정답:
1. 않는 바람에 / 않아서 (더 자연스러운 표현)
2. 수 있어요.
오늘도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어려운 표현을 유추하고 누적 복습을 하는 과정은 한국어 실력을 탄탄하게 만들어 줄 거예요. 꾸준함이 중요하니, 복습을 생활화해 주세요!
You've worked really hard today too! The process of inferring difficult expressions and cumulative review will solidify your Korean skills. Consistency is key, so make review a habi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