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This blog introduces important keywords strategical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xam or Korean business.
이 블로그는 한국어 시험이나 한국어 비즈니스에 전략적으로 쓰이고 중요한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그는 여성도 기술 분야에서 성공할 수 있다는 편견의 틀을 깨다.
He broke the prejudice that women cannot succeed in the tech field.
우리 회사는 학력 위주의 채용 방식이라는 편견의 틀을 깨고 능력 중심의 인재를 뽑기로 했습니다.
Our company decided to break the stereotype of a merit-based hiring system and hire based on ability instead.
이 영화는 코미디 영화는 깊이가 없다는 편견의 틀을 깨고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This movie broke the prejudice that comedy films lack depth and was recognized for its artistic quality.
단어분석
편견 (Pyeongyeon) : 한쪽으로 치우친 생각이나 견해 (A biased or one-sided thought or view, prejudice)
틀 (teul) : 사물을 만드는 일정한 형체나 모양 (A fixed form or shape for making something, mold)
깨다 (kkaeda) : 굳은 것을 쳐서 조각을 내거나 부수다 (To break a solid object into pieces, to break)
편견의 틀을 깨다 설명문단
'편견의 틀을 깨다'는 이미 굳어진 편견이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생각이나 행동을 보여주는 것을 의미하는 관용구입니다. 여기서 '틀'은 어떤 사물을 만드는 '형태'를 뜻하며, 편견이라는 정해진 틀을 깨부수고 나와야 한다는 비유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To break the mold of prejudice' is an idiom that means to break away from an established prejudice or stereotype and show new thoughts or actions. Here, 'mold' refers to a 'form' for making an object, carrying the metaphorical meaning of breaking out of the fixed mold of prejudice.
이 표현은 주로 사회적 고정관념, 직업에 대한 선입견, 성별에 따른 역할 등 사람들이 오랫동안 가지고 있던 잘못된 생각들을 바꾸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 표현을 사용하면 상대방에게 당신이 매우 진취적이고 개방적인 사람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This expression is mainly used when someone changes long-held misconceptions, such as social stereotypes, preconceived notions about jobs, or gender roles. Using this expression can give the impression that you are a very progressive and open-minded person.
**함께 보면 좋은 글**
**고급 한국어 숙어의 조건**
**고난도 TOPIK II 54번 태도 문제 분석**
**곧 사라질 직업과 유망한 직업**
어떻게 사용할까요? (How to Use?)
비즈니스 상황이나 고급 한국어 시험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표현들을 더 알아보세요.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 superrealkorean, All rights reserved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