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광고(Ads) + Korean Listening : -이/가 되다 (-i/ga doe-da) _Learning 'Change & Experience' Korean from the K-Heritage

국가유산진흥원 공익광고로 배우는 '변화와 경험' 한국어: 국가유산이 '즐거움이 되다' | Learning 'Change & Experience' Korean from the K-Heritage PSA

국가유산진흥원 공익광고로 배우는 '변화와 경험' 한국어
국가유산이 '즐거움이 되다' Learning 'Change & Experience' Korean from the K-Heritage PSA

레벨: 중급 이상 (Intermediate to Advanced)


전통에서 현대로, '즐거움이 되다' From 'Tradition' to 'Modernity': 'Becoming Joy'


✏️ 주요 어휘 및 문법 학습Key Vocabulary & Grammar

1. -이/가 되다 (-i/ga doe-da) Grammar. To become/change into [something]

의미: 주어의 신분, 상태, 역할 등이 다른 것으로 바뀌는 **변화**를 나타냅니다. 이 광고의 핵심 주제인 '국가유산이 즐거움이 되다'처럼, 딱딱하게 느껴졌던 존재가 친근하고 재미있는 것으로 바뀌었음을 강조합니다. Meaning: Indicates a change where the subject's status, state, or role changes into something else. Like the core theme 'National Heritage becomes joy,' it emphasizes that what was once perceived as rigid has changed into something friendly and fun.

역사 책 속의 지식이 살아있는 경험이 되었어요 (gyeong-heom-i doe-eoss-eo-yo). The knowledge in the history book became a living experience.

2. 마주하다 (ma-ju-ha-da) Verb. To face/confront/encounter

의미: 어떤 대상이나 상황을 정면으로 대한다는 뜻입니다. 광고에서는 국가유산을 과거의 것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직접 새롭게 마주한다는 의미로 사용되어 **능동적인 경험**을 강조합니다. Meaning: To directly face a subject or situation. In the ad, it's used to emphasize an active experience, meaning to newly encounter national heritage 'now, here,' instead of just viewing it as a relic of the past.

경복궁을 걸으며 수백 년의 역사를 마주했습니다 (ma-ju-haess-seum-ni-da). Walking through Gyeongbokgung Palace, I encountered hundreds of years of history.

3. 담다 (dam-da) Verb. To put/contain/include (Figuratively: to embody, capture)

의미: 그릇이나 공간 안에 물건이나 내용을 넣는다는 뜻입니다. 광고에서는 국가유산이 '시간의 흐름'을 담고 있다는 표현을 통해 **유산의 역사적 가치**를 은유적으로 전달합니다. Meaning: To place an object or content inside a container or space. In the ad, it metaphorically conveys the historical value of the heritage by expressing that national heritage contains the 'flow of time.'

이 그림에는 화가의 철학이 담겨 있습니다 (cheol-hag-i dam-gyeo iss-seum-ni-da). The artist's philosophy is contained/embodied in this painting.

이 공익광고는 기존에 다소 딱딱하고 (ttak-ttak-ha-go) 어렵게 (eo-ryeop-ge) 느껴졌던 국가유산(구 문화재)의 이미지를 대중 친화적으로 변화시키려는 (byeon-hwa-si-ki-ryeo-neun) 메시지를 담고 (dam-go) 있습니다. 광고는 궁궐이나 고택 등 유산 앞에서 젊은 세대가 자유롭게 춤을 추거나, 현대적인 복장으로 유산을 경험하는 (gyeong-heom-ha-neun) 장면들을 빠르게 교차하여 보여줍니다. This PSA aims to change the image of national heritage (formerly cultural properties), often perceived as rigid and difficult, into a public-friendly one. The ad rapidly alternates between scenes of the younger generation freely dancing in front of heritage sites and experiencing the heritage in modern attire.

광고의 핵심 슬로건 (seul-lo-geon)은 "시간의 흐름을 담아, 세대를 잇는 이야기. 국가유산, 이제 즐거움이 되다" 입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문법 요소는 바로 명사 뒤에 붙어 **'변화의 결과'**를 나타내는 '-이/가 되다'입니다. '유산'이 단순히 보존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즐거움(경험)'이라는 능동적인 가치로 바뀌었다는 선언을 담고 있습니다. The core slogan is "Containing the flow of time, a story connecting generations. National Heritage, now it becomes joy." The most critical grammar element is '-i/ga doe-da', which follows a noun to indicate the 'result of a change.' It declares that 'heritage' has transformed from a mere object of preservation into an active value of 'joy (experience).'


✏️ 연습 문제Practice Questions

1. 'A가 B가 되다'의 문법을 활용하여 다음 문장을 완성하세요. Complete the following sentence using the grammar pattern 'A becomes B.'

(단순히 보는 것)이 (참여하는 활동)으로 _____. Just seeing became a participatory activity.

2. '마주하다' 동사를 사용하여 '경복궁 앞에서 친구를 만나다'라는 의미를 좀 더 문어적으로 쓰세요. Use the verb '마주하다' to rewrite 'meeting a friend in front of Gyeongbokgung Palace' in a more literary style.

→ 경복궁 앞에서 _____

정답 (Answers)

1. (단순히 보는 것)이 (참여하는 활동)으로 **되었습니다/됐다**.

2. 경복궁 앞에서 친구와 **마주했습니다/마주했다**.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 2025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

#국가유산 #문화재 #한국어변화형 #되다 #마주하다 #공익광고 #NationalHeritage #CulturalProperty #KoreanChange #PSA #KoreanLesson

popular & loved

Topik writing type no.53! How to prepare?

Indepth Korea_K-food, 이제 일상 간식까지 인기! (K-Food Tourist Snack Trend)

🛣️Mastering Korean / 한국어 장소 부사 : 여기, 저기, 거기

📖Top-Level Korean Grammar and Expressions① 존댓말 압존법

TOPIK60_DAY29 : 유추하다, 짐작하다, ~(으)면

Confused Korean Grammar: ~거든요, ~(으)면, ~ㄹ/을지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