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Textbooks(3): 5 Real Korean Expressions Used in Restaurant and food factory

요식업/음식점 현장, 외국인에게 생경할 비유적/관용적 표현 5가지 | 5 Unfamiliar Figurative/Idiomatic Expressions in Restaurants/Food Service for Foreigners

[요식업/음식점 현장]
외국인에게 생경할 비유적/관용적 표현 5가지 
5 Unfamiliar Figurative/Idiomatic Expressions in Restaurants/Food Service for Foreigners

Level: Intermediate to Advanced

요식업 현장에서 일할 때 외국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한국어 표현들을 접하게 됩니다. 오늘 우리는 주방이나 홀에서 자주 쓰이는 5가지 **비유적/관용적 표현**들을 마이크와 그레이스의 대화를 통해 배워보겠습니다.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현장 적응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거예요.

When working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foreigners often encounter Korean expression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Today, we will learn 5 **figurative/idiomatic expressions** frequently used in kitchens or dining halls through dialogues between Mike and Grace. This will help you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improve your adaptability in the workplace.

단골손님

1. 주방 털다 | Clean out the kitchen

유래 (Origin): 주방에 남은 식재료를 **남김없이 사용**하거나 소비하는 행위에서 왔습니다. 마치 도둑이 재고를 '싹쓸이'한다는 비유적인 의미가 있습니다.

This originated from the act of completely **using or consuming all remaining ingredients** or food in the kitchen. It metaphorically means to 'sweep up' inventory, similar to a thief ransacking a house.

의미 (Meaning): 주방에 남은 재료나 음식을 남김없이 사용하거나 소비하다. (주로 **마감 시간에 임박**하여 남은 재료를 소진할 때 쓰임)

To completely use or consume all remaining ingredients or food in the kitchen. (Mainly used when running out of ingredients **close to closing time**)

문법적 요소 (Grammatical Elements): 동사구 (Verb Phrase). '주방 털었어', '주방을 털어야 해' 등으로 사용됩니다.

Used as '주방 털었어' (cleaned out the kitchen), '주방을 털어야 해' (need to clean out the kitchen), etc.

마이크 🧑‍💼: (마감 1시간 전, 주방 매니저가 직원에게) "오늘 재료가 거의 다 나갔으니, 이제 슬슬 주방 털어서 남은 재료로만 주문받자. 김치찌개는 이제 안 되고, 부대찌개는 한 그릇 정도 나올 거야."
Grace 👩‍🏭: (An hour before closing, the kitchen manager to an employee) "Almost all ingredients are gone today, so let's slowly clean out the kitchen and take orders only with what's left. Kimchi stew is not available anymore, but we might have enough for about one Budae stew."

외국인 직원의 오해 (Misunderstanding by Foreign Employees): '주방을 털다'는 직역으로는 이해하기 어렵지만, 문맥상 '**남은 재료를 소진한다**'는 뜻임을 파악해야 합니다.

Foreign employees might find 'clean out the kitchen' difficult to understand literally, but they need to grasp from the context that it means '**to use up remaining ingredients**'.

📌 **연관 글:** 필수 비즈니스 한국어 표현 10가지 | 10 Essential Business Korean Expressions

2. 김칫국부터 마시다 | Drink kimchi soup first

유래 (Origin): 떡을 주지 않았는데도, 목이 메일까 봐 미리 김칫국부터 들이켜는 **어리석은 행동**에서 유래했습니다.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일에 대해 **미리 기대**하거나 성급하게 행동하는 것을 비유합니다.

This originated from the **foolish act** of drinking kimchi soup in advance, fearing a choking hazard from eating rice cakes, even when no rice cakes have been given yet. It metaphorically refers to **expecting something prematurely** or acting hastily about something that hasn't happened yet.

의미 (Meaning): 아직 **확정되지 않은 일**에 대해 미리 기대를 하거나, 성급하게 앞서나가 행동하다.

To expect something prematurely or act hastily about something that **hasn't been confirmed** or given yet.

문법적 요소 (Grammatical Elements): 동사구 (Verb Phrase). '김칫국부터 마시지 마라', '김칫국부터 마시는 격이다' 등으로 사용됩니다.

