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Textbooks(2): 5 Real Korean Expressions Used in Agriculture/Livestock
농업/축산업 현장에서 외국인이 들을 수 있는 관용적/비유적 표현 5가지
5 Idiomatic Expressions You Might Hear in Agriculture/Livestock Fields in Korea
농업과 축산업은 한국의 문화와 정서가 깊이 배어 있어, 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가 들었을 때 다소 생경하게 느껴질 수 있는 표현들이 있습니다. 다음은 그러한 표현 5가지입니다.
Agriculture and livestock industries are deeply ingrained with Korean culture and sentiment, leading to expressions that might feel somewhat unfamiliar to foreign workers in the field. Here are 5 such expressions:
1. 땅심이 좋다/없다 | The soil has good/no 'power'
유래 | Origin: '땅심'은 문자 그대로 땅의 힘, 즉 토양이 작물을 잘 자라게 하는 비옥함을 의미합니다. 농사를 짓는 데 있어 땅의 기운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Ddangsim' literally means the "power of the soil," referring to its fertility and ability to help crops grow well. It's an expression emphasizing how crucial the land's vitality is in farming.
의미 | Meaning:
땅심이 좋다: 토양이 비옥하여 작물 재배에 적합하다. (비유적으로는 어떤 일의 기반이나 잠재력이 훌륭하다)
Good 'Ddangsim': The soil is fertile and suitable for crop cultivation. (Figuratively, it means the foundation or potential for a task is excellent)
땅심이 없다: 토양이 척박하여 작물이 잘 자라기 어렵다. (비유적으로는 발전할 기반이나 잠재력이 부족하다)
No 'Ddangsim': The soil is barren and difficult for crops to grow. (Figuratively, it means there's a lack of foundation or potential for development)
김 부장님, 이 밭은 작년에도 수확량이 좋았네요. 뭘 심어도 잘 자라는 것 같아요.
Manager Kim, this field had a great yield last year too. It seems whatever you plant here grows well.
맞아요, 마이크 씨. 역시 땅심이 좋으니 작물도 잘 자라네. 저쪽 밭은 땅심이 없어서 거름을 더 줘야 할 것 같아.
You're right, Mike. As expected, with good 'Ddangsim', the crops grow well. That field over there has no 'Ddangsim,' so I think we need to give it more fertilizer.
2. 가뭄에 콩 나듯 | Like beans sprouting in a drought
유래 | Origin: 가뭄이 심해 비가 오지 않는 상황에서 콩이 드문드문 어렵게 나는 모습에서 유래했습니다. 매우 드물거나 희박한 경우를 비유할 때 사용합니다.
Originated from the sight of beans sprouting sparsely and with difficulty during a severe drought with no rain. Used to metaphorically describe something that happens very rarely or is very scarce.
의미 | Meaning: 어떤 일이 아주 드물게 발생하거나, 수량이나 빈도가 매우 적을 때.
When something occurs very rarely, or when the quantity or frequency is very low.
요즘 젊은 사람 중에 농촌에 와서 일하려는 사람이 가물에 콩 나듯 해. 그래서 외국인 근로자 없이는 농사짓기가 정말 힘들어.
These days, young people who want to work in rural areas are as rare as beans sprouting in a drought. That's why it's really hard to farm without foreign workers.
정말 그렇네요. 저희 동네도 마찬가지예요.
That's very true. It's the same in my hometown.
3.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 Fixing the barn after losing the cow
유래 | Origin: 농가에서 가장 큰 재산인 소를 도둑맞거나 잃어버린 후에야 뒤늦게 외양간을 튼튼하게 고치는 어리석은 행동에서 비롯된 속담입니다.
This proverb originated from the foolish act of belatedly reinforcing the barn only after a cow, the most valuable asset in a farming household, has been stolen or lost.
의미 | Meaning: 이미 손해를 보거나 문제가 발생한 뒤에야 뒤늦게 대비하거나 후회하는 상황.
A situation where one prepares or regrets only after damage has already occurred or a problem has arisen.
팀장님, 방역 수칙을 제대로 안 지키다가 돼지들이 병에 걸렸잖아요.
Team Leader, we didn't follow the quarantine rules properly, and now the pigs are sick.
그러게 말이야. 이제 와서 소독 더 철저히 한다고 해 봐야 이미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지. 미리미리 했어야지.
Tell me about it. Trying to disinfect more thoroughly now is like fixing the barn after losing the cow. We should have done it beforehand.
4. 거름 주다 | To give manure/fertilizer
유래 | Origin: 식물이나 토양에 거름(비료)을 주어 성장을 돕는 농업 행위에서 유래했습니다.
Originated from the agricultural act of giving manure (fertilizer) to plants or soil to aid their growth.
의미 | Meaning: 어떤 일이나 사람의 성장을 위해 투자하거나 도움을 주다. 밑바탕이 되는 노력을 하다.
To invest in or help the growth of a task or person. To put in foundational effort.
새로 온 직원들은 아직 서투르지만, 충분히 시간을 들여서 거름을 줘야 나중에 숙련된 일꾼이 될 수 있을 거야. 힘들어도 잘 가르쳐줘.
The new employees are still clumsy, but we need to give them enough 'manure' (support/training) for them to become skilled workers later. It's tough, but teach them well.
네, 알겠습니다.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Yes, understood. I'll do my best.
5. 물 때 맞추다 | To get the watering timing right
유래 | Origin: 논농사에서 작물 성장에 필요한 물의 양과 시기를 정확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가장 적절한 때에 물을 대는 행위에서 비롯되었습니다.
Originated from the act of applying water at the most appropriate time, as it's crucial to precisely control the amount and timing of water needed for crop growth in rice farming.
의미 | Meaning: 어떤 일을 하기에 가장 적절한 시기나 기회를 놓치지 않고 활용하다. 타이밍을 잘 맞추다.
To not miss and utilize the most appropriate timing or opportunity to do something. To get the timing just right.
우리 농산물 출하 시기를 물 때 맞추듯이 잘 잡아야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어. 일주일만 늦어도 가격이 확 떨어질 수 있거든.
We need to get the timing right for shipping our agricultural products, just like getting the watering timing right, to receive high prices. Even a week late, the price can drop significantly.
네, 타이밍이 정말 중요하군요. 명심하겠습니다.
Yes, timing is really important. I'll keep that in mind.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