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 writing type no.53! How to prepare?

토픽 쓰기 53번 완벽 공략: 최신 이슈 반영 예제와 풀이! | Mastering TOPIK Writing Q53: Examples & Solutions for Current Issues!

Practicing TOPIK Writing 53 with Current Social Issues

토픽 한국어

안녕하세요, 토픽 학습자 여러분!

Hello, TOPIK learners!

쓰기 영역, 특히 53번 문제 때문에 고민 많으시죠? 그래프나 표에 제시된 데이터를 정확히 읽고, 이를 바탕으로 논리적인 글을 작성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습니다.

Are you struggling with the writing section, especially Question 53? It's not easy to accurately read the data presented in graphs or tables and write a logical piece based on it.

하지만 53번 유형은 몇 가지 공식과 연습만 있다면 충분히 고득점을 노릴 수 있는 '전략적인' 문제입니다.

However, with a few formulas and practice, Question 53 is a 'strategic' problem where you can aim for a high score

자, 그럼 시작해 볼까요?

Well then, shall we begin?

토픽 쓰기 53번, 왜 중요할까요?

토픽 쓰기 53번은 주로 통계 자료(그래프, 표)나 조사 결과 등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변화 추이, 비교, 원인 및 결과 등을 설명하는 문제입니다.

TOPIK Writing Question 53 usually presents statistical data (graphs, tables) or survey results, and asks you to explain trends, comparisons, causes, and effects based on them.

200~300자 내외로 작성해야 하며, 데이터 해석 능력과 함께 이를 한국어로 정확하고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You need to write around 200-300 characters, and it evaluates your ability to interpret data and express it accurately and naturally in Korean.

54번 논술 문제보다 글자 수는 적지만, 정해진 형식과 표현을 잘 활용하면 비교적 안정적인 점수를 확보할 수 있는 유형입니다.

Although it has fewer characters than the essay-type Question 54, it's a type where you can secure relatively stable scores if you use the set formats and expressions well.

최신 이슈 반영 예제 문제: 인구 구조 변화

최근 한국 사회의 가장 큰 화두 중 하나는 '저출산 및 고령화'입니다. 이는 다양한 사회 문제의 원인이 되기도 하죠. 관련 데이터를 통해 53번 문제를 연습해 봅시다.

One of the biggest topics in Korean society recently is 'low fertility and aging'. This can also be the cause of various social problems. Let's practice Question 53 with related data.

문제: 다음 그래프를 보고 한국 사회의 인구 구조 변화에 대해 200~300자로 쓰시오.

[그래프 1] 합계출산율 변화 추이

합계출산율 (명)
1.47
2000
1.23
2010
0.84
2020
0.68
2024
연도 (Year)합계출산율 (명) (Total Fertility Rate (persons))
20001.47
20101.23
20200.84
20240.68 (잠정) (provisional)

[그래프 2]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 변화 추이

고령 인구 비율 (%)
7.2%
2000
11.0%
2010
15.7%
2020
20.1%
2024
연도 (Year)고령 인구 비율 (%) (Elderly Population Ratio (%))
20007.2
201011.0
202015.7
202420.1

단계별 풀이 전략

53번 문제는 정해진 틀에 맞춰 쓰는 연습을 하면 훨씬 수월합니다. 다음 단계를 따라 문제를 분석하고 글의 구조를 잡아보세요.

Question 53 becomes much easier if you practice writing according to a set framework. Follow the steps below to analyze the problem and structure your writing.

