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ller Korean in 60 Seconds(+Topik focused) "의심의 눈초리" Glare of Suspicion

의심의 눈초리 | Killer Korean in 60 Seconds

This blog introduces important keywords strategical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xam or Korean business.
이 블로그는 한국어 시험이나 한국어 비즈니스에 전략적으로 쓰이고 중요한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Killer Korean in 60 Seconds

1분안에 끝내는 고급한국어

"의심의 눈초리"
(Ui-sim-eui Nun-cho-ri)
Glare of Suspicion / A Suspicious Look

새로운 직원이 들어오자마자 모두가 의심의 눈초리로 그를 바라보았다.

The moment the new employee arrived, everyone looked at him with a glare of suspicion.

회의에서 내가 의견을 제시했을 때, 부장은 의심의 눈초리를 보냈다.

When I presented my opinion at the meeting, the manager gave me a suspicious look.

그의 해명이 거짓말 같아서, 경찰은 여전히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았다.

Because his explanation seemed like a lie, the police still didn't withdraw their glare of suspicion.

단어분석

의심(疑心) (Ui-sim): 증거 없이 상대방의 진실성이나 의도에 대해 믿지 못하고 궁금해하는 마음. (The mind that doubts and questions the sincerity or intention of the other person without evidence/Doubt, Suspicion.)

눈초리 (Nun-cho-ri): 남을 바라보는 눈의 모양이나 기색. 특히 부정적인 시선일 때 쓰인다. (The shape or look in one's eyes when looking at others. It is especially used for a negative glance/Glare, Look.)

의심의 눈초리 (Ui-sim-eui Nun-cho-ri): 상대방을 믿지 못하고 경계하는 듯이 보는 시선. (A gaze that looks at the other person with distrust and wariness/Glare of suspicion.)

의심의 눈초리 설명문단

의심의 눈초리는 상대방의 행동이나 발언에 대한 **불신**과 **경계**를 담은 시선을 뜻하는 고급 한국어 표현입니다. 이는 단순한 호기심이 아닌, **부정적 판단**을 포함하고 있어 인간관계 및 사회생활에서 긴장을 유발하는 핵심 어휘입니다. 특히, 직장이나 공식적인 자리에서 이러한 눈초리를 받는 것은 **사회적 소외**나 갈등의 시작이 될 수 있으며, 한국 사회의 미묘한 정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합니다.

Glare of suspicion (의심의 눈초리) is an advanced Korean expression that refers to a look containing **distrust** and **wariness** toward another person's actions or remarks. It's a key vocabulary item that induces tension in interpersonal and social life, as it involves a **negative judgment**, not mere curiosity. Receiving such a look, especially in a workplace or formal setting, can be the start of **social ostracism** or conflict, making it crucial for understanding subtle Korean sentiment.

🔍 사회적 소수자와 시선 (사회적 소수자) 🔗

이 표현은 **비언어적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말로 표현되지 않은 **불만**이나 **불신**을 눈빛으로 드러냅니다. 한국 사회에서는 직접적인 비난이나 비판보다 감정이나 태도를 통해 의사를 전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대방의 눈빛을 읽어내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이 눈초리는 종종 **갈등 상황**으로 번지기 전에 보내는 일종의 경고나 압박의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This express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non-verbal communication**, revealing unspoken **dissatisfaction** or **distrust** through a glance. Because Korean society often conveys intentions through emotions or attitudes rather than direct accusation, the ability to read the other person's eyes is important. This look is often used as a form of warning or pressure before escalating into a **conflict situation**.

💥 핵심 표현 30일차: 갈등 상황에서 사용하는 어휘 (갈등 어휘) 🔗

개인뿐만 아니라 집단 간의 관계에서도 의심의 눈초리는 신뢰의 균열을 상징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명확하고 진실된 해명과 더불어, 꾸준히 **신뢰**를 회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한국어 고급 학습자라면, 이 표현을 사용하여 미묘한 사회적, 개인적 **관계의 긴장감**을 정확하고 세련되게 묘사할 수 있습니다.

The glare of suspicion symbolizes a fracture in trust, not only between individuals but also between groups. Resolving this requires clear and truthful explanation, along with continuous efforts to restore **trust**. Advanced Korean learners can use this expression to accurately and sophisticatedly describe the subtle **tension in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 고급 한국어 문법과 표현 익히기 (고급 어휘) 🔗

어떻게 사용할까요? (How to Use?)

'의심의 눈초리'는 주로 '보내다', '느끼다', '받다', '거두지 않다'와 같은 동사와 함께 사용됩니다.

'Glare of suspicion' is mainly used with verbs like 'to send (보내다)', 'to feel (느끼다)', 'to receive (받다)', and 'not to withdraw (거두지 않다)'.

비언어적 소통, 의심의 눈초리를 표현하는 이미지
  • ▶️ 부정적인 시선 강조 시: "그녀는 나에게 변함없이 의심의 눈초리를 보냈다."
  • ▶️ 심리적 상태 묘사 시: "새로운 팀장은 여전히 직원들의 의심의 눈초리를 느끼고 있었다."
  • ▶️ 경계와 불신을 나타낼 때: "정부의 정책 발표 후, 국민들의 의심의 눈초리는 더욱 거세졌다."
#의심의눈초리 #불신 #경계 #비언어적소통 #고급한국어 #AdvancedKorean #GlareOfSuspicion #KoreanVocabulary

popular & loved

Topik writing type no.53! How to prepare?

Indepth Korea_K-food, 이제 일상 간식까지 인기! (K-Food Tourist Snack Trend)

🛣️Mastering Korean / 한국어 장소 부사 : 여기, 저기, 거기

📖Top-Level Korean Grammar and Expressions① 존댓말 압존법

TOPIK60_DAY29 : 유추하다, 짐작하다, ~(으)면

Confused Korean Grammar: ~거든요, ~(으)면, ~ㄹ/을지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