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ongjae Lee+ Lim Ji-yeon #Nice to Not Meet You_ ep10 ('얄미운 사랑' 한국어)+Korean drama
K-드라마 '얄미운 사랑' 한국어(10)
'앙숙 관계의 균열, 일시적 화해와 진심'
Learning Korean with K-Drama 'Nice to Not Meet You' ep.10: The Crack in Arch-Enemy Relationship, Temporary Reconciliation and Sincerity
안녕하세요! 오늘은 K-드라마 '얄미운 사랑'의 **EP.3 스페셜 선공개** 영상을 통해 앙숙(ang-suk)이었던 **이정재(Lee Jung-jae)**와 **임지연(Lim Ji-yeon)** 두 주인공 관계의 미묘한 균열을 분석합니다.
Hello! Today, we analyze the subtle crac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ain characters, the arch-enemies **Lee Jung-jae** and **Lim Ji-yeon**, through the **EP.3 Special Pre-release** of the K-drama 'Nice to Not Meet You'.
선행 학습: 꼭 알아야 할 한국어
Pre-learning: Essential Korean
이정재 배우의 대사 [00:01:25]처럼, 복잡하고 극한 상황을 표현하는 한국어는 **TOPIK (한국어능력시험)** 고득점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오늘 배울 표현들은 단순한 감정을 넘어선 **불만, 비난, 반어** 등을 나타낼 때 유용하게 쓰입니다. 내용을 꼼꼼히 익혀서 고급 한국어 구사 능력을 키워보세요.
Korean expressions that convey complicated and extreme situations, like actor Lee Jung-jae's line [00:01:25], are essential for achieving a high score o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The expressions we will learn today are useful for expressing things beyond simple emotions, such as **dissatisfaction, criticism, and irony**. Study the content carefully to improve your advanced Korean proficiency.
앙숙 (怏宿)
발음: 🗣️[ang-suk]
의미: 원수(원쑤: won-ssu)처럼 서로 몹시 미워하는 사람. **(People who intensely hate each other, like sworn enemies or nemeses.)** 드라마에서 두 주인공처럼 만났다 하면 격렬하게 다투지만, 미묘한 감정 변화를 공유하는 관계를 뜻할 때도 쓰입니다. (예: 그들은 비즈니스 상으로 앙숙이지만, 개인적으로는 서로 존중한다. **(e.g., They are arch-enemies in business, but they respect each other personally.)**)
예시: 그녀는 직장에서 나의 가장 친한 동료이자 가장 치열한 앙숙이었다. (She was both my closest colleague and my most fierce **arch-enemy** at work.)
퇴원하다 (退院-), 퇴원 (退院)
발음:🗣️ [toe-won-ha-da] / [toe-won]
의미: 병원(병원: byeong-won)에서의 치료를 마치고 집이나 원래의 장소로 돌아가는 것. **(To be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after finishing treatment, i.e., Hospital Discharge.)** 영상 [00:00:58]에서 이정재가 임지연에게 "퇴원하시는 거예요?"라고 물으며 상태에 대한 걱정을 드러냅니다.
예시: 의사의 허락이 떨어져서 다음 주에 드디어 퇴원할 수 있게 되었다. (The doctor gave permission, so I can finally **be discharged** next week.)
소동 (騷動)
발음: 🗣️[so-dong]
의미: 많은 사람이 모여 떠들썩하게 움직이는 일, 또는 어떤 사건이나 문제로 인해 벌어지는 혼란. **(Commotion, Uproar, or a disturbance/fuss caused by an incident or issue.)** [00:00:05]에 언급되는 "자살 소동"처럼, 큰 이슈가 되거나 문제를 야기하는 상황을 말합니다. **TOPIK 고급 필수 어휘** 중 하나입니다.
예시: 그 정치인의 갑작스러운 사퇴 발표로 정계에 큰 소동이 일어났다. (The politician's sudden resignation announcement caused a big **commotion** in the political world.)
V + -(으)ㄹ 판에 (V + -eul/l pan-e)
발음: [-eul/l pan-e]
의미: **(선행 상황) + (더 중요하거나 적절한 상황이 있는데도)**. **(Used to express a sense of dissatisfaction, irony, or strong contrast by stating that something more important or expected should be happening, but instead, the speaker is experiencing a difficult or inappropriate situation, meaning 'when one should be...' or 'instead of doing...'.)** '...해야 할 상황인데도 불구하고'라는 의미로, 어떤 행동을 하거나 어떤 상태에 머무는 것이 당연하거나 더 중요한 상황에서, 그와는 정반대의 부적절하거나 힘든 일을 하고 있을 때 **강한 불만이나 비난**을 나타냅니다. 영상 [00:01:25]에서 "수술 받고 가만히 **있어도 부족할 판에**"처럼 사용됩니다.
예시: 지금 당장 마감 시간을 맞춰야 할 판에 휴가를 가겠다고? (You want to go on vacation **when you should be** meeting the deadline right now?)
V/A + -(으)ㄴ/는 줄 알다/모르다 (-(eu)n/neun jul al-da/mo-reu-da)
발음: [-(eu)n/neun jul al-da/mo-reu-da]
의미: **(사실 인지/착각)**. **(Used to express knowing or not knowing a certain fact or situation, or to express one's misunderstanding or mistaken belief, meaning 'to know/not know that...' or 'to think/realize that...'.)** 특히 '...인 줄 알았는데'는 자신의 오해나 잘못된 예상을 표현하며 상황의 반전을 암시할 때 많이 쓰이는 **TOPIK 중/고급 문법**입니다. 임지연이 [00:01:18]에서 감사 인사를 건네자 이정재가 '앙숙'이었던 상대에 대한 **오해**를 풀고 **진심**을 깨닫는 상황에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예시: 나는 그가 나를 싫어하는 줄 알았는데, 사실은 부끄러워했던 것이다. (I **thought** he hated me, but he was actually just shy.)
