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 graph_한국인의 삶(31) Higher Education Enrollment and Graduation_고등교육기관의 입학과 졸업!
한국인의 삶 (31) 고등교육기관 입학과 졸업 The Lives of Koreans (31) Higher Education Enrollment and Graduation
안녕하세요! 한국인의 삶 31번째 이야기에서는 「2025년 교육기본통계」를 통해 한국 고등교육기관의 입학자 수와 졸업자 수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저출산으로 학령인구는 줄고 있지만, 고등교육기관의 현황은 어떻게 달라지고 있는지 관련 한국어 어휘와 문법을 배워보겠습니다. (Hello! In the 31st story of The Lives of Koreans, we will examine the changes in the number of enrollees and graduates in South Korea'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the "2025 Education Basic Statistics," and learn related Korean vocabulary and grammar.)
📈 입학자 수: 전문대학과 대학원의 증가세
「교육기본통계」 에 따르면 고등교육기관 입학자 수는 729,306명 으로, 전년 대비 **3.4%↑** 증가했습니다. 일반대학(2.9%↑), 전문대학(6.5%↑), 대학원(4.1%↑) 모두 증가 추세가 돋보였습니다. 특히 **전문대학의 증가 폭**이 가장 커 실용 기술 및 직업 교육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를 반영합니다. (The total number of enrolle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creased by 3.4%↑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reaching 729,306. General universities (2.9%↑), vocational colleges (6.5%↑), and graduate schools (4.1%↑) all showed an overall increasing trend. This reflects the rising demand for practical skills and specialized fields.)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문법과 표현 5가지 (더 깊은 한국어 학습)반면, 교육대학은 **10.6%↓** 감소하여, 초등 교원 수급 논의와 임용 규모 감소에 따른 영향을 간접적으로 보여줍니다. 고등교육 입학자 수의 증가는 학령인구 감소와는 별개로 **성인 학습자 유입**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Teachers' colleges, on the other hand, decreased by 10.6%↓, indirectly showing the impact of social discussion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 supply and demand. The increase in higher education enrollment is analyzed as a result of various factors, such as the influx of adult learners, separate from the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2: 실용 한국어 표현과 문법 배우기 (교육 불균형 해소 관련)📉 졸업자 수: 대학원만 증가
졸업자 수 변화는 수년 전의 입학자 수 변화를 반영하는 주요 지표입니다. The change in the number of graduates is a key indicator that reflects the change in the number of enrollees from several years ago.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수는 630,000명 으로 전년 대비 **0.8%↓** 감소했습니다. 일반대학(0.5%↓), 교육대학(2.4%↓), 전문대학(3.4%↓) 모두 졸업자 수가 감소했으며, 이는 학령인구 감소 현상이 졸업자 수에 본격적으로 반영된 추세입니다. (In contrast, the number of graduates decreased by 0.8%↓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reaching 630,000. All types of undergraduate institutions saw a decrease. This trend indicates the school-age population decline is fully impacting the number of graduates.)
🔗한국 직장생활의 첫날: 꼭 알아야 할 팁과 문화 (취업, 진로 연관)대학원은 유일하게 **3.9%↑** 증가하며 학사 학위 이후에도 깊이 있는 전문 지식을 추구하는 사회적 경향을 보여주었습니다. 전반적인 졸업자 수 감소는 청년 인력의 규모 축소를 의미하며, 향후 사회 및 산업 분야의 인력 수급 불균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However, graduate schools were the only ones to increase by 3.9%↑, indicating a societal trend toward pursuing in-depth specialized knowledge even after a bachelor's degree.)
연습 문제 (Practice Questions)
1. 아래 빈칸에 알맞은 어휘를 넣어 문장을 완성하세요.
학령인구 (감소)의 영향으로 일반대학의 (졸업자 수)가 줄었습니다.
고등교육기관의 (입학자 수)가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2. 아래 문장을 완성하기 위해 알맞은 문법 표현을 넣어보세요.
전문대학의 입학자 수는 전년 (에 대비)하여 크게 (증가)했습니다.
교육기본통계 (에 따르면) 교육대학의 입학자 수는 (감소)했습니다.
오늘의 필수 어휘 3가지 Today's 3 Essential Vocabulary Words
1. 입학자 수 (Ib-hak-ja Su)
의미: 학교나 교육기관에 새로 들어온 학생들의 총 인원수. Meaning: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newly enrolled in a school or educational institution. (Number of Enrollees/Enrollment) 로마자 발음: **Ib-hak-ja Su**
올해 고등교육기관 입학자 수는 작년보다 증가했습니다. The number of enrollees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is year increased compared to last year.
2. 졸업자 수 (Jol-eop-ja Su)
의미: 학교나 교육기관의 교육 과정을 마친 학생들의 총 인원수. Meaning: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who have completed the curriculum of a school or educational institution. (Number of Graduates) 로마자 발음: **Jol-eop-ja Su**
일반대학의 졸업자 수는 학령인구 감소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The number of graduates from general universities was affected by the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3. 증가/감소 (Jeung-ga / Gam-so)
의미: **증가(增加)**는 수나 양이 늘어남. **감소(減少)**는 수나 양이 줄어듦. Meaning: **Jeung-ga** means an increase in number or amount (Increase). **Gam-so** means a reduction in number or amount (Decrease). 로마자 발음: **Jeung-ga / Gam-so**
전문대학 입학자 수는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교육대학은 감소했습니다. The number of vocational college enrollees increased significantly, but the number of teachers' colleges decreased.
오늘의 유용한 문법 3가지 Today's 3 Useful Grammar Points
1. ~에 대비하여 (~e daebi-hayeo)
의미: 앞의 대상이나 시점과 뒤의 상황을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Compared to / In comparison with) Meaning: Used when comparing the current situation with a preceding object or time point. 로마자 발음: **~e daebi-hayeo**
전년 에 대비하여 전문대학 입학자 수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The number of vocational college enrollee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2. ~(으)로 (~(eu)ro)
의미: 뒤의 내용이 앞의 수치나 대상을 기준으로 함을 나타냅니다. '~(의) 수치로' 또는 '~(의) 규모로'와 비슷하게 쓰입니다. Meaning: Indicates that the following content is based on the preceding number or object. (As / With a number of) 로마자 발음: **~(eu)ro**
고등교육기관 입학자 수는 729,306명 으로 집계되었습니다. The number of higher education enrollees was tallied as 729,306.
3. ~(으)ㄴ/는 추세이다 (~(eu)n/neun chuse-ida)
의미: 어떤 현상이나 상황이 특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향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It is a trend of...) Meaning: Used to indicate a tendency for a phenomenon or situation to move in a particular direction. 로마자 발음: **~(eu)n/neun chuse-ida**
대학원 입학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The number of graduate school enrollees is a trend that is continuously increa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