Used as '김칫국부터 마시지 마라' (Don't count your chickens before they hatch), '김칫국부터 마시는 격이다' (It's like drinking kimchi soup first), etc.

Grace 👩‍🏭: (손님이 "이 음식 정말 맛있네요. 체인점 낼 생각 없으세요?"라고 묻자, 주인이 활짝 웃으며) "사장님, 아직 가게 자리도 안정되지 않았는데 벌써 김칫국부터 마시지 마세요!"
마이크 🧑‍💼: (When a customer asks, "This food is really delicious. Don't you plan to open a chain store?", the owner smiles brightly and replies) "Boss, the restaurant's location isn't even stable yet, don't drink kimchi soup first!"

외국인 직원의 오해 (Misunderstanding by Foreign Employees): '김칫국'이 갑자기 왜 나오는지 의아해할 수 있지만, '**아직 이르다**'는 뉘앙스를 파악해야 합니다.

Foreign employees might wonder why 'kimchi soup' suddenly appears, but they need to understand the nuance of '**it's too early**'.

📌 **연관 글:** TOPIK 오류 줄이는 팁: 효과적인 시험 전략 | TOPIK Tactics: Cut Errors, Conquer the Test

3. 뜨내기손님 / 길손 (↔ 단골) | Transient customer / Traveler (↔ Regular customer)

유래 (Origin): '**뜨내기**'는 이리저리 떠돌아다니는 사람을, '**길손**'은 길을 가는 나그네를 의미합니다. 즉, 특정 장소에 정착하지 않고 **우연히 들르거나 한 번 방문**하고 마는 손님을 뜻합니다. 반대말인 **'단골'**은 자주 찾는 손님을 의미합니다.

'**뜨내기**' refers to a person who wanders around, and '**길손**' means a traveler on a road. Therefore, it refers to a customer who doesn't settle in a specific place and visits **by chance or only once**. The opposite word, **'단골'**, means a frequent customer.

의미 (Meaning): 특정 가게를 한두 번 방문하고 마는 **일시적인 손님**. 고정적이지 않은 손님.

A **temporary customer** who visits a specific store once or twice. A non-regular customer.

문법적 요소 (Grammatical Elements): 명사구 (Noun Phrase). 주로 '뜨내기손님만 많다', '단골이 아닌 길손이다' 등으로 사용됩니다.

Mainly used as '뜨내기손님만 많다' (there are only transient customers), '단골이 아닌 길손이다' (it's a traveler, not a regular customer), etc.

마이크 🧑‍💼: (매니저가 직원들에게) "저쪽 테이블은 여행객 같고, 이쪽은 매번 오시는 단골분들이니 더 신경 써 드려. 우리 가게는 뜨내기손님보다는 단골을 잡는 게 중요하니까."
Grace 👩‍🏭: (Manager to staff) "That table seems like tourists, and this one is our regular customers who come every time, so pay more attention to them. It's more important for our restaurant to retain regular customers than to attract transient customers."

외국인 직원의 오해 (Misunderstanding by Foreign Employees): '뜨내기'나 '길손'이 **손님을 지칭**하는 단어임을 모를 수 있으며, 일반적인 여행객과 혼동할 수 있습니다.

Foreign employees might not know that '뜨내기' or '길손' refers to **customers** and may confuse them with general tourists.

물갈이하다

4. 물 갈이하다 | Change the water

유래 (Origin): 본래 어항이나 수조의 물을 새것으로 교체해 환경을 개선하는 행위입니다. 요식업에서는 주방 위생과 식재료 신선도 관리의 중요성에서 파생되었으며, 비유적으로는 특정 조직이나 시스템의 **구성원을 교체**하거나 **분위기를 일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This originally comes from replacing the water in a fish tank or aquarium to improve the environment.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it's derived from the importance of hygiene and ingredient freshness, and metaphorically means to **replace members** of a certain organization or system, or to **refresh the atmosphere**.

의미 (Meaning): (주로 조직이나 사람 구성, 또는 분위기를) 완전히 **새롭게 바꾸다**. 기존의 낡거나 문제 있는 것을 교체하여 분위기를 쇄신하다.

