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ller Korean in 60 Seconds(+Topik focused) "행간을 읽다" To read between the lines
This blog introduces important keywords strategical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xam or Korean business.
이 블로그는 한국어 시험이나 한국어 비즈니스에 전략적으로 쓰이고 중요한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상사의 지시에는 늘 행간을 읽어야 숨겨진 진짜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You always have to read between the lines of your boss's instructions to grasp the hidden true intention.
그녀의 짧은 문자 메시지 속에서 나는 우리가 헤어질 것이라는 행간을 읽었다.
I read between the lines of her short text message that we were going to break up.
외교 문서에서는 표면적인 내용보다 행간을 읽는 능력이 결과를 좌우한다.
In diplomatic documents, the ability to read between the lines determines the outcome more than the surface content.
단어분석
행간 (Haenggan) : (글의) 줄과 줄 사이의 공간. 비유적으로는 글이나 말에 숨겨진 '속뜻'을 의미. (The space between the lines of text. Figuratively, the 'underlying meaning' hidden in text or speech.)
읽다 (Ikda) : 글이나 기호의 뜻을 이해하다. 여기서는 '의도를 파악하다'는 의미로 확장됨.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 text or symbol. Here, it is extended to mean 'to grasp the intention'.)
속뜻을 파악하다 (Soktteut-eul Pa-akhada) :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숨은 의미를 알아차리다. (To grasp the hidden meaning that is not outwardly revealed.)
행간을 읽다 설명문단
행간(行間)을 읽다는 문자 그대로 '줄과 줄 사이의 빈 공간을 읽는다'는 뜻을 넘어, 상대방의 말이나 글에 **직접적으로 표현되지 않은 숨겨진 의도나 속마음**, 즉 **속뜻**을 깊이 이해하는 능력을 일컫는 고급 한국어 관용구입니다. 특히 **간접화법**이나 **맥락(context)**을 중시하는 한국 문화와 비즈니스 환경에서는 이 행간을 읽는 기술이 단순한 언어 능력을 넘어선 핵심적인 **소통 능력**으로 간주됩니다.
The idiom To read between the lines (행간을 읽다) goes beyond its literal meaning ('to read the empty space between the lines'). It is an advanced Korean idiom referring to the ability to deeply understand the **hidden intention or true feelings**—the **underlying meaning**—that is not explicitly expressed in the other person's speech or writing. Especially in Korean culture and business environments, which prioritize **indirect communication** and **context**, the skill of reading between the lines is considered a key **communication competence** beyond mere language proficiency.
🥇 고급 한국어 문법과 표현 익히기 (고급 언어 기술)
행간을 읽는 능력은 문서의 숨겨진 계약 조건을 파악하거나, 상사나 동료의 미묘한 어조 변화를 감지하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필수적입니다. 상대방이 '괜찮다'고 말하더라도 실제로는 '괜찮지 않다'는 **뉘앙스**를 알아차려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단순한 어휘력이나 문법 지식만으로는 습득하기 어려우며, 한국 사회의 **비언어적 신호(non-verbal cues)**와 문화적 배경에 대한 깊은 이해를 요구합니다. 따라서 이 표현은 한국어 능력의 **진정한 고급 단계**를 가늠하는 척도가 됩니다.
The ability to read between the lines is essential in various situations, such as grasping hidden contract terms in a document or detecting subtle changes in a superior's or colleague's tone. There are many cases where one must perceive the **nuance** that a person is actually 'not okay' even if they say they are 'okay.' This is difficult to acquire with just vocabulary or grammatical knowledge; it demands a deep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s **non-verbal cues** and cultural background. Therefore, this expression serves as a benchmark for the **true advanced level** of Korean proficiency.
💡 한국어 동의어 마스터하기 연습 (미묘한 차이 이해)
이 숙어를 일상 대화나 비즈니스에서 능숙하게 사용하려면, 행간을 읽다는 표현 자체를 쓰는 것보다 **실제로 행간을 읽고 행동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동료가 '일이 좀 많다'고 했을 때, 단순히 '많구나'가 아니라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는 행간을 읽고 먼저 도움을 제안하는 것이 높은 수준의 공감 능력과 한국어 소통 능력을 보여줍니다. 이는 **직장 생활(직장 한국어)**이나 심지어 TOPIK 시험의 쓰기 영역에서 **추론 능력**을 보여줄 때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To use this idiom proficiently in daily conversation or business, it's more important to **actually read between the lines and reflect it in your actions** than just using the phrase read between the lines itself. For instance, when a colleague says, 'I have a lot of work,' perceiving the underlying meaning that they are 'asking for help' rather than just 'they have a lot of work,' and offering help first, demonstrates a high level of empathy and Korean communication skill. This can be usefully applied in **workplace life (Business Korean)** or even when demonstrating **inferential ability** in the TOPIK writing section.
어떻게 사용할까요? (How to Use?)
'행간을 읽다'는 주로 **간접적인 상황에서 숨겨진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을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To read between the lines' is primarily used to emphasize the ability to **grasp hidden meaning in indirect situations**.
- ▶️ 비즈니스 회의 시: "그분의 발언은 칭찬 같았지만, 행간을 읽으면 사실상 경고였습니다."
- ▶️ 뉴스/문학 분석 시: "이 소설은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주제를 독자가 행간을 읽도록 유도한다."
- ▶️ 인간관계 조언 시: "진정한 친구는 말하지 않아도 행간을 읽고 내 마음을 알아주는 사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