1단계: 그래프(표)의 제목과 단위 확인

Step 1: Check the title and units of the graph (table)

  • 무엇에 대한 그래프인가? (한국 사회 인구 구조 변화)
  • What is the graph about?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of Korean society)
  • 어떤 데이터를 보여주는가? (합계출산율, 고령 인구 비율)
  • What data does it show? (Total fertility rate, elderly population ratio)
  •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인가? (2000년부터 2024년까지)
  • Is it a change over time? (From 2000 to 2024)
  • 단위는 무엇인가? (명, %)
  • What are the units? (persons, %)

2단계: 핵심 데이터와 변화 추이 파악

Step 2: Identify key data and trends

  • 합계출산율: 2000년 1.47명 → 2024년 0.68명.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절반 이하로 크게 떨어졌습니다.
  • Total fertility rate: 1.47 persons in 2000 → 0.68 persons in 2024. It has continuously decreased, falling significantly to less than half.
  • 고령 인구 비율: 2000년 7.2% → 2024년 20.1%. 지속적으로 증가했습니다.
  • Elderly population ratio: 7.2% in 2000 → 20.1% in 2024. It has continuously increased.
  • 특징적인 수치: 고령 인구 비율이 7%를 넘으면 '고령화사회', 14%를 넘으면 '고령사회',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라고 합니다. 2024년에 20.1%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 Characteristic figures: An elderly population ratio over 7% is called an 'aging society', over 14% an 'aged society', and over 20% a 'super-aged society'. We can see that Korea entered a super-aged society in 2024 with 20.1%.

3단계: 데이터 간의 관계 및 원인/결과 추론

Step 3: Infer relationships between data and cause/effect

  • 합계출산율의 감소는 미래의 생산가능인구 감소로 이어집니다.
  • The decrease in the total fertility rate leads to a future decrease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 의학 발달 등으로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고령 인구는 증가합니다.
  •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s as average life expectancy extends due to medical advancements, etc.
  • 결론적으로, 출산율 감소와 수명 증가는 전체 인구에서 고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저출산이 고령화를 심화시키는 원인 중 하나임을 암시)
  • In conclusion, the decrease in fertility rate and increase in life expectancy result in a higher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the total population. (Implying that low fertility is one of the causes exacerbating aging)

4단계: 글의 개요 작성 (구조화)

Step 4: Outline the writing (Structuring)

일반적으로 53번 문제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작성합니다.

Generally, Question 53 is written in the following structure:

도입 (Introduction): 그래프(표)가 무엇에 대한 내용인지 간단히 소개한다. (~에 대한 그래프이다)

Briefly introduce what the graph (table) is about. (This is a graph about ~)

본론 1 (Body 1): 첫 번째 데이터(그래프 1)의 변화 추이를 구체적인 수치를 넣어 설명한다. (~은 ~에서 ~으로 (증가/감소)했다)

Explain the trend of the first data (Graph 1) with specific figures. (~ (increased/decreased) from ~ to ~)

본론 2 (Body 2): 두 번째 데이터(그래프 2)의 변화 추이를 설명하며, 첫 번째 데이터와의 관계를 언급할 수 있다. (반면, ~은 ~에서 ~으로 (증가/감소)했다. 이는...)

Explain the trend of the second data (Graph 2), and you can mention its relationship with the first data. (On the other hand, ~ (increased/decreased) from ~ to ~. This is because...)

결론 (Conclusion): 이러한 변화의 의미나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며 마무리한다. (이러한 결과는 ~을 보여준다 / ~으로 이어지고 있다)

Briefly present the meaning or results of these changes to conclude. (These results show ~ / are leading to ~)

5단계: 표현 활용 및 작성 (글자 수 유의)

Step 5: Utilize expressions and write (Mind the character count)

각 단계를 자연스러운 한국어 문장으로 연결하고, 53번 문제에 자주 사용되는 표현들을 활용합니다. (예: ~에 따르면, ~은/는 ~으로 나타났다, ~에서 ~으로 증가하다/감소하다, ~에 비해, 반면, 그 결과, 이는 ~때문으로 보인다 등) 200~300자라는 글자 수 제한을 항상 염두에 두고 간결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Connect each step with natural Korean sentences and use expressions frequently used in Question 53. (e.g., according to ~, ~ was shown as ~, increase/decrease from ~ to ~, compared to ~,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this seems to be because ~, etc.) Always keep the 200-300 character limit in mind and write concisely.

