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ller Korean in 60 Seconds(+Topik focused) "차별' 과 "혐오"
This blog introduces important keywords strategical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xam or Korean business.
이 블로그는 한국어 시험이나 한국어 비즈니스에 전략적으로 쓰이고 중요한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사회적으로 소수자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고, 혐오 표현을 제재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차별 금지법의 제정은 개인의 존엄성을 보호하고 사회적 혐오를 줄이기 위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The demand to prohibit discrimination against minorities and to sanction hate speech is growing. The enactment of an anti-discrimination act is a crucial step to protect individual dignity and reduce social hate.
단어분석
차별 (Chabyeol) : 특별한 이유 없이 불평등하게 대우하는 것. (Treating someone unequally without a proper reason/Discrimination.)
혐오 (Hyeomo) : 몹시 싫어하고 미워하는 감정. (A feeling of extreme dislike and hatred/Hate, Abhorrence.)
혐오 표현 (Hyeomo Pyoheon) : 특정 집단에 대한 적의를 드러내는 말이나 글. (Speech or writing that expresses hostility towards a specific group/Hate Speech.)
차별과 혐오 설명문단
차별(差別)과 혐오(嫌惡)는 현대 한국 사회의 인권 논의에서 필수적인 용어입니다. **차별**은 합리적 이유 없이 성별, 인종, 장애 등을 이유로 개인이나 집단을 불리하게 대우하는 행위입니다. 반면, **혐오**는 단순한 싫어함을 넘어 특정 집단에 대한 강력한 적대감을 표현하는 것이며, 이는 **혐오 표현**이나 **혐오 범죄**로 이어집니다.
Discrimination (차별) and Hate (혐오) are essential term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s discussion on **human rights**. **Discrimination** refers to the act of treating an individual or group unfavorably without a rational reason, based on factors like gender, race, or disability. **Hate**, conversely, goes beyond simple dislike, expressing strong hostility towards a specific group, leading to **hate speech** or **hate crimes**.
**차별**과 **혐오**는 사회 통합을 저해하고 갈등을 심화시키는 주된 원인입니다.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며 외국인, 이주민 등 소수 집단을 향한 차별적 태도와 **혐오 표현**이 큰 사회 문제입니다. 이에 **차별 금지법** 제정 논의가 지속되며, 모든 개인이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보장받고 평등하게 살아갈 권리를 법적으로 보호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Discrimination** and **Hate** are major causes that hinder social integration and deepen conflict. As Korean society transitions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discriminatory attitudes and **hate speech** directed at minority groups such as foreigners and immigrants have become significant social problems. Discussions on enacting an **anti-discrimination act** are ongoing, as part of an effort to legally protect the right of all individuals to live equally and be guaranteed human dignity.
이 용어들은 뉴스 기사나 사회 평론에 자주 등장하며, 한국 사회의 성숙도를 가늠하는 척도가 됩니다. 한국어를 학습하고 활동하는 외국인에게는 이 **차별**과 **혐오**에 대한 사회적 논의의 흐름을 이해하고 해당 단어를 정확히 사용하는 능력이 중요합니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의 상호 이해와 존중은 건강한 사회의 필수 조건이며, 이 용어들이 논의의 중심에 있습니다.
These terms frequently appear in news articles and social commentary, serving as a measure of Korean society's maturity. For foreigners learning Korean and engaging in activities, understanding the flow of social discourse on **discrimination** and **hate**, and having the ability to express one's opinion accurately, is crucial.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among people of diverse backgrounds are prerequisites for a healthy society, and these terms are at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어떻게 사용할까요? (How to Use?)
'차별'과 '혐오'는 인권, 법률, 사회 문제에 대한 진지한 토론에서 핵심적으로 사용됩니다.
'Discrimination' and 'Hate' are primarily used in serious discussions about human rights, law, and social problems.

- ▶️ 뉴스 분석 시: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혐오 발언이 온라인상에서 확산되어 사회적 논란이 커지고 있다."
- ▶️ 사회 비판 시: "채용 과정에서 출신 지역을 이유로 한 차별은 명백한 인권 침해입니다."
- ▶️ 토론 시: "진정한 다양성을 위해서는 차별과 혐오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 개선이 시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