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pth Korean : Korean money story _한국 돈(화폐) 이야기로 배우는 한국어!

비하인드 머니: 한국 화폐, 그 인물과 은밀한 속삭임 - Super Real Korean
Korean Banknotes Stacked

한국 화폐
그 인물과 은밀한 속삭임

Behind the Money: Korean Currency, Its Figures and Secret Whispers

지갑 속 잠자는 돈, 그저 종잇조각이라 생각했나요? 사실 한국의 지폐 한 장 한 장에는 위대한 인물들의 숨겨진 이야기와, 상상 이상의 첨단 기술, 그리고 때로는 뜨거운 논란의 흔적까지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지금부터 ‘비하인드 머니’의 세계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Did you think the money sleeping in your wallet was just a piece of paper? In fact, every single Korean banknote contains hidden stories of great figures, advanced technology beyond imagination, and sometimes even traces of heated controversy. Now, we invite you to the world of 'Behind the Money'!

현재 환율 기준으로 각 지폐의 달러 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KRW ≈ 0.00072 USD)

Based on the current exchange rate, the dollar value of each banknote is as follows. (1 KRW ≈ 0.00072 USD)

1. 지폐 속 인물, 누가 어떻게 선택될까? - 논란과 비하인드 스토리

1. Figures on Banknotes: How Are They Chosen? - Controversies and Behind-the-Scenes Stories

한국 지폐 속 인물들은 단순히 학문적 업적만을 기준으로 선정되는 것이 아닙니다.

The figures on Korean banknotes are not chosen based solely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시대정신과 국민적 합의, 그리고 때로는 흥미진진한(?) 논쟁까지 거쳐야만 지폐의 얼굴이 될 수 있습니다.

They must go through the spirit of the times, national consensus, and sometimes even exciting (?) debates to become the face on a banknote.

1,000원권: 퇴계 이황 – '마른 몸매' 논란 속 고고함 (약 0.72 USD)

1,000-Won Bill: Toegye Yi Hwang – Nobility Amidst 'Thin Physique' Controversy (Approx. 0.72 USD)

이황 초상화

조선 성리학의 거장, 퇴계 이황 선생. 1,000원권의 얼굴인 그는 사실 처음 발행되었을 때 '지나치게 야위고 병약해 보인다'는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습니다.

Toegye Yi Hwang, the great master of Neo-Confucian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face of the 1,000-won bill, was actually embroiled in controversy when it was first issued, with people saying he looked 'excessively thin and sickly'.

하지만 고증 결과, 퇴계 선생이 생전에 잔병치레가 많고 마른 체형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논란은 일단락되었죠.

However, historical research revealed that Master Toegye had many minor illnesses and a slender build during his lifetime, which brought the controversy to an end.

지폐 속 퇴계 이황의 모습은 그의 고매한 학문적 성취와 함께, 육체의 나약함 속에서도 굳건했던 정신을 엿볼 수 있게 합니다.

The depiction of Toegye Yi Hwang on the banknote allows us to glimpse his noble academic achievements and his steadfast spirit even amidst physical frailty.

그를 따랐던 영남학파 제자들의 무한한 존경심은 물론, 이황 선생이 제자들을 위해 직접 지은 병풍인 <성학십도>가 도산서원에 남아 그의 교육에 대한 열정을 보여줍니다.

Not only the immense respect of his Youngnam faction disciples who followed him, but also the screen, personally written by Yi Hwang for his disciples, remains at Dosan Seowon, demonstrating his passion for education.

어휘: 고증 (考證)

Vocabulary: Gojeung (Historical Research)

발음: [고증]

Pronunciation: [go-jeung]

의미: 옛 문헌이나 유물 등을 연구하여 사실을 명확히 밝히는 것.

Meaning: The act of clarifying facts by researching old documents or artifacts.

예문: 이 그림의 진위 여부를 고증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걸렸다.

Example: It took a lot of time to authenticate the authenticity of this painting.

5,000원권: 율곡 이이 – '서양인 율곡'의 탄생 비화 (약 3.60 USD)

5,000-Won Bill: Yulgok Yi I – The Secret Story of 'Western Yulgok's' Birth (Approx. 3.60 USD)

율곡 이이 초상화

퇴계 이황과 함께 조선 성리학의 쌍벽을 이루는 율곡 이이 선생.

Yulgok Yi I, who along with Toegye Yi Hwang, forms the twin pillars of Joseon Neo-Confucianism.

지금의 5,000원권에 익숙한 우리는 아마 깜짝 놀랄 이야기가 있습니다.

