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ller Korean in 60 Seconds(+Topik focused) "채권‘ 과 ’채무‘ Bond/Credit and Debt
This blog introduces important keywords strategical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xam or Korean business.
이 블로그는 한국어 시험이나 한국어 비즈니스에 전략적으로 쓰이고 중요한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회사는 새로운 설비 투자를 위해 대규모 채권을 발행하기로 결정했다.
The company decided to issue a large-scale bond (or credit) for new facility investment.
계약서상 명시된 만기일에 채무를 이행하지 못하면 법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Failure to fulfill the debt obligation by the contractually specified maturity date may result in legal issues.
개인의 채무를 관리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수입 범위 내에서 지출하는 것이다.
The best way to manage personal debt is to spend within one's income.
단어분석
채권 (Chae-gwon) : 채(Chae) 권(Gwon) / 특정인(채권자)이 다른 특정인(채무자)에게 어떤 행위를 요구할 수 있는 법적 권리. (A legal right of a specific person (creditor) to demand a certain act from another specific person (debtor)/Bond, Credit, Claim.)
채무 (Chae-mu) : 채(Chae) 무(Mu) / 특정인(채무자)이 다른 특정인(채권자)에게 특정한 행위를 해야 할 법적 의무. (A legal obligation of a specific person (debtor) to perform a specific act for another specific person (creditor)/Debt, Obligation.)
채권자 (Chae-gwon-ja) : 채(Chae) 권(Gwon) 자(Ja) / 돈을 받을 권리(채권)를 가진 사람 또는 기관. (A person or institution that has the right to receive money (credit)/Creditor.)
채무자 (Chae-mu-ja) : 채(Chae) 무(Mu) 자(Ja) / 돈을 갚을 의무(채무)를 가진 사람 또는 기관. (A person or institution that has the obligation to repay money (debt)/Debtor.)
채권과 채무 설명문단
채권(債權)과 채무(債務)는 법률적 관점에서 볼 때 동전의 양면과 같습니다. 누군가에게 **돈을 받을 권리**가 있다면 그것이 바로 **채권**이며, 반대로 **돈을 갚아야 할 의무**가 있다면 그것이 **채무**가 됩니다. 예를 들어, 은행에서 대출을 받는 경우, 은행은 **채권자**로서 돈을 돌려받을 **채권**을 가지게 되고, 대출을 받은 개인이나 기업은 **채무자**로서 돈을 갚을 **채무**를 지게 됩니다.
From a legal perspective, Bond/Credit (채권) and Debt (채무) are two sides of the same coin. If someone has the **right to receive money**, that is the **bond/credit (채권)**; conversely, if they have the **obligation to repay money**, that becomes the **debt (채무)**. For example, when taking out a loan from a bank, the bank, as the **creditor (채권자)**, has the **credit (채권)** to be repaid, and the individual or company who took the loan, as the **debtor (채무자)**, incurs the **debt (채무)** to repay it.
📝 보고서 작성에 필수적인 핵심 구문 (비즈니스 어휘)
금융 시장에서 **채권**은 정부나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유가증권의 형태로도 자주 사용됩니다. 이때 **채권**을 매입하는 투자자는 **채권자**가 되어 일정 기간 후 원금과 이자를 돌려받을 **권리**를 가지게 됩니다. 반대로 **채권**을 발행한 주체는 **채무자**로서 정해진 약속을 이행할 **의무**가 생깁니다. 따라서 **채권**과 **채무**는 계약, 대출, 투자 등 거의 모든 경제 활동의 기본이 되며, 특히 비즈니스 한국어에서는 계약의 당사자를 정확히 지칭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개념입니다.
In the financial market, bonds (채권) are often used as securities issued by governments or corporations to raise funds. The investor who purchases the **bond** becomes the **creditor** and gains the **right** to receive the principal and interest back after a certain period. Conversely, the entity that issued the **bond** becomes the **debtor** and assumes the **obligation** to fulfill the stated promise. Thus, **credit/bonds** and **debt** are fundamental to almost all economic activities, including contracts, loans, and investments, and are essential concepts for accurately referring to the parties to a contract in Business Korean.
💼 30분 비즈니스 한국어: 계약 및 협상 용어 (비즈니스 한국어)
**채권**의 안정성이나 **채무** 상환 능력은 신용도를 판단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높은 신용도는 낮은 이자로 **채권**을 발행하거나 대출을 받을 수 있게 하지만, 신용도가 낮으면 **채권** 발행이 어렵거나 높은 이자를 부담해야 합니다. 개인적인 금융 관점에서나 기업의 재무 상태를 분석할 때, 이 두 용어를 명확하게 구별하고 이해하는 것은 한국 사회에서 성공적인 경제 활동을 위한 기초 소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The stability of a **bond** or the ability to repay a **debt** is a key indicator for judging creditworthiness. High creditworthiness allows for the issuance of **bonds** or loans at low-interest rates, while low creditworthiness makes **bond** issuance difficult or requires bearing high-interest rates. Whether analyzing personal finances or corporate financial status, clearly distinguishing and understanding these two terms is basic common sense for successful economic activity in Korean society.
어떻게 사용할까요? (How to Use?)
'채권'과 '채무'는 투자, 법률, 계약 등 전문적인 상황에서 정확성을 요구하는 필수 용어입니다.
'Bond/Credit' and 'Debt' are essential terms that require accuracy in specialized situations like investment, law, and contracts.
- ▶️ 투자 논의 시: "현재 발행된 국채는 원리금 상환의 **채권**으로서 매우 안전한 투자처로 간주됩니다."
- ▶️ 계약서 작성 시: "**채무** 불이행 시 **채권자**는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조항을 명시해야 합니다."
- ▶️ 비즈니스 뉴스 시: "정부는 **채무** 부담이 큰 기업들을 대상으로 구조조정 방안을 마련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