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time job opportunity in Korea _ New Ways to Solve Labor Shortages: Foreign Students

한국, '알바 인력난' 해소하는 외국인 유학생 (Foreign Students Alleviate Korea's Job Shortage)

한국, '알바 인력난' 해소하는 외국인 유학생
Foreign Students Alleviating Korea's 'Part-Time Job Shortage'

외국인 유학생이 메우는 서울 도심 알바 공백
Foreign Students Fill Part-Time Job Gaps in Seoul

외국인 알바 서울

오늘의 필수 어휘 및 문법
Today's Essential Vocabulary and Grammar

1. 인력난 (illyeoknan) / Manpower Shortage

의미: 일할 사람이 부족하여 겪는 어려움. Meaning: Difficulty experienced due to a lack of people to work. (Manpower Shortage)

2. 시급 (sigeup) / Hourly Wage

의미: 일한 시간에 따라 계산하는 임금. Meaning: Wages calculated based on the time worked. (Hourly Wage)

3. ~에 따르면 (~e ttareumyeon) / According to

의미: 어떤 정보의 출처나 근거를 밝힐 때 사용합니다. (격식 있는 표현) Meaning: Used to state the source or basis of information. (According to)

지난 3일 오후, 서울 광화문 도심 식당에서 동남아시아 및 백인 유학생 직원이 손님을 맞았습니다. 이들은 학비와 생활비를 벌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는 외국인 유학생이었습니다. (On the afternoon of the 3rd, Southeast Asian and Caucasian international students greeted customers at a downtown Gwanghwamun restaurant. They were all **international students** working part-time to earn tuition and living expenses.)

한국 구직 기회 (Korean Job Opportunities)

한국의 20·30대가 홀 서빙이나 주방 보조 같은 아르바이트를 기피하면서, 유학생들이 서울 도심 식당의 빈자리를 메우고 있는 것입니다. (As South Koreans in their 20s and 30s **avoid** part-time jobs like hall serving or kitchen assistance, international students are filling those **vacancies** in Seoul's downtown restaurants.)

한국에서 발견할 새로운 세상 (A New World in Korea)

통계로 본 증가 추이와 유학생 채용 조건
Statistical Trends and Hiring Conditions for International Students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음식점/숙박 업소 취업 외국인은 2022년 10만 7천 명에서 지난해 13만 1천 명으로 22.4% 증가했습니다. 유학(D-2)·어학 연수(D-4) 비자 외국인도 2024년 26만 3천 명으로 크게 늘었습니다. (According to the National Data Agency, the number of foreigners employed in restaurants and accommodations increased by 22.4% from 107,000 in 2022 to 131,000 last year. Foreigners entering on study (D-2) or language training (D-4) vis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o 263,000 in 2024.)

미얀마 출신 A씨(32)는 광화문 고깃집에서 시급 1만 5천 원을 받으며 서빙 중입니다. 유학생은 주중 최장 30시간 조건만 지키면 채용이 자유로우나, 고용 허가제 비자(E-9)는 식당 업력 5년 이상 등 조건이 까다롭습니다. (A 32-year-old from Myanmar, Mr. A, has been serving at a Gwanghwamun BBQ restaurant, earning an hourly wage of 15,000 KRW. While **international students** are free to be hired as long as they adhere to the maximum 30 hours per week,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visa (E-9) has strict conditions, such as the restaurant having an operating history of over 5 years.)

업주들 역시 유학생을 선호합니다. 한식당 사장은 "유학생들은 시간을 잘 지키고 손님 응대도 잘해 만족스럽다"고 말했습니다. (Restaurant owners **tend** to prefer international students. One Korean restaurant owner stated, "I'm **satisfied** because international students are punctual and handle customer service well.")

30분 비즈니스 한국어: Day 21 (30 Min Business Korean: Day 21)

Simple Test: 한국어 복습 시험 (Korean Review Test)

  1. 다음 문장에서 '인력난'의 의미로 가장 적절한 것은?

    What is the most appropriate meaning of '인력난' in the following sentence?

    "한국 20·30대가 아르바이트를 기피하면서 식당의 인력난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 ① 사람이 너무 많아서 생기는 문제 (A problem caused by too many people)
    • ② 일할 사람이 부족해서 생기는 어려움 (Difficulty caused by a lack of people to work)
    • ③ 사람들이 모두 같은 일만 하려는 현상 (A phenomenon where everyone wants to do the same job)
    • ④ 외국인이 너무 많아 발생하는 사회 문제 (A social problem caused by too many foreigners)
  2. 빈칸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표현은?

    What is the most appropriate expression for the blank?

    "국가데이터처 ______ 음식점과 숙박 업소에 취업한 외국인이 크게 늘었습니다."

    • ① ~에 불구하고 (despite)
    • ② ~에 대해 (about/regarding)
    • ③ ~에 따르면 (according to)
    • ④ ~으로 인해 (due to)

© 2025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popular & loved

Topik writing type no.53! How to prepare?

Indepth Korea_K-food, 이제 일상 간식까지 인기! (K-Food Tourist Snack Trend)

🛣️Mastering Korean / 한국어 장소 부사 : 여기, 저기, 거기

📖Top-Level Korean Grammar and Expressions① 존댓말 압존법

TOPIK60_DAY29 : 유추하다, 짐작하다, ~(으)면

Confused Korean Grammar: ~거든요, ~(으)면, ~ㄹ/을지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