For those of us familiar with the current 5,000-won bill, there's a surprising story.

1972년 처음 발행된 5,000원권의 율곡 이이 초상화가 지금과는 전혀 다른, 마치 서양인 같은 모습이었다는 사실!

The portrait of Yulgok Yi I on the 5,000-won bill, first issued in 1972, was completely different from what it is now, looking almost like a Westerner!

당시 국내 기술로는 화폐 원판 제작이 어려워 영국의 조폐회사에 의뢰했는데, 서양인 디자이너가 동양인의 이목구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빚어진 해프닝이었습니다.

At that time, it was difficult to produce currency plates with domestic technology, so it was commissioned to a British minting company, and it was a happenstance caused by the Western designer's lack of proper understanding of East Asian features.

이 때문에 '서양 율곡'이라는 별명까지 붙었으나, 1977년 지금의 익숙한 모습으로 교체되면서 비로소 제자리를 찾았습니다.

Because of this, he was even nicknamed 'Western Yulgok,' but he finally found his proper place when he was replaced with the familiar current appearance in 1977.

어휘: 해프닝 (happening)

Vocabulary: Haepening (Happening/Incident)

발음: [해프닝]

Pronunciation: [hae-peu-ning]

의미: 예상치 못하게 일어난 사건이나 소동.

Meaning: An unexpected event or commotion.

예문: 어제 파티에서 작은 해프닝이 있었지만, 모두 즐거웠다.

Example: There was a small happenstance at the party yesterday, but everyone had fun.

10,000원권: 세종대왕 – 화폐계의 '슈퍼모델' (약 7.20 USD)

10,000-Won Bill: King Sejong – The 'Supermodel' of Currency (Approx. 7.20 USD)

세종대왕 초상화

말이 필요 없는 우리 역사상 최고의 성군, 세종대왕.

King Sejong, the greatest sage ruler in our history, needs no introduction.

10,000원권의 위엄을 담당하는 그는 사실 화폐계의 '슈퍼모델'이라 불릴 만큼 다양한 화폐에 얼굴을 비쳤습니다.

He, who is responsible for the dignity of the 10,000-won bill, has actually appeared on various currencies to the extent that he is called the 'supermodel' of the currency world.

1960년대 1,000환권, 500환권의 모델을 거쳐, 1973년 10,000원권의 주인공이 되었죠.

He became the model for the 1,000 hwan and 500 hwan notes in the 1960s, then became the main figure on the 10,000-won note in 1973.

원래 10,000원권의 초기 도안은 석굴암과 불국사였으나, 종교적 색채가 짙다는 반발로 세종대왕으로 변경되었습니다.

Originally, the initial design for the 10,000-won note featured Seokguram Grotto and Bulguksa Temple, but due to opposition that it had a strong religious overtone, it was changed to King Sejong.

지폐 뒷면에는 세종대왕의 애민정신과 과학 기술 발전의 상징인 혼천의와 천상열차분야지도가 그려져 있어, 그의 업적을 다시 한번 기리게 합니다.

On the back of the banknote, the spirit of loving the people of King Sejong and symbols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armillary sphere and Cheonsang Yeolcha Bunyajido (Celestial Chart), are depicted, commemorating his achievements once again.

문법: -ㄹ/을 만큼

Grammar: -l/eul mankeum (To the extent that / As much as)

발음: [을 만큼]

Pronunciation: [eul man-keum]

의미: 앞의 내용이 뒤의 내용에 도달할 정도임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Meaning: Used to indicate that the preceding content is to the extent of reaching the following content.

예문: 그 영화는 너무 슬퍼서 눈물이 날 만큼 울었다.

Example: The movie was so sad that I cried to the point of tears.

어휘: 애민정신 (愛民精神)

Vocabulary: Aemin-jeongsin (Spirit of Loving the People)

발음: [애민정신]

Pronunciation: [ae-min-jeong-sin]

의미: 백성을 사랑하고 아끼는 마음가짐이나 태도.

Meaning: The mindset or attitude of loving and cherishing the people.

예문: 세종대왕은 백성을 위한 애민정신으로 한글을 창제했다.

Example: King Sejong created Hangeul with a spirit of loving the people.

50,000원권: 신사임당 – 최초의 여성 화폐 인물, 그리고 논란 (약 36.00 USD)

50,000-Won Bill: Shin Saimdang – The First Female Currency Figure, and Controversy (Approx. 36.00 USD)

신사임당 초상화

대한민국 최고액권인 50,000원권의 주인공 신사임당.

