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Textbooks(1): 5 Real Korean Expressions Used in Factories
제조업/공장 현장, 외국인에게 생경할 한국어 비유적/관용적 표현 5가지
5 Unfamiliar Korean Figurative Expressions in Manufacturing/Factory Settings
제조업/공장 현장에서 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이 들었을 때 직역하면 이해하기 어렵고 생경하게 느껴질 수 있는 한국어 비유적/관용적 표현 5가지를 선정하여 유래, 의미, 문법적 요소, 그리고 실제 사용될 법한 스토리와 함께 정리해 드립니다.
We've selected five Korean figurative/idiomatic expressions commonly used in manufacturing/factory settings that might be difficult or unfamiliar for foreign workers if directly translated. We'll explain their origin, meaning, grammatical elements, and provide real-life usage scenarios.
1. 라인 태우다 / 라인에 올리다
Put on the Line / Place on the Line
유래 | Origin: 제조업의 핵심인 생산 라인(Assembly Line)에 제품을 투입하는 물리적인 행위에서 유래했습니다. 제품이 라인을 따라 이동하며 실제 생산 공정을 거치는 것처럼, 어떤 일이나 계획을 본격적인 실행 단계에 돌입시키는 것을 비유합니다.
It originated from the physical act of inputting products onto the assembly line, which is central to manufacturing. Just as products move along the line through actual production processes, it figuratively refers to initiating a task or plan into its full execution phase.
의미 | Meaning: 어떤 제품이나 계획, 아이디어를 본격적으로 생산하거나 실행 단계에 옮기다. 공식적인 절차를 밟아 진행시키다.
To officially start producing or executing a product, plan, or idea; to proceed through formal procedures.
문법적 요소 | Grammatical Elements: 동사구(verb phrase). '라인에 태웠어', '라인에 올려야 해' 등으로 사용됩니다.
Verb phrase. Used as '라인에 태웠어' (put it on the line), '라인에 올려야 해' (need to put it on the line), etc.
신제품 개발은 이제 끝났으니, 다음 주부터는 본격적으로 라인에 태워서 양산 준비를 시작해야 해. 마케팅팀에서도 빨리 제품을 받아보고 싶어 할 거야.
Now that new product development is complete, we need to officially put it on the line and start mass production preparation from next week. The marketing team will also want to receive the product quickly.
(외국인 근로자는 '라인을 태우다'는 직역하면 '선을 불태운다'는 뜻으로 오해할 수 있으며, '본격적인 생산 시작'이라는 의미를 유추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A foreign worker might misunderstand '라인을 태우다' if literally translated as 'burning the line,' and it might be difficult to infer the meaning of 'beginning full-scale production.')
2. QC(큐씨) 잡다 / QC 걸리다
Get Caught by QC / Get QC-ed
유래 | Origin: QC는 Quality Control(품질 관리)의 약자입니다. 제조 현장에서 제품의 품질을 검사하고 불량품을 걸러내는 과정이 매우 중요하죠. 이 과정에서 불량이 발견되어 생산 라인에서 빠지거나 추가 조치가 필요한 상황을 비유합니다.
QC stands for Quality Control. In manufacturing, the process of inspecting product quality and filtering out defects is crucial. This refers to situations where defects are found during this process, leading to products being removed from the production line or requiring additional measures.
의미 | Meaning: (제품이) 품질 검사에서 불량으로 판정되다. (비유적으로는 어떤 일이나 사람이 문제나 기준 미달로 인해 제동이 걸리거나 통과하지 못하다.)
(For a product) to be judged as defective in quality inspection. (Figuratively, for a task or person to be halted or fail due to issues or not meeting standards.)
문법적 요소 | Grammatical Elements: 동사구(verb phrase). 'QC에 잡혔어', 'QC에 걸릴 뻔했어' 등으로 사용됩니다.
Verb phrase. Used as 'QC에 잡혔어' (got caught by QC), 'QC에 걸릴 뻔했어' (almost got caught by QC), etc.
이번에 생산된 부품 몇 개가 미세한 스크래치 때문에 QC에 잡혔어. 재작업이 필요할 것 같으니, 생산팀에 다시 확인해 달라고 해.
A few parts produced this time were caught by QC due to minor scratches. It seems rework is needed, so please ask the production team to check again.
(외국인 근로자는 'QC'라는 약어가 무엇인지 모를 수 있으며, '잡히다'나 '걸리다'는 직역하면 '체포되거나 덫에 걸린다'는 뜻으로 오해하여 당황할 수 있습니다.)
(A foreign worker might not know what the acronym 'QC' means, and might be confused or surprised by the literal translation of '잡히다' (to be caught) or '걸리다' (to be trapped) as 'to be arrested or caught in a trap.')
3. 스펙 맞추다
Meet the Specs
유래 | Origin: 스펙(Specification)은 제품이나 부품이 가져야 할 성능, 크기, 재료 등 상세한 기술적 사양을 의미합니다. 제조업에서는 이 스펙에 정확히 맞춰 생산하는 것이 핵심이므로, 특정 기준이나 요구사항에 부합하게 만드는 것을 비유하게 되었습니다.
Specs (Specification) refer to the detailed technical requirements such as performance, size, and materials that a product or component should have. In manufacturing, producing exactly according to these specs is crucial, hence it has become a metaphor for making something conform to specific criteria or requirements.
