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hrases 30 for Topik Level 3 (4) : '~을/를 제시하다', '~을/를 빚다'
Key phrases 30
한국어 핵심 구절 30일 완성
Essential Korean Phrases for TOPIK Level 3 (Day 4)
Day 4: 대안 제시 및 갈등 관리 Presenting Alternatives and Managing Conflict
이 시리즈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을 목표로 하는 학습자 여러분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구문과 표현을 교육합니다. (This series teaches **core phrases** and expressions essential for learners aiming for TOPIK Level 3.) 30일 동안 매일 하나의 프로그램과 문제해결법을 소개합니다. (Over 30 days, we introduce one program and share problem-solving methods daily.)
핵심 어휘 및 문법 분석 Core Vocabulary and Grammar Analysis
핵심 어휘 (Core Vocabulary)
갈등(葛藤) [gal-deung] (N.)
의미: 서로 대립하여 겪는 복잡하고 어려운 상태나 상황. (**Conflict, Discord**)
활용: 갈등을 빚다, 갈등을 해소하다. (To cause conflict, to resolve conflict)
예문: 의견 차이로 부서 간에 심각한 갈등이 발생했다. (A serious conflict arose between departments due to differences in opinion.)
대안(代案) [dae-an] (N.)
의미: 원래의 안건을 대신하거나 보충할 만한 안건. (**Alternative, Substitute plan**)
활용: 대안을 제시하다, 대안을 모색하다. (To propose an alternative, to seek an alternative)
예문: 기존 계획에 문제가 생겨 새로운 대안을 찾기 위해 모두가 노력했다. (Everyone worked hard to find a new alternative because a problem occurred with the existing plan.)
핵심 문법 (Core Grammar)
-을/를 제시하다 / 모색하다 [-eul/reul jesi-hada / mosek-hada] (Exp.)
의미: **제시하다:** 의견이나 안건을 내놓아 보이다. (**To propose/present**) **모색하다:** 해결 방법을 찾으려 하다. (**To seek/explore**)
활용: 해결책을 제시하다, 발전 방향을 모색하다. (To propose a solution, to seek a direction for development)
예문: 회의에서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 (We must propose a specific and feasible solution in the meeting.)
-을/를 빚다 / 해결하다 [-eul/reul bit-da / haegyeol-hada] (Exp.)
의미: **빚다:** 부정적인 일(갈등, 불화)을 일으키다. (**To cause/create**) **해결하다:** 문제나 어려운 일을 잘 처리하다. (**To resolve/solve**)
활용: 오해를 빚다, 문제를 해결하다. (To cause a misunderstanding, to resolve a problem)
예문: 이해관계 차이로 갈등을 빚었던 두 회사가 화해했다. (The two companies that had caused conflict due to conflicting interests dramatically reconciled.)
[함께 보면 좋은 글] 핵심 구문 '갈등' 관련: 한국 기업 문화에서 비즈니스 분쟁 시 한국어 표현
실전 문제 풀이 (Practical Problem Solving)
실전 문제 풀이를 통해 핵심 구절을 익혀봅시다. (Let's master the core phrases through practical problem-solving.)
세트 1. Key Phrase: 대안을 제시하다 / 모색하다
[문제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을 고르시오. (Choose the most appropriate expression for the blank.)
현재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 방식을 고수하는 것보다 혁신적인 (_______)을/를 적극적으로 (_______) 것이 시급하다. (In order to solve the current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it is urgent to actively (_______) innovative (_______) rather than adhering to existing methods.)
- 의견 / 존중
- 대안 / 모색하는
- 논란 / 빚는
- 피해 / 침해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b
해설: 문맥상 '기존 방식' 대신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원래의 안건을 대신할 안건'이라는 의미의 '대안'과, '해결 방법을 찾으려 하다'라는 의미의 '모색하다'를 결합한 '대안을 모색'이 가장 적절합니다.
Analysis: Contextually, it is necessary to 'seek' a new way to solv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instead of the 'existing method'. Therefore, '대안을 모색 (to seek an alternative)' which combines '대안 (alternative)' and '모색하다 (to seek/explore)' is the most appropriate.
세트 2. Key Phrase: 갈등을 빚다 / 해결하다
[문제 2] 다음 글을 읽고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을 고르시오. (Read the following text and choose the most appropriate expression for the blanks.)
지역 주민들과 건설업체 사이에 보상 문제로 첨예한 (_______)이/가 발생했으나, 시청의 중재를 통해 양측이 합의에 이르러 극적으로 (_______)되었다. (A sharp (_______) arose over compensation between local residents and the construction company, but it was dramatically (_______) as both sides reached an agreement through the city hall's mediation.)
- 대안을 모색 / 침해
- 문제를 제시 / 존중
- 갈등 / 해결
- 보장을 요구 / 모색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c
해설: '주민들과 건설업체' 간의 '보상 문제'는 서로 대립하는 상황, 즉 '갈등'을 의미합니다. '시청의 중재'와 '합의'는 그 문제를 '해결'했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갈등 (conflict)'과 '해결 (resolved)'이 문맥상 자연스러운 연결입니다.
Analysis: The 'compensation issue' signifies a situation of mutual opposition, meaning '갈등 (conflict)'. 'City hall's mediation' and 'agreement' indicate that the problem was '해결 (resolved)'. Therefore, '갈등 (conflict)' and '해결 (resolved)' are the most natural contextual connections.
세트 3. 실전 적용 (Practical Application)
[문제 3]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사용이 가장 부자연스러운 것을 고르시오. (Choose the sentence in which the use of the underlined part is the most unnatural.)
- 정부는 시민들의 다양한 요구에 응답할 새로운 정책 대안을 제시했다.
- 두 당사자는 팽팽한 이견 차이로 인해 여전히 심각한 갈등을 빚고 있다.
- 전문가들은 일자리 부족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했다.
- 시민들은 환경 오염 문제에 대한 오해를 해결하자고 적극적으로 주장했다.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d
해설: '해결하다'는 주로 문제나 갈등을 다룰 때 사용합니다. '오해'의 경우 '해결'보다는 '오해를 풀다'가 더 자연스러우며, 문맥상 '환경 오염 문제'를 다루고 있으므로 '오해'보다는 '문제', '갈등' 등을 '해결하자고' 주장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Analysis: '해결하다 (to resolve)' is primarily used when dealing with problems or conflicts. For '오해 (misunderstanding)', '오해를 풀다 (to clear up a misunderstanding)' is more natural. Contextually, since it involves 'environmental pollution issues', arguing for '해결 (resolving)' a 'problem' or 'conflict' is more appropriate.
복습 연습 문제 (Review Practice)
다음 문장의 빈칸에 알맞은 단어나 표현을 넣어보세요. (Fill in the blanks with the appropriate words or expressions.)
1. 기업들은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는 (________)을/를 끊임없이 (___________)해야 한다.
2. 사소한 일로 시작된 두 팀 간의 (__________)을/를 (__________)하기 위해 팀장이 나섰다.
3. 우리는 현재의 난관을 극복할 구체적인 (___________)을/를 (__________)할 필요가 있다.
(정답 예시: 1. 대안, 모색 / 2. 갈등, 해결 / 3. 해결책, 제시) (Answer Examples: 1. alternative, seek / 2. conflict, resolve / 3. solution, propose)
[함께 보면 좋은 글] 갈등/문제 관련 표현 확장: 드라마 우영우로 배우는 한국어 '권리' 표현
[함께 보면 좋은 글] 대안/정책 관련 표현 확장: TOPIK 3급 '정책' 핵심 구절 (Day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