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ller Korean in 60 Seconds(+Topik focused) "뿌리째 뽑다' To Uproot, To Eradicate, To Root out
This blog introduces important keywords strategical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xam or Korean business.
이 블로그는 한국어 시험이나 한국어 비즈니스에 전략적으로 쓰이고 중요한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정부는 사회의 만연한 부정부패를 뿌리째 뽑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다.
The government expressed a strong will to root out deep-seated corruption completely from society.
해묵은 폐단을 뿌리째 뽑으려면 일시적인 처방이 아닌 근본적인 시스템 개혁이 필요하다.
To eradicate long-standing malpractices, fundamental system reform is needed, not just temporary measures.
농부들은 질긴 잡초를 뿌리째 뽑아 다시 자라지 못하도록 완전히 제거했다.
The farmers pulled out the tough weeds by the roots to prevent them from growing again.
단어분석
뿌리째 (Bbu-ri-jjae) : 명사 '뿌리'에 접미사 '-째'(그대로, 전부)가 붙어, '뿌리까지 함께'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Including the root, whole.)
뽑다 (ppop-da) : 박혀 있거나 묻혀 있는 것을 밖으로 나오게 하다. (To pull out, to draw out.)
즉, 문제의 **근원(뿌리)**까지 남김없이 **제거(뽑다)**하여 **완전히 없앤다(근절)**는 강력한 비유적 의미를 지닙니다.
이 표현은 다음과 같이 잘못 쓰이는 경우가 흔합니다.
✅ **올바른 표현:** 뿌리째 뽑다 (접미사 '-째' 사용, '뿌리째'와 '뽑다' 띄어 씀)
❌ **자주 틀리는 표현:** 뿌리뽑다 (붙여 쓰는 실수), 뿌리채 뽑다 (접미사 '-채'는 틀린 표기)
*단, '뿌리 뽑다'(띄어 씀) 역시 '근절하다'라는 뜻의 표준어입니다. 그러나 '뿌리까지 모두'라는 의미를 강조할 때는 '-째'를 붙인 '뿌리째 뽑다'가 더 적절합니다.
뿌리째 뽑다 설명문단
뿌리째 뽑다는 한국어에서 **'근절하다(根絶—)', '발본색원(拔本塞源)'**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는 관용 표현입니다. 단순한 문제 해결을 넘어, 그 문제가 발생하는 **근본 원인, 즉 '뿌리'**를 제거하여 재발을 막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담고 있습니다. 나무를 뿌리 없이 베어내면 다시 싹이 틀 수 있듯이, 사회적 폐단이나 악습 역시 그 근원을 남겨두면 다시 고개를 들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이 표현은 **개혁, 비리 척결, 시스템 개선** 등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한 주제에서 고급 어휘로 활용됩니다.
뿌리째 뽑다 (Bburijjae ppopda) is an idiom used in Korean with the same meaning as **'eradicate' or 'root out'**. It conveys a strong commitment to prevent recurrence by eliminating the **fundamental cause, or 'root'**, of a problem, going beyond mere troubleshooting. Just as a tree cut without its roots can sprout again, social malpractices or bad habits will re-emerge if their source is left untouched. Therefore, this expression is utilized as advanced vocabulary in deep discussions concerning **reform, corruption eradication, and system improvement**.
🔗 권한과 책임: 부패의 뿌리를 찾아서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이 표현은 특히 **부정부패**나 **구조적 불합리**와 같이 사회 깊숙이 박혀 있어 쉽게 사라지지 않는 문제들을 언급할 때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관행(慣行)'**이라는 이름으로 이어져 온 불법적인 행태를 비판하며 그 악습을 뿌리째 뽑아야 한다고 주장할 때 사용됩니다. 신문 사설, 정책 제언, 혹은 TOPIK 쓰기 시험에서 사회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해결 방안을 제시할 때 이 표현을 사용하면 글의 깊이와 설득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The word is particularly effective when referring to problems deeply embedded in society, such as **corruption** or **structural irrationality**, that do not easily disappear. For instance, it is used when criticizing illegal activities continued under the name of **'practice'** and arguing that such malpractices must be rooted out completely. Using this expression in newspaper editorials, policy proposals, or in the TOPIK writing section when presenting in-depth solutions to social issues can enhance the depth and persuasiveness of the writing.
🔗 TOPIK 쓰기 54번: 사회 문제 근절 방안 제시 (Essay Strategy)
관용적인 표현이기에, 그 대상은 반드시 **물리적인 뿌리**를 가진 식물일 필요는 없습니다. 대상이 **'관습', '악폐', '병폐', '나쁜 습관'** 등 추상적인 근원지여도 뿌리째 뽑다라는 표현을 사용하여 그 문제가 완전히 제거되어야 함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이는 문제를 표면적으로만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해결책**을 촉구하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As an idiomatic expression, the objec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plant with a **physical root**. Even if the object is an abstract source like **'customs', 'malpractice', 'illness', or 'bad habit'**, the expression 뿌리째 뽑다 can be used to emphasize that the problem must be completely removed. This conveys a powerful message urging **fundamental solutions** rather than superficial fixes.
어떻게 사용할까요? (How to Use?)
주로 '부정부패', '악습', '병폐', '관행' 등 **나쁘거나 해로운 대상**의 완전한 제거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It is mainly used to emphasize the complete removal of **negative or harmful objects** such as corruption, malpractices, ills, or customs.
- ▶️ 사회 비판 시: "이러한 **고질적인 병폐**는 뿌리째 뽑아야 미래를 기대할 수 있다."
- ▶️ 정부 정책 시: "이번 규제는 부동산 시장의 **투기 심리**를 뿌리째 뽑기 위한 것이다."
- ▶️ 개인 습관 시: "나쁜 생활 습관을 뿌리째 뽑고 새로운 인생을 시작하기로 결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