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 writing Q54! How to prepare!
TOPIK writing tips: 환경 문제와 인간의 역할
TOPIK Writing Practice: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Role of Humans
Level 5-6
오늘날 지구는 전례 없는 환경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전적으로 인간 활동의 결과입니다.
The Earth is facing an unprecedented environmental crisis today, which is entirely the result of human activities.
미래 세대를 위해 환경 보호는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위한 우리 모두의 노력이 중요합니다.
Environmental protection is absolutely necessary for future generations, and the efforts of all of us are important for this.
제시 문제
The Practice
심각해지는 환경 문제와 인간의 역할
Worsen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Role of Humans
지구의 환경 문제는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습니다. 미래 세대를 위해 환경 보호는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위한 우리 모두의 노력이 중요합니다. 심각해지는 환경 문제와 인간의 역할에 대해 아래 내용을 중심으로 논술하십시오.
The Earth's environmental problems have reached a serious level that can no longer be ignored. Environmental protection is absolutely necessary for future generations, and the efforts of all of us are important for this. Write an essay focusing on the content below regarding worsen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role of humans.
-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는 이유를 쓰고
Write the reasons why environmental problems are worsening. -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인과 사회의 노력은 무엇인지 제시하고
Present what efforts by individuals and society are needed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 미래 사회를 위해 환경 보호가 왜 중요한지 논술하시오.
Discuss why environmental protection is important for the future society.
(단, 글의 길이는 600~700자가 되게 쓰십시오.)
(Note: Write the essay to be 600-700 characters long.)
모델 답안
Answer
오늘날 지구는 전례 없는 환경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전적으로 인간 활동의 결과이다. 환경 문제가 이토록 심각해진 주된 원인은 인류의 무분별한 개발과 소비 지상주의 때문이다. 경제 성장을 밥 먹듯 추구하며 환경 보전은 뒷전으로 밀려났고, 그 결과 대기오염, 수질오염, 자원 고갈이 죽도 밥도 안 될 지경에 이르렀다. 특히 산업화 이후 지구 평균 기온은 1도 이상 상승하여 기후 변화가 눈앞의 현실이 되었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개인과 사회 모두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수적이다. 개인은 일상생활에서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분리수거 철저히 하기 등 작은 실천을 밥 먹듯 행해야 한다. 사회적으로는 정부가 친환경 정책을 강화하고 기업은 환경 윤리를 간에 기별도 안 가는 수준이 아닌 실질적인 책임으로 인식해야 한다. 예를 들어, 2024년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약 9%에 불과한데, 이를 획기적으로 늘리기 위한 투자와 규제 개선이 시급하다.
환경 보호는 단순히 불편을 감수하는 문제가 아니라, 미래 세대가 살아갈 터전을 지키는 근본적인 과제이다. 우리가 지금 환경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우리 아이들은 오염된 환경과 고갈된 자원 속에서 입맛이 쓴 현실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지속 가능한 미래는 건강한 환경 위에서만 가능하다.
따라서 우리는 환경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개인의 노력과 사회 시스템 개선을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 그래야만 우리와 미래 세대가 건강하고 안전한 지구에서 함께 살아갈 수 있다.
Problem Analysis: A Dialogue
Let's analyze this model answer together with our study partners, Grace and Mike.
네, 마이크 씨. 문제와 모델 답안을 읽었어요. 주제는 "심각해지는 환경 문제와 인간의 역할"이네요. TOPIK 논술을 위해 이 모델 답안을 어떻게 분석하기 시작하면 좋을까요?
Okay, Mike, I've read the problem and the model answer. The topic is "Worsen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Role of Humans." How should we begin analyzing this model answer for TOPIK?
좋은 생각이에요, 그레이스. 먼저 문제의 핵심 요구사항들을 파악해 봅시다. 기억하겠지만, 54번 문제는 항상 주요 주제와 함께 논술에서 다뤄야 할 세 가지 구체적인 사항을 제시해요.
Great, Grace. First, let's identify the core requirements of the question. Remember, Question 54 always gives us a main topic and then usually three specific points we must address in the essay.
맞아요. 문제를 보면 주요 주제는 환경 문제와 인간의 역할이고, 세 가지 요점은 1)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는 이유, 2)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인과 사회의 노력, 3) 미래를 위해 환경 보호가 왜 중요한지네요.
Right. Looking at the prompt, the main topic is environmental problems and human roles. The three bullet points are: 1) Reasons why environmental problems are worsening, 2) Efforts by individuals and society, and 3) Why environmental protection is important for the future.
정확해요. 좋은 TOPIK 논술은 이 세 가지 요점을 명확하게 다뤄야 해요. 그럼 모델 답안의 구성을 살펴볼까요? 이 요점들을 어떻게 다루고 있나요?
