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인 게시물 표시

Key phrases 30 for Topik Level 3 (25) : '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이미지
Key phrases 30 for Topik 3급 Day 25 |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 Key phrases 30 한국어 핵심 구절 30일 완성 Essential Korean Phrases for TOPIK Level 3 (Day 25) 구독 (Subscribe) Day 25: 속담 (1/6): 후회와 신중함 Proverbs (1/6): Regret and Prudence 이 시리즈는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을 목표로 하는 학습자 여러분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구문과 표현 을 교육합니다. (This series teaches the core phrases and expressions essential for learners aiming for TOPIK Level 3.) 30일 동안 매일 한 프로그램씩 문제해결법을 공유합니다. (Over 30 days, we share problem-solving methods daily.) 핵심 표현 분석 Core Expression Analysis 핵심 표현 1: 후회 (Regret)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so il-ko oe-yang-gan go-chin-da] (Proverb) 의미: 이미 잘못된 뒤 후회하며 대책을 세워도 소용이 없다는 뜻입니다.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리 대비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Meaning: Mending the barn after the cow is lost.** It means it's useless to take measures regretfully ...

Beyond Textbooks(2): 5 Real Korean Expressions Used in Agriculture/Livestock

이미지
농업/축산업 현장의 관용 표현 5가지 | 5 Idiomatic Expressions in Agriculture/Livestock 농업/축산업 비유적 표현 | Agriculture/Livestock Idioms 농업/축산업 현장에서 외국인이 들을 수 있는 관용적/비유적 표현 5가지 5 Idiomatic Expressions You Might Hear in Agriculture/Livestock Fields in Korea 농업과 축산업은 한국의 문화와 정서가 깊이 배어 있어, 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가 들었을 때 다소 생경하게 느껴질 수 있는 표현들이 있습니다. 다음은 그러한 표현 5가지입니다. Agriculture and livestock industries are deeply ingrained with Korean culture and sentiment, leading to expressions that might feel somewhat unfamiliar to foreign workers in the field. Here are 5 such expressions: 1. 땅심이 좋다/없다 | The soil has good/no 'power' 유래 | Origin: '땅심'은 문자 그대로 땅의 힘, 즉 토양이 작물을 잘 자라게 하는 비옥함을 의미합니다. 농사를 짓는 데 있어 땅의 기운이 얼마나 중요한지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Ddangsim' literally means the "power of the soil," referring to its fertility and ability to help crops grow well.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