6단계: 퇴고

Step 6: Revise

작성한 글을 다시 읽어보며 오탈자, 문법 오류가 없는지 확인하고, 글자 수가 범위 안에 들어오는지 확인합니다. 내용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는지도 점검합니다.

Reread your writing to check for typos and grammatical errors, and ensure the character count is within the range. Also, check if the content flows naturally.

정답 예시

위 풀이 전략에 따라 작성한 예시 답안입니다. (약 250자 내외)

This is an example answer written according to the solution strategy above. (Around 250 characters)


위 그래프는 한국 사회의 인구 구조 변화를 보여준다. 먼저, 합계출산율은 2000년 1.47명에서 꾸준히 감소하여 2024년에는 0.68명으로 크게 떨어졌다. 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은 2000년 7.2%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4년에는 20.1%를 기록하였다. 이는 낮은 출산율과 기대 수명 증가로 인해 전체 인구에서 고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그 결과 한국 사회는 2024년에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The graph above shows the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of Korean society. First, the total fertility rate continuously decreased from 1.47 persons in 2000 to significantly drop to 0.68 persons in 2024.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aged 65 and over continuously increased from 7.2% in 2000 to reach 20.1% in 2024. This indicates that the phenomenon of the elderly population's proportion increasing in the total population due to low fertility rates and increased life expectancy is intensifying. As a result, Korean society entered a super-aged society in 2024.

53번 공략을 위한 추가 팁

자주 나오는 표현 암기 (Memorize frequently used expressions): '증가하다', '감소하다', '늘어나다', '줄어들다', '달하다', '기록하다', '~에 따르면', '~에 비해', '반면', '이는 ~때문으로 보인다' 등 변화와 비교를 나타내는 표현들을 익혀두세요.

Familiarize yourself with expressions indicating change and comparison, such as 'increase', 'decrease', 'grow', 'shrink', 'reach', 'record', 'according to ~', 'compared to ~', 'on the other hand', 'this seems to be because ~'.

다양한 주제 연습 (Practice various topics): 인구, 환경, 경제, 사회생활, 기술 변화 등 53번 문제에 나올 만한 다양한 주제의 그래프나 표를 찾아보고 스스로 설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Find graphs or tables on various topics likely to appear in Question 53, such as population, environment, economy, social life, technological changes, and practice explaining them yourself.

간결하게 핵심만 (Be concise and to the point): 정해진 글자 수 안에 데이터를 정확히 전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불필요한 미사여구나 개인적인 의견은 넣지 않습니다.

It's important to accurately convey the data within the given character limit. Do not include unnecessary embellishments or personal opinions.

시간 관리 (Time management): 53번 문제에 너무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도록 연습해야 합니다. 보통 15분~20분 내외로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세요.

You should practice not spending too much time on Question 53. Aim to write it within about 15-20 minutes.

토픽 쓰기 53번은 데이터를 읽고 쓰는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최신 사회적 이슈를 반영한 데이터를 통해 연습하면 실제 시험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잘 대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 배운 내용들을 바탕으로 꾸준히 연습하셔서 꼭 좋은 결과를 얻으시길 바랍니다!

TOPIK Writing Question 53 is an important question that assesses your ability to read and write data. Practicing with data reflecting current social issues will help you handle the actual exam without panicking. I hope you achieve great results by consistently practicing based on what you learned today!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K-Drama 🏋️힘쎈 여자 도봉순으로 배우는 한국어(1) 힘쎈 여자! Learn Korean with Strong Woman Do Bong Soon

K-drama 'Be Melodramatic 👩‍❤️‍👨(멜로가 체질) ' 로 배우는 한국어(10) : ~ㄹ 때가 되다', '~는 것 같다

How to Dramatically Advance Your Business Korean Proficiency② 판매, 인플루언서, 도달, 핫스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