V + -고서 (-go-seo)
발음: [V-go-seo]
의미: **(동작 완료 후 다음 동작)**. **(Indicates that a subsequent action starts after the preceding action is completed, or that the preceding action serves as the background or reason for the following event, meaning 'after doing...' or 'and then...'.)** 앞선 동작이 완료된 후 다음 동작이 일어나거나, 앞선 동작이 배경이나 이유가 되어 다음 일이 발생함을 나타냅니다. 사건의 시간적 순서나 인과관계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본 영상에서는 이정재가 병원에서 임지연을 **마주하고서야** 비로소 그녀의 상황을 정확히 인지하게 되는 과정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 그녀는 힘든 수술을 받고서야 건강의 소중함을 깨달았다. (Only **after getting** a difficult surgery did she realize the importance of health.)
연습 문제
Practice Exercises
배운 어휘와 문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풀어보세요. 정답은 스스로 찾아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학습 방법입니다! 🧐
Try solving the problems us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you've learned. Finding the answers yourself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learn! 🧐
문제 1: 문장 완성하기 (Sentence Completion)
빈칸에 가장 적절한 단어를 넣어 완성하세요. (Fill in the blank with the most appropriate word.)
가: 그 두 작가는 서로 작품 세계가 달라서 업계에서는 (__________)으로 유명해. (The two writers are famous in the industry as **arch-enemies** because their artistic worlds are different.)
나: 하지만 의외로 서로에게 영감을 준다고 하더군요.
정답 예시: 앙숙 (ang-suk)
문제 2: 문법 적용하기 (Grammar Application)
다음 대화의 빈칸에 알맞은 **'-(으)ㄹ 판에'**를 사용하여 완성하세요. (Complete the dialogue using the correct form of **'-(eu)l pan-e'**.)
가: 아픈 사람한테 뭘 그렇게까지 부탁을 해.
나: 그러게. 집에서 푹 (__________) 회사에 나와서 일을 하고 있잖아. (쉬다/to rest)
정답 예시: 쉴 판에 (swil pan-e)
💡 오늘의 팁 | Today's Tip
영상 속에서 이정재는 임지연에게 "아니 수술 받고 가만히 **누구만 있어도 부족할 판에** 그 몸을 해 가지고 기사를 쓰고 말이야 뭐 그런 기사 내 달라고 했나" [00:01:25]라고 말합니다. 여기서 사용된 **'부족할 판에'** 문법은 상대방의 행동에 대한 **극도의 불만(bul-man)**과 **걱정(geok-jeong)**이 섞인 복합적인 감정을 표현합니다. 즉, '가만히 쉬는 것이 당연한 상황에서 왜 무리하느냐'라는 비난을 담고 있지만, 그 밑바탕에는 임지연의 건강을 염려하는 **인간적인 마음(in-gan-jeok ma-eum)**이 깔려있습니다. 한국어 학습자는 이처럼 비난 속에 숨겨진 **배려(bae-ryeo)**의 감정을 읽어내는 연습을 통해 맥락적 이해력과 사회 언어학적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TOPIK 점수를 올리는 것을 넘어, 한국 사회의 복잡다단한 **관계(gwan-gye)** 속에서 진정한 소통을 가능하게 합니다.
In the video, Lee Jung-jae says to Lim Ji-yeon, "No, **when it should be enough to just rest** after surgery, you're using that body to write an article? Did I ask you to publish such an article?" [00:01:25]. The grammar **'bu-jok-hal pan-e'** used here expresses complex emotions combining **extreme dissatisfaction (bul-man)** and **concern (geok-jeong)** about the other person's actions. In essence, it contains criticism ("Why are you overdoing it when resting quietly is what you should be doing?"), but beneath that is a **humanistic heart (in-gan-jeok ma-eum)** worrying about Lim Ji-yeon's health. Korean learners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ir contextual comprehension and sociolinguistic skills by practicing how to read the emotion of **consideration (bae-ryeo)** hidden within the criticism. This goes beyond simply raising a TOPIK score, enabling true communication within the complex **relationships (gwan-gye)** of Korean society.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Recommended Articles
오늘 배운 '앙숙 관계의 화해'와 '극한 상황에서의 표현' 주제와 연관된,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다른 심화 글들도 함께 만나보세요. 다양한 배경지식을 쌓는 것은 **TOPIK** 고득점으로 가는 지름길입니다.
Check out other advanced articles below related to today's topic of 'Reconciliation of Arch-Enemies' and 'Expressions in Extreme Situations' that will help you with your Korean language learning. Building a diverse knowledge base is the shortest path to a high **TOPIK** score.
- 🚀K-드라마 '백번의 추억' 12-2편 (K-Drama 'A Hundred Times Memories' Vol. 12-2)
- 🚀K-드라마 '그 해 우리는', 첫 만남으로 배우는 한국어 (K-Drama 'Our Beloved Summer', Learning Korean from the First Encounter)
- 🚀K-드라마 '스물다섯 스물하나' 12편으로 배우는 TOPIK 표현 (Learning TOPIK Expressions with K-Drama 'Twenty-Five Twenty-One' Vol. 12)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