To completely **change** (mainly an organization, people, or atmosphere). To replace old or problematic things to refresh the atmosphere.

문법적 요소 (Grammatical Elements): 동사구 (Verb Phrase). '물 갈이했다', '물 갈이할 시기다' 등으로 사용됩니다.

Used as '물 갈이했다' (changed the water / refreshed), '물 갈이할 시기다' (it's time to change the water / refresh), etc.

Grace 👩‍🏭: (사장님이 오랜만에 들러서 직원들에게) "요즘 좀 분위기가 처지는 것 같아. 조만간 직원 교육도 시키고, 메뉴판도 새로 하면서 물 갈이 좀 해야겠어."
마이크 🧑‍💼: (The owner visits after a long time and tells the staff) "The atmosphere seems a bit down lately. Soon, I'll need to educate the staff and renew the menu, changing the water a bit."

외국인 직원의 오해 (Misunderstanding by Foreign Employees): 직역하면 가게에 물이 어디 있는지, 왜 물을 갈아야 하는지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는 **분위기 쇄신**의 비유적 표현입니다.

Foreign employees might be confused by a literal translation. It's a figurative expression for **refreshing the atmosphere**.

📌 **연관 글:** 직장생활 성공의 열쇠: 한국 직장 예절 | Key to Success in Korean Workplace: Etiquette

5. 한솥밥 먹다 | Eat from the same pot

유래 (Origin): 옛날부터 한 집안이나 공동체 사람들이 한 부엌에서 지은 밥을 함께 먹는 것을 뜻합니다. 이는 **강한 유대감과 공동체 의식**을 상징하며, 직장 동료들 사이에서도 **긴밀한 관계**를 비유할 때 사용됩니다.

This originated from people living in the same household or community eating rice cooked in the same kitchen since ancient times. It symbolizes **strong bonding and a sense of community**, and is used metaphorically to describe **close relationships** among colleagues.

의미 (Meaning): 같은 직장이나 조직에서 일하며 **생사고락을 함께하다**.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함께 생활하다.

To work in the same workplace or organization, **sharing joys and sorrows**. To live together with a sense of community.

문법적 요소 (Grammatical Elements): 동사구 (Verb Phrase). '한솥밥 먹는 사이', '한솥밥을 먹고 있다' 등으로 사용됩니다.

Used as '한솥밥 먹는 사이' (close colleagues), '한솥밥을 먹고 있다' (working together in close ties), etc.

마이크 🧑‍💼: (회식 자리에서 사장님이 직원들에게) "여러분들은 매일 열심히 일하고 있으니, 모두 한솥밥 먹는 사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서로 배려하며 오래오래 함께 갑시다!"
Grace 👩‍🏭: (At a staff dinner, the owner to the employees) "You all work hard every day, so you are all like people who eat from the same pot. Let's be considerate of each other and go together for a long, long time!"

외국인 직원의 오해 (Misunderstanding by Foreign Employees): 실제로 솥에 담긴 밥을 다 같이 먹는다는 뜻으로 오해할 수 있으며, **유대감의 표현**임을 이해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Foreign employees might misunderstand this to mean literally eating rice from the same pot, and it may take time for them to understand that it's an **expression of solidarity**.

한솥밥을 먹다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 superrealkorean, All rights reserved

#요식업한국어 #음식점관용어구 #비즈니스한국어 #주방털다 #김칫국부터마시다 #뜨내기손님 #물갈이하다 #한솥밥먹다 #KoreanFoodService #RestaurantIdioms #BusinessKorean #CleanOutKitchen #DrinkKimchiSoupFirst #TransientCustomer #ChangeTheWater #SamePot

popular & loved

Topik writing type no.53! How to prepare?

Indepth Korea_K-food, 이제 일상 간식까지 인기! (K-Food Tourist Snack Trend)

🛣️Mastering Korean / 한국어 장소 부사 : 여기, 저기, 거기

📖Top-Level Korean Grammar and Expressions① 존댓말 압존법

TOPIK60_DAY29 : 유추하다, 짐작하다, ~(으)면

Confused Korean Grammar: ~거든요, ~(으)면, ~ㄹ/을지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