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blog introduces important keywords strategical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xam or Korean business.
이 블로그는 한국어 시험이나 한국어 비즈니스에 전략적으로 쓰이고 중요한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우리나라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습니다.
Korea is on the verge of entering a super-aged society.
초고령사회의 도래는 사회 시스템 전반의 변화를 요구합니다.
The advent of a super-aged society requires changes throughout the entire social system.
초고령사회로 인해 노동력 부족 현상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Due to the super-aged society, the labor shortage phenomenon may worsen.
단어분석
초 (cho) : (접두사) 어떤 상태를 훨씬 뛰어넘거나 능가함 (prefix for 'super' or 'ultra')
고령 (goryeong) : 나이가 많은 것 (old age)
사회 (sahoe) : 사람들이 생활하는 조직적 공동체 (society)
초고령사회 설명문단
초고령사회는 한 국가의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20%를 넘는 사회를 의미합니다. UN의 분류에 따르면, 65세 이상 인구가 7%를 넘으면 '고령화사회', 14%를 넘으면 '고령사회', 그리고 20%를 넘으면 초고령사회로 구분됩니다.
A super-aged society is one where the population aged 65 and over exceeds 20% of the total population. According to the UN's classification, a society with over 7% of its population aged 65 and over is an 'aging society,' over 14% is an 'aged society,' and over 20% is a super-aged society.
한국은 빠른 속도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으며, 이는 저출산과 함께 사회 전반에 걸친 여러 문제를 야기합니다. 노동력 감소, 연금 및 의료비 부담 증가, 노인 복지 문제 등이 주요 이슈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Korea is rapidly entering a super-aged society, which, along with a low birth rate, causes various issues throughout society. A decrease in the labor force, an increase in pension and medical costs, and issues with elderly welfare are among the main topics being discussed.
어떻게 사용할까요? (How to Use?)
초고령사회와 관련된 다양한 사회적 현상과 한국어 표현을 더 깊이 알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