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ongjae Lee+ Lim Ji-yeon #Nice to Not Meet You_ ep 19('얄미운 사랑' 한국어)+Korean drama
K-드라마 '얄미운 사랑' (19)
'특종을 전하려는 배우 vs. 집요하게 묻는 기자'
Learning Korean with K-Drama 'Nice to Not Meet You' ep.19
The Actor with a Scoop vs. The Persistent Reporter
K-드라마 '얄미운 사랑' EP.5의 선공개 장면은 배우 이정재와 기자 임지연의 **긴장감(gin-jang-gam)** 넘치는 만남을 보여줍니다. 이정재는 **급한 일(geu-pan il)**이 있다며 광고 촬영까지 **어쩌고(eo-jjeo-go, 대충 하고)** 임지연을 **직접(jik-jeop)** 찾아와 자신의 **소식(so-sik)**, 즉 **특종(teuk-jong)**을 전하려 합니다. 하지만 임지연 기자의 **집요함(jib-yo-ham)** 앞에 이정재는 결국 **회피(hoe-pi)**하며 자리를 뜨려 합니다.
The sneak peek scene from K-Drama 'Nice to Not Meet You' EP.5 shows a **tense** meeting between actor Lee Jung-jae and reporter Lim Ji-yeon. Lee Jung-jae, claiming to have an **urgent matter**, even rushing his commercial shoot (using the colloquial **어쩌고**), comes **personally** to Lim Ji-yeon to deliver his **news**, or **scoop**. However, faced with Lim Ji-yeon's **persistence**, Lee Jung-jae ultimately attempts to **evade** and leave.
긴장된 만남 속의 핵심 어휘
Key Vocabulary in a Tense Encounter
뵙자고 하다 (boep-ja-go ha-da)
발음: [boep-ja-go ha-da]
의미: '만나자고 하다'의 높임말. 공적인 자리나 상대방을 **존중(jon-jung)**할 때 사용합니다. **(To ask to meet (honorific form).)** 이정재는 임지연 기자에게 "[00:00:00] 기자님 오늘 제가 뵙자고 한 이유가"라고 말하며, 만남의 **목적(mok-jeok)**이 자신에게 있음을 밝힙니다. **TOPIK 고급**에서 필수적인 경어(敬語) 표현입니다.
예시: 상사분께 중요한 **논의(non-ui)** 드릴 내용이 있어서 뵙자고 했습니다. (I asked to **meet** you because I have an important matter to **discuss** with my superior.)
특종 (teuk-jong)
발음: [teuk-jong]
의미: 다른 곳에서는 얻을 수 없는 독점적이고 중요한 뉴스 기사. **(Scoop, an exclusive and important news story.)** 이정재가 자신의 **소식(so-sik)**을 '직접 전하고 싶다'고 말하자, 임지연은 본능적으로 이것이 **기사(gi-sa)**, 즉 특종과 관련됨을 파악합니다.
예시: 신인 기자가 큰 기업의 **비리(bi-ri)**에 관한 특종을 터뜨려 화제가 되었다. (The rookie reporter became a hot topic by breaking a **scoop** about a large corporation's **corruption**.)
집요하다 (jib-yo-ha-da)
발음: [jib-yo-ha-da]
의미: 어떤 일을 이루려고 끈기 있고 **철저(cheol-jeo)**하게 파고드는 태도가 있다. **(To be persistent, tenacious, or obsessively thorough.)** 임지연 기자는 이정재가 **회피(hoe-pi)**하려는 순간에도 "[00:01:51] 말씀하시죠. 아유, 아니 뭐 그렇게 급해요. 밥부터 먹고 시작하시죠"라고 말하며 집요하게 대화를 이어가려 합니다. 이 단어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 상황 모두에 쓰일 수 있습니다.
예시: 그녀는 성공할 때까지 집요하게 목표에 매달렸다. (She clung **persistently** to her goal until she succeeded.)
회피하다 (hoe-pi-ha-da)
발음: [hoe-pi-ha-da]
의미: 마주치기 싫거나 어렵다고 생각되는 상황이나 대상을 피하다. **(To evade, avoid, or shun.)** 이정재는 임지연이 **특종**에 대해 **본격적(bon-gyeok-jeok)**으로 묻자, 갑자기 "[00:01:34] 저 급한 일이 생겨 가지고 빨리 가 봐야 되는데요"라며 상황을 회피합니다.
예시: 중요한 질문에는 답하지 않고 자꾸 **동문서답(dong-mun-seo-dap)**으로 회피했다. (He **evaded** the important question by constantly giving irrelevant answers.)
예측 문법
Grammar for Prediction and Unexpected Results
V + -ㄹ 줄 알았는데 (V + -l jul a-ran-neun-de)
발음: [-l jul a-ran-neun-de]
의미: **(예상/짐작과 다른 결과)**. **(I thought/expected V, but (it turned out otherwise).)** 임지연 기자는 이정재의 스케줄을 알고 있었기에 "[00:00:37] 못 오시는 줄 알았는데..."라고 말하며, 그의 **예상치 못한(ye-sang-chi mot-han)** 방문에 놀라움을 표현합니다. 이는 한국어에서 **상황 반전**을 설명할 때 매우 유용한 표현입니다.
