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epth Korea :중국인 아내, 미국인 남편_ 10% of Seoul's Marriages Are International

중국인 아내, 미국인 남편, 서울 결혼의 10%가 국제결혼! (Chinese Wives, American Husbands: 10% of Seoul's Marriages Are International!)

중국인 아내, 미국인 남편
서울 결혼의 10%가 국제결혼! (Chinese Wives, American Husbands: 10% of Seoul's Marriages Are International!)

오늘의 필수 어휘 3가지
Today's 3 Essential Vocabulary Words

1. 국제결혼 (Gukje-gyeolhon)

의미: 국적이 다른 사람과 하는 결혼. Meaning: Marriage between people of different nationalities. (International Marriage)

요즘 국제결혼이 점점 많아지고 있습니다. Recently, international marriages are becoming more and more common.

2. 가구 (Gagu)

의미: 함께 살고 있는 사람들의 모임. Meaning: A group of people living together. (Household)

서울에는 1인 가구가 가장 많습니다. In Seoul, single-person households are the most common.

3. 감소세 (Gamssose)

의미: 점점 줄어드는 추세나 흐름. Meaning: A trend or tendency to decrease. (Decreasing Trend)

이혼율은 꾸준히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The divorce rate is showing a steady decreasing trend.

안녕하세요, 한국어 학습자 여러분! 오늘은 서울 시민들의 결혼과 가족 형태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통계 소식을 가져왔습니다. (Hello, Korean learners! Today, we have brought some interesting statistics news about the changes in marriage and family forms of Seoul citizens.)

최근 서울 시민의 결혼 건수가 2년 연속 증가하며, 특히 외국인과의 결혼도 크게 늘어 지난해 전체 결혼의 약 10%를 차지했습니다. (The number of marriages among Seoul citizens has recently increased for the second consecutive year, with a significant rise in international marriages, accounting for about 10% of all marriages last year.)

서울시는 15일 통계청 인구총조사와 인구동향조사 등 국가승인통계를 토대로 혼인·이혼 추이와 가구 구조 변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서울시민의 결혼과 가족 형태의 변화’를 발표했다. On the 15th,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nounced 'Changes in Marriage and Family Forms of Seoul Citizen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marriage and divorce trends and changes in household structure based on national approved statistics such as the Census and Population Trends Survey.

발표에 따르면 서울시민의 혼인 건수는 코로나19 팬데믹 때인 2020년 4만4746건에서 2022년 3만5752건으로 급감했다가, 코로나19 종식 후인 2023년 3만6324건으로 반등했다. 지난해 역시 전년보다 16.9% 증가한 4만2471건을 기록했다. 초혼 평균 연령은 남성 34.3세, 여성 32.4세로 과거보다 높아졌다. According to the announcement, the number of marriages among Seoul citizens sharply dropped from 44,746 in 2020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o 35,752 in 2022, but rebounded to 36,324 in 2023 after the end of the pandemic. Last year, it also recorded an increase of 16.9% from the previous year, reaching 42,471 cases. The average age for first marriage has risen to 34.3 for men and 32.4 for women, higher than in the past.

국제결혼 건수도 늘었다. 지난해 국제결혼은 4006건으로 전체 결혼의 9.4%를 차지했다. 한국인 남편-외국인 아내가 2633건, 외국인 남편-한국인 아내가 1373건이었다. 아내가 외국인인 경우 국적은 중국이 가장 많았다. 남편이 외국인인 경우엔 미국 국적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The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s also increased. Last year, international marriages totaled 4,006, accounting for 9.4% of all marriages. There were 2,633 cases of Korean husbands with foreign wives, and 1,373 cases of foreign husbands with Korean wives. Among foreign wives, Chinese nationality was the most common. Among foreign husbands, American nationality was overwhelmingly the most common.

이 같은 추세에 다문화가구도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약 7만8000가구로 가구원 수는 처음으로 20만명을 넘어섰다. 국제결혼을 통해 형성된 가정이 다수를 차지하지만, 귀화자·다문화 2세 등 다양한 배경의 가족 형태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Following this trend, multicultural households also increased. As of last year, there were about 78,000 households, and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exceeded 200,000 for the first time. While families formed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 constitute the majority, diverse family forms such as naturalized citizens and second-generation multicultural individuals are also gradually increasing.

이혼은 전반적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2003년 3만2499건까지 치솟았던 이혼 건수는 점차 감소해 지난해 1만2154건까지 떨어졌다. 다만 평균 이혼 연령은 높아졌다. 지난해 이혼 연령은 남성 51.9세, 여성 49.4세로 2000년(남성 40.8세, 여성 37.4세)과 비교해 10년 이상 올랐다. 2000년 3%대였던 60세 이상 황혼이혼 비율은 지난해 25% 수준으로 급등했다. Divorce, on the whole, showed a decreasing trend. The number of divorces, which peaked at 32,499 in 2003, gradually decreased to 12,154 last year. However, the average age of divorce has risen. Last year's divorce age was 51.9 for men and 49.4 for women, which is more than 10 years older than in 2000 (40.8 for men, 37.4 for women). The rate of 'twilight divorces' (divorces for those aged 60 and over), which was in the 3% range in 2000, surged to 25% last year.

한편 서울의 1인 가구는 약 166만 가구로 전체의 39.9%를 차지했다. 2인 가구(26.2%), 4인 가구(12.3%)보다 가장 보편적인 가구 형태로 자리 잡았다. 65세 이상 가구원이 1명이라도 속한 ‘고령자 가구’ 비중은 처음으로 30%대를 넘어섰다. 혼인이나 혈연으로 맺어지지 않은 ‘비친족 가구’는 2016년 6만여 가구에서 지난해 12만여 가구로 증가했다. Meanwhile, single-person households in Seoul accounted for about 1.66 million households, or 39.9% of the total. They have become the most common household type, more so than two-person households (26.2%) or four-person households (12.3%). The proportion of 'elderly households' with at least one member aged 65 or older exceeded 30% for the first time. 'Non-kin households,' not bound by marriage or blood relations, increased from about 60,000 in 2016 to about 120,000 last year.

오늘 배운 어휘와 문법을 사용해 다음 문장을 완성해 보세요!
1. 이 통계 ______________, 서울에서 국제결혼이 증가하고 있어요. (according to this statistic)
2. 서울에서 1인 가구가 전체의 39.9% _____________. (occupies/accounts for)

A visual represent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individuals in Korea, showing a diverse group of people from different backgrounds.

오늘의 유용한 문법 3가지
Today's 3 Useful Grammar Points

1. ~에 따르면 (~e dareumyeon)

의미: 특정 정보의 출처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Meaning: Used to indicate the source of specific information. (According to...)

뉴스 에 따르면, 내일 날씨가 좋을 거래요. According to the news, the weather will be good tomorrow.

2. ~를 차지하다 (~reul chajihada)

의미: 어떤 부분이나 비율을 차지함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Meaning: Used to show that something occupies or accounts for a certain portion or percentage. (To occupy/account for)

서울의 1인 가구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Single-person households in Seoul account for the largest proportion.

3. ~은/는 (~eun/neun)

의미: 문장에서 주어가 되는 단어 뒤에 붙어, 그 단어가 문장의 주제임을 나타냅니다. Meaning: Attached to a noun to indicate that it is the topic of the sentence. (Topic Marker)

서울의 결혼 건수 2년 연속 증가했습니다. The number of marriages in Seoul has increased for two consecutive years.

© 2025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