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장님, 그건 선 넘으셨어요"…Z세대가 뽑은 '최악의 점심 질문' 1위는 바로"Boss, that's crossing the line"... The top 'worst lunch question' chosen by Gen Z
Z세대(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 출생)는 점심시간 상사와의 스몰토크에서 연애·가족 등 개인적인 질문에 불편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라리 일 이야기를 선호한다는 응답이 많았다.
Gen Z (born from the mid-1990s to early 2000s) feel uncomfortable with personal questions about dating or family from their bosses during small talk at lunch. Many of them prefer to talk about work instead.
마이클, 주말에 뭐 했어요? 혹시 여자친구랑 데이트라도 했어요? 😊
Mike, what did you do this weekend? Did you go on a date with your girlfriend? 😊
(속으로: 아… 또 시작이네. 😔) 아… 아니요, 그냥 집에서 쉬었습니다. 대리님은 주말에 뭐 하셨어요?
(In his mind: Oh... here we go again. 😔) Oh... no, I just rested at home. What did you do this weekend, Deputy Manager?
최악의 점심 질문에 대한 Z세대의 솔직한 생각Gen Z's honest thoughts on the worst lunch questions
최근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는 Z세대 구직자 1733명을 대상으로 '상사와의 식사 자리에서 가장 피하고 싶은 상황'을 설문한 결과를 공개했다.
Recently, the recruitment platform Jinhaksa Catch released a survey of 1,733 Gen Z job seekers on the 'situations they most want to avoid when eating with a boss'.
불편한 질문 유형 TOP 3 (복수 응답) | Top 3 Uncomfortable Question Types (multiple responses)
1위: 정치 관련 질문 - "대통령 누구 뽑으려고?" (53%)
1st: Questions about politics - "Who are you going to vote for president?" (53%)
2위: 연애·결혼 관련 질문 - "연애는 해?" (41%)
2nd: Questions about dating/marriage - "Are you dating?" (41%)
3위: 취미·여가 관련 질문 - "주말에는 뭐해?" (38%)
3rd: Questions about hobbies/leisure - "What do you do on weekends?" (38%)
해당 질문이 불편한 이유로는 '너무 사적인 이야기라서'가 55%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 '존중이 부족하다고 느껴서'(17%), '농담·뒷말·소문으로 이어질까봐'(11%) 등의 이유가 있었다.
The top reason for this discomfort was 'because it's too private' at 55%. Other reasons included 'feeling a lack of respect' (17%), and 'fear of it leading to jokes, gossip, or rumors' (11%).
대화 및 문법 요소 집중 학습Focused Learning on Dialogue & Grammar Elements
1. 선(을) 넘다
[seon-eul neom-da] (Idiom) to cross the line
의미: 허용되는 범위를 벗어나 무례하거나 지나친 행동을 할 때 쓰는 표현입니다.
Meaning: Used when someone acts rudely or excessively, going beyond an acceptable boundary.
예시:
부장님, 아무리 친해도 사적인 질문은 선 넘는 행동인 것 같습니다.
Boss, even if we are close, asking private questions seems to be crossing the line.
2. ...라도 했어요?
[ra-do haet-eo-yo] (Grammar) "Did you at least...?" or "Did you perhaps...?"
의미: 상대방에게 어떤 가능성 있는 행동을 조심스럽게 추측하며 묻는 표현입니다.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한 부드러운 질문으로 사용됩니다.
Meaning: Used to cautiously guess and ask about a possible action from the other person. It's a soft way to ask about an unexpected situation.
3. ...에 불편함(을) 느끼다
[e bul-pyeon-ham-eul neu-ggi-da] (Expression) to feel uncomfortable with...
의미: 특정 상황이나 행동에 대해 불쾌하거나 편하지 않은 감정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Meaning: An expression used to show a feeling of displeasure or discomfort about a specific situation or action.
예시:
Z세대는 사적인 질문에 불편함을 느낍니다.
Gen Z feels uncomfortable with private questions.
4. ...는 것으로 나타났다
[neun geo-seo na-ta-nat-da] (Grammar) "It was shown that..." or "It was revealed that..."
의미: 어떤 조사나 연구의 결과로 특정 사실이 밝혀졌음을 객관적으로 설명하는 문어체 표현입니다.
Meaning: A written style expression used to objectively explain that a certain fact has been revealed as a result of a survey or study.
예시:
Z세대는 개인적인 질문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was shown that Gen Z feels burdened by personal questions.
(회의실에서) 그런데 마이클은 회사 동료와 친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대. 상사와의 관계는 좀 조심하는 것 같던데, 동료와는 좀 다른가 봐.
(In the meeting room) But Mike thinks he can become friends with his colleagues. He seems cautious about relationships with bosses, but it looks different with colleagues.
직장 동료와는 친구가 될 수 있다?Can you be friends with colleagues?
반면 '직장 동료와 친구가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82%가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초기엔 거리감을 유지하길 바라지만, 시간이 지나 신뢰가 쌓이면 친밀한 관계로 발전할 수 있다는 해석이다.
On the other hand, to the question, 'Can you be friends with your colleagues?', 82% responded "Yes, it's possible". This is interpreted as them wanting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initially, but being able to develop close relationships once trust is built over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