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한국인의 삶 (6)사회단체 참여편
The Lives of Koreans (6) Social Participation
안녕하세요!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를 통해 한국인의 사회단체 참여율에 대해 알아보고, 유용한 한국어 어휘와 문법을 배워볼게요.
(Hello! Let's learn about the social organization participation rate among Koreans through the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People 2024" report, and learn useful Korean vocabulary and grammar.)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사회단체 참여율은 2017년부터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였어요. 2017년 40.5%에서 2023년에는 37.1%로 하락했죠. 이는 단순히 숫자의 변화를 넘어, 우리 사회의 공동체 의식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예요.
(According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People 2024" report, the participation rate in social organizations among Koreans has been on a steady decline since 2017. It dropped from 40.5% in 2017 to 37.1% in 2023. This is not just a change in numbers, but an important indicator showing a shift in our society's sense of community.)

반면, 자원봉사 참여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사람들이 형식적인 조직보다는 개인적인 경험이나 작은 단위의 활동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청년층의 참여가 활발한 것으로 보아, 사회 참여 방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어요.
(On the other hand, the volunteer participation rate appears to be steadily increasing. This shows that people tend to focus more on personal experiences or small-scale activities rather than formal organization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youth demographic suggests that the way people engage with society is changing.)
연령대가 높을수록 사회단체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과거부터 이어져 온 공동체 문화의 영향을 보여주는 결과예요.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age group, the higher the social organization participation rate. This result shows the influence of a long-standing community culture.
세대 간 사회 참여 방식의 차이는 앞으로의 사회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될 거예요. 젊은 세대들이 새로운 방식으로 사회와 연결되는 반면, 기성세대는 전통적인 방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The difference in social participation methods between generations will be a key to understanding future social changes. While the younger generation is connecting with society in new ways, the older generation is maintaining traditional methods.)
더 깊은 공동체 의식과 사회 참여에 대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아래 글도 읽어보세요.
🔗K-컬처의 세계적 영향력과 사회 변화

오늘의 필수 어휘 3가지
Today's 3 Essential Vocabulary Words
1. 사회단체 (Sahoedanche)
의미: 사회적 목적을 위해 모인 사람들의 조직. Meaning: An organization of people gathered for a social purpose. (Social organization)
그는 사회단체에서 봉사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He is doing volunteer work at a social organization.
2. 참여율 (Chamyeoyul)
의미: 어떤 활동이나 모임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비율. Meaning: The rate of people participating in a certain activity or gathering. (Participation rate)
이번 행사의 참여율이 예상보다 높았습니다. The participation rate for this event was higher than expected.
3. 공동체 (Gongdongche)
의미: 공통된 목적이나 생활을 공유하는 집단. Meaning: A group that shares a common purpose or life. (Community)
우리는 행복한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We strive to create a happy community.
연습 문제: 아래 빈칸에 알맞은 어휘를 넣어 문장을 완성하세요.
(Practice questions: Fill in the blanks with the correct vocabulary to complete the sentences.)
1. 이 지역의 봉사활동 _________이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공동체 / 참여율)
2. 도시 생활에 익숙해지면서 _______ 의식이 점점 약해지는 것 같아요. (사회단체 / 공동체)
오늘의 유용한 문법 3가지
Today's 3 Useful Grammar Points
1. ~는 것으로 나타나다 (~neun geos-euro natanada)
의미: 조사 결과나 통계 등을 통해 어떤 사실이 드러날 때 사용합니다. Meaning: Used when a fact is revealed through survey results or statistics. (It appears that / It is shown that)
여성보다 남성의 참여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tion rate of men is higher than that of women.
2. ~에 비해 (~e bihae)
의미: 어떤 대상과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Meaning: Used when comparing something with another object or person. (Compared to)
작년에 비해 올해 봉사활동 참여가 늘었습니다. Volunteer participation has increased this year compared to last year.
3. ~(으)면서 (~(eu)myeonseo)
의미: 앞뒤 두 가지 일이 동시에 진행됨을 나타냅니다. Meaning: Indicates that two actions or states are happening simultaneously. (While / As)
코로나19를 겪으면서 가족의 소중함을 알게 되었습니다. While going through COVID-19, I came to know the importance of family.
더 많은 한국어 문법을 배우고 싶다면 아래 글을 읽어보세요.
🔗한국인도 헷갈리는 문법 5가지
연습 문제: 아래 문장을 완성하기 위해 알맞은 문법 표현을 넣어보세요.
(Practice questions: Insert the correct grammar expression to complete the sentences below.)
1. 20대 _______ 60대 이상의 사회단체 참여율이 더 높다. (~에 비해 / ~으면서)
2. 이 조사에 따르면 청년층의 봉사활동 참여가 증가한 _________. (~는 것으로 나타나다 / ~에 비해)
사회적 이슈에 대한 더 심도 있는 분석과 한국어 학습을 함께 해보세요.
🔗한국 문화와 경제 발전에 대한 새로운 시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