Shin Saimdang, the main character on South Korea's highest denomination banknote, the 50,000-won bill.

그녀는 대한민국 화폐 사상 최초의 여성 인물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집니다.

She holds great significance as the first female figure in the history of South Korean currency.

하지만 2007년 인물 선정 당시 '현모양처' 이미지에 국한된 여성 인물 선정이라며 여성계의 뜨거운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However, when she was selected in 2007, it sparked heated controversy among women's groups, arguing that the selection of a female figure was limited to the 'wise mother and good wife' image.

특히 율곡 이이의 어머니라는 점 때문에 '모자(母子) 지폐'라는 진기록을 세우기도 했죠.

In particular, because she was the mother of Yulgok Yi I, it set a unique record of being a 'mother-son banknote'.

지폐 앞면의 신사임당 초상화는 그녀의 예술적 재능을 기리는 묵포도도(墨葡萄圖)와 초충도(草蟲圖)가 배경에 은은하게 자리 잡고 있습니다.

On the front of the banknote, Shin Saimdang's portrait is subtly set against the background of Mookpododo (ink grape painting) and Chochungdo (insect and plant painting), commemorating her artistic talent.

특히 묵포도도는 '닭이 실제 포도인 줄 알고 쪼았다'는 일화가 전해질 정도로 신사임당의 그림 실력을 짐작게 합니다.

In particular, Mookpododo is said to have been so realistic that 'a chicken pecked at it thinking it was real grapes,' which suggests Shin Saimdang's painting skills.

어휘: 짐작하다

Vocabulary: Jimjak-hada (To guess / To presume)

발음: [짐작하다]

Pronunciation: [jim-jak-ha-da]

의미: 어떤 사실이나 상황을 어렴풋이 헤아려 아는 것.

Meaning: To vaguely infer or understand a certain fact or situation.

예문: 그의 표정을 보니 무슨 일이 있었는지 짐작할 수 있었다.

Example: Seeing his expression, I could guess what had happened.

2. 눈에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다! – 화폐 제작의 비밀

2. What Meets the Eye Isn't Everything! – The Secrets of Currency Production

지갑 속 화폐는 단순히 종이에 인쇄된 것이 아닙니다.

The currency in your wallet is not merely printed on paper.

위조를 막기 위한 첨단 기술과 수많은 장인의 노력이 집약된 '작은 예술품'이자 '보안 문서'입니다.

It is a 'small work of art' and a 'security document' that embodies advanced technology to prevent counterfeiting and the efforts of countless artisans.

특수 종이의 비밀: 우리가 만지는 지폐는 일반 종이와 다릅니다.

The Secret of Special Paper: The Banknotes We Touch Are Different from Ordinary Paper.

면섬유와 특수 재료로 만들어져 수많은 사람의 손을 거쳐도 쉽게 훼손되지 않는 뛰어난 내구성을 자랑합니다.

Made from cotton fibers and special materials, they boast excellent durability, not easily damaged even after passing through countless hands.

또한 형광색사, 은선 등 위조 방지를 위한 특수 재료가 숨겨져 있어 자외선 램프를 비추면 숨겨진 문양이나 색깔이 드러나 위조 여부를 판별할 수 있습니다.

In addition, special anti-counterfeiting materials such as fluorescent threads and security threads are hidden, and when illuminated with a UV lamp, hidden patterns or colors are revealed, allowing for the determination of authenticity.

첨단 인쇄 기술: 한국조폐공사의 화폐 제작 공정은 상상을 초월하는 보안과 정교함을 자랑합니다.

Advanced Printing Technology: KOMSCO's Currency Production Process Boasts Security and Precision Beyond Imagination.

특히 '요판인쇄'는 지폐를 만졌을 때 오돌토돌하게 느껴지는 인물이나 문자 부분으로, 잉크를 두껍게 입혀 위조를 어렵게 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In particular, 'intaglio printing' is a key technology that makes counterfeiting difficult by applying thick ink to the raised parts of figures or characters that feel bumpy when you touch the banknote.

빛의 각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는 '색변환 잉크'나 미세한 문자, 홀로그램 등은 육안으로는 식별하기 어려운 첨단 기술의 집합체입니다.

Color-shifting ink that changes color depending on the angle of light, micro-text, and holograms are all a collection of advanced technologies that are difficult to discern with the naked eye.

#한국화폐 #지폐인물 #세종대왕 #신사임당 #율곡이이 #퇴계이황 #한국문화 #화폐제작 #위조방지 #KoreanCurrency #KoreanCulture

© 2025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