Exactly. A good TOPIK essay must cover all three points clearly. Now, let's look at the structure of the model answer. How does it address these points?
표준적인 논술 구조를 따르고 있네요. 첫 번째 문단은 환경 위기에 대한 배경을 제시하는 서론이고, 두 번째 문단은 첫 번째 요점에 따라 이유를 설명하고 있어요.
It follows a standard essay structure. The first paragraph is the introduction, setting the stage about the environmental crisis. Then, the second paragraph discusses the reasons based on the first bullet point.
훌륭해요. 그럼 세 번째 문단은요?
Perfect. And the third paragraph?
그 문단은 개인과 사회의 노력을 다루고 있어요. 두 번째 요점을 다루면서 구체적인 행동들을 제안하네요.
That paragraph focuses on the efforts needed from individuals and society, addressing the second bullet point. It suggests concrete actions.
맞아요, 그럼 네 번째 문단은요?
Yes, and the fourth paragraph?
그 문단은 미래를 위해 환경 보호가 왜 중요한지 논하며 세 번째 요점을 다루고 있어요. 미래 세대에 대한 이야기를 하네요.
That one argues why environmental protection is important for the future, covering the third bullet point. It talks about future generations.
아주 좋아요. 그리고 마지막 문단은 노력을 요약하는 결론이네요. 따라서 구조는 명확하게 서론 -> 본론 1 (이유) -> 본론 2 (노력) -> 본론 3 (미래 중요성) -> 결론으로 되어 있어요. 이런 논리적인 흐름이 좋은 점수를 받는 데 핵심이죠.
Excellent. And finally, the last paragraph is the conclusion, summarizing the need for effort. So, the structure is clearly Introduction -> Body 1 (Reasons) -> Body 2 (Efforts) -> Body 3 (Importance for Future) -> Conclusion. This logical flow is key to a good score.
답안에 우리가 전에 이야기했던 음식 관련 재미있는 관용표현들이 사용된 것을 발견했어요! 밥 먹듯이나 죽도 밥도 안 되다 같은 표현들이요. 여기서 어떻게 사용되었나요?
I noticed the answer used some interesting idioms we talked about, related to food! Like 밥 먹듯 and 죽도 밥도 안 되다. How are they used here?
아, 잘 발견했어요! 답안에 사용된 관용표현들을 분석해 봅시다:
Ah, good eye! Let's break down the idioms used in this answer:
Idioms Used in the Model Answer 🌱
밥 먹듯 추구하며 / 밥 먹듯 행해야 한다
글자 그대로 "밥 먹는 것처럼"이라는 뜻으로, 매우 자주 또는 습관적으로 한다는 의미입니다.
Literally "like eating rice," meaning very frequently or habitually.
두 번째 문단에서 "경제 성장을 밥 먹듯 추구하며"는 경제 성장이 환경보다 항상 우선시되는 것을 비판하는 표현입니다. 세 번째 문단에서 "작은 실천을 밥 먹듯 행해야 한다"는 개인이 환경 보호를 위해 일상적으로 실천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In the second paragraph, "경제 성장을 밥 먹듯 추구하며" criticizes how economic growth is constantly prioritized over the environment. In the third paragraph, "작은 실천을 밥 먹듯 행해야 한다" emphasizes that individual environmental actions need to be done routinely, like eating. It shows the need for consistent effort.
죽도 밥도 안 될 지경
글자 그대로 "죽도 밥도 되지 않는 상태"라는 뜻으로, 완전히 망했거나 손쓸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Literally "a state of becoming neither porridge nor rice," meaning a complete failure or a state of utter ruin/severity.
"자원 고갈이 죽도 밥도 안 될 지경에 이르렀다"는 자원 고갈이 얼마나 심각해져서 재앙적이고 회복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는지를 강력하게 전달합니다.
"자원 고갈이 죽도 밥도 안 될 지경에 이르렀다" powerfully conveys how severe resource depletion has become – it's a disastrous, irreparable state.
간에 기별도 안 가는 수준
글자 그대로 "간에 기별조차 가지 않는 수준"이라는 뜻으로, 양이나 정도가 너무 적어서 전혀 효과가 없거나 만족스럽지 않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Literally "a level that doesn't even signal the liver," meaning an amount or degree that is too small to have any real effect or satisfaction.
"환경 윤리를 간에 기별도 안 가는 수준이 아닌 실질적인 책임으로 인식해야 한다"는 이 표현을 사용하여 기업이나 사회의 환경 책임에 대한 노력이 불충분하거나 형식적인 수준에 그치는 것을 비판합니다. 현재의 미미한 수준보다 훨씬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환경 윤리를 간에 기별도 안 가는 수준이 아닌 실질적인 책임으로 인식해야 한다" uses this to criticize insufficient or merely superficial efforts from businesses/society regarding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They need to do much more than the current negligible level.