의미 | Meaning: 요구되는 기술적 사양이나 기준, 또는 고객의 기대치에 부합하도록 만들다. 특정 조건이나 기준을 충족시키다.
To make something conform to required technical specifications or standards, or customer expectations. To meet certain conditions or criteria.
문법적 요소 | Grammatical Elements: 동사구(verb phrase). '스펙을 맞췄다', '스펙에 맞춰야 한다' 등으로 사용됩니다.
Verb phrase. Used as '스펙을 맞췄다' (met the specs), '스펙에 맞춰야 한다' (need to meet the specs), etc.
이번 고객사 주문은 까다로워서, 제품 생산 시 정밀도를 0.01mm 오차 이내로 스펙 맞춰야 해. 작은 실수도 용납되지 않아.
This client's order is demanding, so we need to meet the specs with precision within a 0.01mm error margin during product manufacturing. Even a small mistake is not allowed.
(외국인 근로자는 '스펙'이라는 외래어는 알 수 있으나, '맞추다'와 결합된 의미가 '정확하게 기준에 부합하게 생산한다'는 깊은 의미임을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A foreign worker might know the loanword '스펙' (spec), but it might be difficult for them to understand the deeper meaning when combined with '맞추다' (to match/fit), which implies 'producing precisely according to standards.')
4. 갈아 넣다
Grind and Put In / Pour Everything In
유래 | Origin: 어떤 재료를 기계에 갈아 넣듯이 완전히 투입하거나 소진하는 물리적인 행위에서 온 비유입니다. 주로 시간, 노력, 인력 등을 극한으로 투입하여 특정 목표를 달성하는 데 쓰는 강렬한 표현입니다.
It's a metaphor derived from the physical act of completely inputting or exhausting materials as if grinding and putting them into a machine. It's a strong expression mainly used to describe investing time, effort, manpower, etc., to their extreme limits to achieve a specific goal.
의미 | Meaning: 특정 목표 달성을 위해 시간, 노력, 인력, 자원 등을 남김없이 최대한으로 투입하거나 소모하다. 때로는 혹독하게 일하거나 희생하다.
To invest or consume all available time, effort, manpower, resources, etc., to the maximum extent to achieve a specific goal. Sometimes implies working harshly or making sacrifices.
문법적 요소 | Grammatical Elements: 동사구(verb phrase). '갈아 넣었어', '갈아 넣어야 해' 등으로 사용됩니다.
Verb phrase. Used as '갈아 넣었어' (ground and put in), '갈아 넣어야 해' (need to grind and put in), etc.
납기일을 맞추기 위해 우리 팀원들 모두 주말까지 반납하고 밤낮으로 갈아 넣다시피 했어. 정말 이번 프로젝트는 모두의 헌신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거야.
To meet the deadline, all our team members gave up their weekends and practically poured everything in day and night. This project really wouldn't have been possible without everyone's dedication.
(외국인 근로자는 '갈다'는 동사가 '분쇄하다'는 의미이므로, '사람을 갈아 넣는다'는 표현을 직역하면 잔인하거나 이해할 수 없는 표현으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A foreign worker might literally translate '갈다' as 'to grind,' leading to a cruel or incomprehensible understanding of 'grinding people and putting them in.')
5. 야근 밥 먹듯이 하다
Work Overtime Like Eating Meals
유래 | Origin: '밥 먹듯이'는 어떤 행위를 매우 자주, 일상적으로 반복한다는 뜻의 한국어 관용구입니다. 여기에 '야근'이 붙어 제조업 현장에서 흔히 발생하는 장시간 야간 근무의 강도와 빈도를 강조하는 표현이 됩니다.
'밥 먹듯이' (like eating meals) is a Korean idiom meaning to repeat an action very frequently, as a daily routine. When combined with '야근' (overtime), it becomes an expression emphasizing the intensity and frequency of long-hour night shifts common in manufacturing.
의미 | Meaning: 야간 근무를 매우 자주, 거의 매일같이 할 정도로 빈번하게 하다.
To work night shifts very often, almost daily.
문법적 요소 | Grammatical Elements: 동사구(verb phrase). '야근을 밥 먹듯이 했다', '야근을 밥 먹듯이 할 준비가 되어 있다' 등으로 사용됩니다.
Verb phrase. Used as '야근을 밥 먹듯이 했다' (worked overtime like eating meals), '야근을 밥 먹듯이 할 준비가 되어 있다' (ready to work overtime like eating meals), etc.
우리 공장은 성수기에는 야근을 밥 먹듯이 하는 날이 많아. 힘들어도 이해해 줘. 그래도 비수기엔 괜찮아.
During peak seasons, our factory has many days where we work overtime like eating meals. Please understand even if it's tough. It's okay during the off-season though.
(외국인 근로자는 '야근을 밥처럼 먹는다'는 직역된 의미에 혼란을 느낄 수 있으며, '아주 자주 한다'는 관용적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A foreign worker might be confused by the literal translation of 'eating overtime like rice' and may find it difficult to grasp the idiomatic meaning of 'doing something very often.')
이 포스팅은 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클릭은 저희에게 큰 힘이 됩니다! 🤩
This post contains advertisements. Your clicks give us great strength!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