예시: 숙제가 쉬워서 금방 끝낼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렸다. (I **thought I'd finish** the homework quickly because it was easy, but it took longer than I expected.)
V + -고 말다 (V + -go mal-da)
발음: [-go mal-da]
의미: **(결국 원하지 않거나 돌이킬 수 없는 행동을 하다)**. **(To end up doing V, often expressing regret or inevitability.)** 이정재가 결국 **특종**을 전하는 것을 **회피**하고 자리를 떠난다면, **'결국 아무 말도 못 하고 돌아서고 말았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후회(hu-hoe)**나 **최종적인 결과**를 나타낼 때 자주 쓰입니다.
예시: 참으려고 했지만, 결국 화를 내고 말았다. (I tried to hold it in, but I **ended up getting angry**.)
연습 문제
Practice Exercises
배운 어휘와 문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풀어보세요. 정답을 찾기 위해 다시 한번 영상을 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학습 방법입니다! 🧐
Try solving the problems us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you've learned. The most effective way to learn is to watch the video one more time to find the answers! 🧐
문제 1: 문장 완성하기 (Sentence Completion)
빈칸에 가장 적절한 단어를 넣어 완성하세요. (Fill in the blank with the most appropriate word.)
가: 기자는 경쟁사를 따돌리고 단독 (__________)을 보도하여 큰 상을 받았다. (The reporter surpassed the competition and received a big award for reporting the exclusive **scoop**.)
나: 그는 질문이 어려워지자 갑자기 전화를 받고는 자리를 (__________) 했다. (When the question got difficult, he suddenly took a call and tried to **evade** the situation and leave.)
정답 예시: 특종 / 회피 (teuk-jong / hoe-pi)
문제 2: 문법 적용하기 (Grammar Application)
다음 대화의 빈칸에 알맞은 **'V + -ㄹ 줄 알았는데'**를 사용하여 완성하세요. (Complete the dialogue using the correct form of **'V + -l jul a-ran-neun-de'**.)
가: 당연히 모두가 찬성할 거라고 (__________) 의외로 반대하는 사람이 많았다. (I naturally **thought** everyone would agree, but surprisingly many people objected.)
나: 그가 약속 장소에 (__________) 결국 한 시간이나 늦게 도착했다. (I **thought** he would arrive on time at the meeting place, but he ended up being an hour late.)
정답 예시: 찬성할 줄 알았는데 / 정시에 올 줄 알았는데 (chan-seong-hal jul a-ran-neun-de / jeong-si-e ol jul a-ran-neun-de)
💡 오늘의 팁 | Today's Tip
**'집요하다'**와 **'회피하다'**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감정이나 상황을 **심도 있게(sim-do it-ge)** 표현할 때 매우 유용한 **반의어(ban-ui-eo)** 쌍입니다. 특히 **언론(eon-ron)**이나 **갈등** 상황을 묘사하는 K-드라마에서는 집요한 기자의 모습과 그를 회피하려는 배우의 모습이 자주 대비됩니다.
또한, **'뵙자고 하다'**는 공식적이고 정중한 자리에서 '만나자고 하다'를 대신하여 **상대방을 높이는(sang-dae-bang-ul nop-i-neun)** 표현입니다. 이처럼 **경어(gyeong-eo)** 사용은 단순한 문법을 넘어 한국 사회의 **관계(gwan-gye)**와 **문화(mun-hwa)**를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가 됩니다. 이정재 배우처럼 **급한 일**을 핑계로 상황을 **모면(mo-myeon)**하려는 태도는, 실제 한국 직장이나 공적인 자리에서 **무례(mu-rye)**하게 비춰질 수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ju-ui)**해야 합니다.
**'Persistent'** and **'evasive'** are a very useful pair of **antonyms** for Korean learners who want to express emotions or situations **in depth**. Especially in K-Dramas depicting **media** or **conflict**, the contrast between a persistent reporter and an actor trying to evade him is often shown.
Moreover, **'뵙자고 하다' (to ask to meet)** is an **honorific** expression that replaces '만나자고 하다' in formal and polite settings, serving to **elevate the other person**. Thus, the use of **honorifics** is a key to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and **culture** of Korean society, beyond simple grammar. An attempt to **avoid** a situation by using an excuse like **an urgent matter**, as actor Lee Jung-jae did, can be perceived as **rude** in actual Korean workplaces or public settings, so **caution** is advised.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Recommended Articles
오늘 배운 '특종', '집요함', '회피' 주제와 연관된,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다른 심화 글들도 함께 만나보세요. 다양한 배경지식을 쌓는 것은 **TOPIK** 고득점으로 가는 지름길입니다.
- 🚀 핵심 표현 30일: 14일차 - 보고 및 인용 표현 (Key Phrases Day 14: Report and Citation)
- 🚀 핵심 표현 30일: 12일차 - 갈등 해결 표현 (Key Phrases Day 12: Conflict Resolution)
- 🚀 60초 킬러 한국어: 차별과 혐오 표현 (Killer Korean in 60 Seconds: Discrimination and Hate Expressions)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