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 graph_한국인의 삶(27)Student Population Change_학생 수 변화
한국인의 삶 (27) "학생 수의 변화" The Lives of Koreans (27) Education Statistics and Student Population Change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교육부의 **「2025년 교육기본통계」**를 분석하여, 한국 사회의 주요 변화인 **학생 수 감소 현황**과 **다문화 학생 증가 추세**를 중심으로 관련 한국어 어휘와 문법을 학습합니다.
(Hello! In this article, we analyze the Ministry of Education's **"2025 Education Basic Statistics,"** focusing on the major changes in Korean society: the **decreasing student population** and the **increasing trend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learn related Korean vocabulary and grammar.)
「2025년 교육기본통계」 에 따르면, 유·초·중등 전체 학생 수는 **5,551,250명**으로, 전년 대비 **133,495명(2.3%↓)**이 감소했습니다. 이는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 현상이 교육 현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According to the "2025 Education Basic Statistics," the total number of students in kindergarte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s **5,551,250**, a decrease of **133,495 (2.3%↓)**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is clearly shows that the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due to the low birth rate is increasingly impacting the education sector.)
학교급별 **감소세**가 가장 두드러진 곳은 초등학교로 149,517명(6.0%↓)이 줄었습니다. 유치원생도 3.4% 감소하여 **학령인구** 변화의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 By school level, the elementary school level showed the most prominent **downward trend** in student numbers, decreasing by 149,517 (6.0%↓). Kindergarten students also decreased by 3.4%, directly impacted by the chang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반면, **다문화** 학생의 현황은 주목할 만합니다. 다문화 학생 비율은 전체 학생 대비 **4.0%**로 전년 대비 0.2%p 증가했습니다. 이는 전체 학생 수는 감소하는 반면 교육 현장의 다양성은 꾸준히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On the other hand, the status of **multicultural** students is notable. The ratio of multicultural students increased by 0.2 percentage points from the previous year to **4.0%** of the total student population. This suggests that **while** the total student population is decreasing, the diversity in the educational field is steadily increasing.)
다문화 학생 현황을 **유형별로 보면**, 국제결혼가정(국내출생)이 67.6%, 외국인가정이 26.1%로 주요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또한, 부모의 출신 국적 **에 따라** 베트남(31.3%), 중국(한국계 제외, 26.3%) 순으로 나타나, 국제결혼의 배경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음**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If we look at the status of multicultural students **by type**,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born in Korea) accounted for 67.6% and foreign national families 26.1%, making up the majority. Additionally, **depending on** the parents' country of origin, Vietnam (31.3%) and China (excluding Korean ethnicity, 26.3%) were the top, which we can understand **through** the trend that the backgrounds of international marriages are becoming more diverse.)
🔗Super Real Korean 메인 페이지 (더 많은 한국어 콘텐츠)결론적으로, 한국 교육 시스템은 **학령인구**의 급격한 **감소세**와 **다문화** 가정 학생 증가라는 두 가지 중요한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러한 통계 **를 통해** 한국 사회의 미래 교육 정책 방향을 예측하고 논의하는 것이 시급합니다.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문법과 표현 5가지 (한국어 문법 더 배우기)오늘의 필수 어휘 3가지 Today's 3 Essential Vocabulary Words
1. 학령인구 (Hangnyeong Ingu)
의미: 학교에 다닐 나이의 인구. (School-age Population) Meaning: The population of school age. Generally refers to ages 6 to 17. 로마자 발음: **Hangnyeong Ingu**
저출산으로 인해 **학령인구**의 감소세가 뚜렷합니다. The **school-age population** shows a distinct downward trend due to the low birth rate.
2. 다문화 (Damunhwa)
의미: 한 사회 안에 여러 민족이나 문화가 함께 존재하는 것. (Multiculturalism) Meaning: The coexistence of various ethnic groups or cultures within one society. 로마자 발음: **Damunhwa**
한국 사회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을 위한 교육 정책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Korean society is contemplating education policies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3. 감소세 (Gamsosse)
의미: 수량이나 정도가 점점 줄어드는 추세. (Downward Trend/Decreasing Trend) Meaning: A trend in which a quantity or degree gradually decreases. 로마자 발음: **Gamsosse**
초등학생 수의 **감소세**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The **downward trend** in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the most prominent.
오늘의 유용한 문법 3가지 Today's 3 Useful Grammar Points
1. ~에 따라 (~e ttara)
의미: 기준에 맞추어 뒤의 결과가 결정됨. (According to / Depending on) Meaning: Used when a result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a standard. 로마자 발음: **~e ttara**
부모의 출신 국적에 따라 **다문화** 학생 유형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The type of **multicultural** student varies **depending on** the parents' country of origin.
2. ~을/를 통해 (~eul/reul tonghae)
의미: 어떤 수단이나 방법을 거침. (Through / By means of) Meaning: Used when a fact is learned or a goal is achieved through a certain means or method. 로마자 발음: **~eul/reul tonghae**
이번 통계 자료를 통해 **학령인구**의 현실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We can grasp the reality of the **school-age population** **through** this statistical data.
3. ~는/은 반면 (~neun/eun banmyeon)
의미: 앞의 사실과 대조되거나 상반되는 사실 제시. (On the other hand / While) Meaning: Used to present a fact that contrasts with or opposes the preceding fact. 로마자 발음: **~neun/eun banmyeon**
학생 수는 줄어드는 반면, **다문화** 학생 비율은 증가했습니다. The number of students decreased, **while** the propor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increased.
연습 문제 (Practice Questions)
1. 아래 빈칸에 알맞은 어휘를 넣어 문장을 완성하세요.
학생 수가 줄어드는 (감소세)는 교육 정책 수립에 영향을 줍니다.
저출산으로 인해 **** (학령인구)가 줄어드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2. 아래 문장을 완성하기 위해 알맞은 문법 표현을 넣어보세요.
보고서 (를 통해) 다문화 학생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지역 (에 따라) 학생 수 (감소세)에 차이가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