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ller Korean in 60 Seconds (Topik focused): '사회적 약자' Social minority

사회적 약자 | Killer Korean in 60 Seconds

This blog introduces important keywords strategical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xam or Korean business.
이 블로그는 한국어 시험이나 한국어 비즈니스에 전략적으로 쓰이고 중요한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Killer Korean in 60 Seconds

1분안에 끝내는 고급한국어

"사회적 약자"
(Saho-ejeok yakja)
Social minority/vulnerable

우리 사회는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를 마련해야 합니다.

Our society must establish systems to protect the socially vulnerable.

정부의 이번 정책은 사회적 약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government's new policy is expected to provide substantial help to the socially vulnerable.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는 성숙한 시민 의식의 출발점이다.

Consideration for the socially vulnerable is the starting point of a mature civic consciousness.

단어 분석 (Word Analysis)

사회적 (Saho-ejeok) : 사회와 관련된. (Related to society.)

약자 (Yakja) : 힘이 약한 사람. 사회적으로 불리한 위치에 있는 사람을 의미. (A person with little power. Refers to a person in a socially disadvantaged position.)

취약 계층 (Chwiyak gyecheung) : 질병, 재해,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해 보호가 필요한 집단. (A group in need of protection due to illness, disaster, or economic hardship.)

핵심 어휘 3가지 (3 Core Vocabulary Words)

1. 복지 (Bokji)

의미: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행복을 증진하는 사회적 노력. (Meaning: Social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promote the happiness of the people. / Welfare)

정부는 노인들을 위한 복지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The government is expanding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2. 불평등 (Bulpyeongdeung)

의미: 평등하지 않고 차이가 있는 상태. (특히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Meaning: The state of being unequal or having differences. (Especially in social and economic aspects.) / Inequality)

소득 불평등을 해소하는 것이 사회의 중요한 과제이다. Resolving income inequality is a crucial task for society.

3. 자립하다 (Jariphada)

의미: 남에게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 살아가는 것. (Meaning: To live independently without relying on others. / To become self-reliant/independent)

정부 지원은 자립하는 데 필요한 발판을 제공한다. Government support provides the necessary stepping stone for becoming self-reliant.

핵심 문법 3가지 (3 Core Grammar Points)

1. ~에 놓여 있다 (~e noyeo itda)

의미: 어떤 상태나 상황에 처해 있다는 의미로, 주로 어려운 상황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Meaning: To be placed in a certain state or situation. Often used to describe difficult circumstances. / To be in a situation)

그들은 어려운 경제적 환경에 놓여 있습니다. They are in a difficult economic situation.

2. ~뿐만 아니라 (~ppunman anira)

의미: 앞의 내용에 더하여 뒤의 내용도 해당됨을 나타냅니다. (Meaning: Indicates that the following content also applies in addition to the preceding content. / Not only... but also)

그는 실력뿐만 아니라 인성도 좋다. Not only his skills but also his character is good.

3. ~기 쉽다 (~gi swipda)

의미: 어떤 행동이나 상태가 되기 쉽거나 그럴 가능성이 높음을 나타냅니다. (Meaning: Indicates that a certain action or state is easy to occur or has a high probability. / Easy to do/prone to)

이런 환경에서는 오해를 하기 쉽습니다. It's easy to misunderstand in this environment.

사회적 약자 설명문단 (Explanation)

'사회적 약자'는 사회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불평등한 위치에 놓여 있거나 (e noyeo itgeona), 스스로를 보호하기 어려운 사람들을 폭넓게 이르는 말입니다. 단순히 경제적 빈곤층뿐만 아니라 (ppunman anira), 장애인, 노인, 아동, 여성, 외국인 노동자 등 다양한 소수자 그룹을 포함합니다. 이들은 차별이나 불이익을 받기 쉬워 (gi swiwo) 특별한 보호와 지원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The socially vulnerable' is a broad term for people who are **in an unequal position** due to social structural problems **or** who find it difficult to protect themselves. It includes **not only** the economically poor **but also** various minority groups such as the disabled, the elderly, children, women, and foreign workers. They are often **susceptible to** discrimination or disadvantage and frequently require special protection and support.

🧑‍🔧 E-9 비자 외국인 근로자 취업 전략 - e-9-job-strategy-for-foreign-workers-in 🔗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 약자 문제는 중요한 사회적 과제로 다뤄지고 있습니다. 빈부격차, 복지 사각지대, 고령화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들이 이 용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정부의 정책이나 시민단체 활동, 뉴스 기사에서 자주 등장하며, '더불어 사는 사회'를 위한 논의에서 빠질 수 없는 핵심 개념입니다.

In Korean society, the issue of the socially vulnerable is being addressed as a significant social challenge.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the wealth gap, welfare blind spots, and an aging society are closely related to this term. It frequently appears in government policies, civil organization activities, and news articles, and it is a key concept that cannot be excluded from discussions about 'a society that lives together.'

📈 성장의 그늘 - killer-korean-in-60-seconds-shadow-of-growth 🔗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과 보호는 그 사회의 발전 수준과 성숙도를 보여주는 척도이기도 합니다. 단순히 시혜적인 도움을 넘어, 사회적 약자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jariphalsu itdorok) 돕고, 근본적인 불평등 (bulpyeongdeung) 구조를 개선하는 노력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습니다. 이는 모든 구성원이 존중받고 함께 성장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The interest in and protection of the socially vulnerable are also a measure of a society's level of development and maturity. Beyond simply providing charitable help, efforts to assist the socially vulnerable to **become self-reliant** and to improve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inequality** are considered important. This is an essential process for creating a society where all members are respected and grow together.

📚 고급 한국어 문법 및 표현 - top-level-korean-grammar-and-expressions 🔗

한국어 연습 문제 (Korean Practice Quiz)

1. 다음 문장에서 **'불평등'**에 해당하는 가장 자연스러운 한국어 표현을 고르세요.
(In the following sentence, choose the most natural Korean expression corresponding to 'inequality'.)
사회적인 **( )**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2. 문법 **'~에 놓여 있다'**를 사용하여 다음 문장을 한국어로 완성하세요.
(Complete the following sentence in Korean using the grammar **'~에 놓여 있다'**.)
많은 실업자들이 어려운 상황 **( )** .

어떻게 사용할까요? (How to Use?)

'사회적 약자'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 사회 문제 논의: "이번 정책은 사회적 약자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 ▶️ 공공 서비스 강조: "이 앱은 사회적 약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 ▶️ 윤리적 책임 언급: "기업은 이윤 추구뿐만 아니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책임도 가져야 한다."
#사회적약자 #취약계층 #소외계층 #복지사각지대 #사회불평등 #한국어공부 #비즈니스한국어 #사회생활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Remastering(4) : K DRAMA '멜로가 체질' + topik essential

K-Drama 🏋️힘쎈 여자 도봉순으로 배우는 한국어(1) '~ 게 되다.' Learn Korean with Strong Woman Do Bong Soon

당신이 곧 만나게 될 Korean movie (명작, masterpiece) "어쩔수가 없다" :"No Other Choice" by Park Chan-w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