입맛이 쓴 현실
글자 그대로 "입에서 쓴맛이 나는 현실"이라는 뜻으로, 쓰거나 후회스럽거나 불쾌한 느낌을 유발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Literally "a reality where the mouth tastes bitter," meaning a situation that causes a feeling of bitterness, regret, or unpleasantness.
"오염된 환경과 고갈된 자원 속에서 입맛이 쓴 현실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는 현재의 환경 문제로 인해 미래 세대가 직면하게 될 슬프고 가혹한 현실을 묘사하기 위해 이 표현을 사용합니다.
"오염된 환경과 고갈된 자원 속에서 입맛이 쓴 현실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uses this to describe the sad and harsh reality that future generations will face due to current environmental problems.
와, 이런 관용표현들을 사용하니까 단순히 '매우 심각하다'거나 '충분하지 않다' 같은 기본적인 단어를 쓰는 것보다 글이 훨씬 생생하고 인상 깊어지네요.
Wow, using these idioms really makes the writing more vivid and impactful compared to just using basic words like 'very serious' or 'not enough'.
맞아요. 관용표현은 미묘한 뉘앙스와 세련됨을 더해주는데, 이는 5-6급에서 중요해요. 이제 데이터에 대해 이야기해 봅시다. 답안에는 몇 가지 숫자도 포함되어 있었죠.
Exactly. They add nuance and sophistication, which is important for Level 5-6. Now, let's talk about data. The answer also included some numbers.
네, 지구 평균 기온이 1도 이상 상승했다는 것과 2024년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약 9%라는 내용이 있었어요.
Yes, it mentioned the Earth's average temperature rising by over 1 degree and South Korea's renewable energy share being around 9% in 2024.
맞아요.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면, 비록 대략적인 것이나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이라도 논거를 훨씬 더 설득력 있고 객관적으로 만들어요. 1도 상승은 기후 변화가 "눈앞의 현실"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하고요. 신재생에너지 9% 수치는 사회적 노력(특히 신재생에너지 투자)이 여전히 불충분하다는 생각을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증거가 되며, 이는 부족한 노력에 대한 "간에 기별도 안 가는 수준"이라는 관용표현과 연결됩니다.
Right. Including relevant data, even approximate or commonly known facts, makes your argument much more convincing and objective. The 1-degree rise supports the claim that climate change is a "눈앞의 현실" (reality before our eyes). The 9% figure for renewable energy serves as concrete evidence supporting the idea that societal efforts (specifically in renewable energy investment) are still insufficient, linking back to the "간에 기별도 안 가는 수준" idiom about inadequate efforts.
알겠어요. 단순히 의견을 진술하는 것이 아니라, 이유, 잠재적인 해결책, 중요성에 대한 설명, 그리고 데이터나 관용표현 같은 생생한 표현들로 뒷받침하는 것이 중요하네요.
I see. So, it's not just about stating opinions, but backing them up with reasons, potential solutions, explanations of importance, and even some data or vivid expressions like idioms.
맞아요. 강력한 TOPIK 논술은 이런 요소들을 논리적으로 연결해요. 문제 제기로 시작해서 원인을 설명하고, 해결책을 제안하고, 해결의 중요성(특히 미래를 위해)을 강조하며, 고급 어휘, 문법, 그리고 적절한 위치에 놓인 관용표현과 데이터 등 적절한 언어를 모두 글자 수 제한 안에 사용하여야 하죠.
Absolutely. A strong TOPIK essay connects these elements logically. Start with the problem, explain the cause, propose solution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olving it (especially for the future), and use appropriate language, including advanced vocabulary, grammar, and well-placed idioms and data, all within the character limit.
이 분석이 정말 도움이 돼요! 구조와 요구사항이 훨씬 명확해졌어요.
This analysis is very helpful! It makes the structure and requirements much clearer.
도움이 되었다니 기쁘네요, 그레이스! 이런 종류의 분석을 사용해서 다양한 주제로 계속 연습해 보세요. 쓰기 연습에 행운을 빌어요!
Glad to hear it, Grace! Keep practicing different topics using this kind of analysis. Good luck with your writing!
이 상세한 분석이 TOPIK 쓰기 54번 문제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핵심 요점을 이해하고, 에세이를 논리적으로 구성하며, 관련 관용표현과 데이터를 통합하면 설득력 있고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는 답안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계속 연습하세요, 실력이 향상될 것입니다!
We hope this detailed analysis helps you understand how to approach TOPIK 쓰기 Question 54. By understanding the key points, structuring your essay logically, and incorporating relevant idioms and data, you can write a compelling and high-scoring response. Keep practicing, and you'll improve!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