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ller Korean in 60 Seconds: 공교육과 사교육 (Public vs. Private Education)
이 블로그는 한국어 시험이나 한국어 비즈니스에 전략적으로 쓰이고 중요한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This blog introduces strategic and essential keywords for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or Korean business.
공교육과 사교육
Gong-gyo-yuk-gwa sa-gyo-yuk
Public vs. Private Education
한국에서는 공교육과 사교육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논쟁이 끊이지 않습니다.
In Korea, debates about the roles and functions of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are ceaseless.
정부는 공교육의 질을 높여 사교육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겠다고 발표했습니다.
The government announced it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education to reduce reliance on private education.
대입 경쟁 때문에 공교육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인식이 팽배해져 사교육 시장이 커지고 있습니다.
Due to intense university entrance competition, the perception that public education alone is insufficient is widespread, and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is growing.
단어분석
공교육(公敎育) (Gong-gyo-yuk): '공공'의 '공(公)'과 '가르칠 교(敎)', '기른다 육(育)'이 합쳐진 단어.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말합니다.
(Gong-gyo-yuk) is a term combining 'gong' (公, public), 'gyo' (敎, to teach), and 'yuk' (育, to nurture). It refers to education provided by schools established by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s.
사교육(私敎育) (Sa-gyo-yuk): '사사로울 사(私)'와 '가르칠 교(敎)', '기른다 육(育)'이 합쳐진 단어. 공적 기관이 아닌 개인이 운영하는 학원이나 과외 등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을 말합니다.
(Sa-gyo-yuk) is a term combining 'sa' (私, private), 'gyo' (敎, to teach), and 'yuk' (育, to nurture). It refers to education provided by private entities like academies or tutors, not public institutions.
따라서 공교육과 사교육은 국가가 주도하는 교육과 개인이 주도하는 교육을 비교하고, 이 둘의 관계를 논할 때 사용하는 핵심적인 개념입니다.
Therefore,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is a core concept used to compare state-led education with individually-led education and discuss their relationship.
키워드 설명 문단
공교육과 사교육은 한국 사회의 교육 문제를 이해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키워드입니다. 일반적으로 '공교육'은 모든 학생에게 평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치열한 대학 입시 경쟁 때문에 '공교육'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인식이 강하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개인의 비용 부담으로 이루어지는 '사교육' 시장이 매우 발달했습니다. '공교육'의 정상화와 '사교육' 의존도 감소는 한국 사회의 오랜 숙제이자 주요 정책 목표이므로, 관련 논쟁이나 뉴스에서 이 키워드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are the most important keywords for understanding educational issues in Korean society. While 'public education' generally aims to provide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all students, there is a strong perception that it is insufficient due to fierce university entrance competition. This has led to the highly developed 'private education' market, which is supported by individual expenses.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and the reduction of reliance on 'private education' are long-standing challenges and major policy goals in Korean society, so you will frequently encounter this keyword in related debates and new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