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hrases 30 for Topik Level 3 (22) : '-여론을 수렴하다'. -을/를 기점으로'
Key phrases 30
한국어 핵심 구절 30일 완성
Essential Korean Phrases for TOPIK Level 3 (Day 22)
Day 22: 사회적 합의와 대안 모색 Social Consensus and Seeking Alternatives
한국어능력시험(TOPIK) 3급 합격을 목표로 하는 학습자에게 필수적인 핵심 구문과 표현을 교육하는 시리즈입니다. (This series teaches the core phrases and expressions essential for TOPIK Level 3 learners.) 30일간 매일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표현을 공유합니다. (Daily core expressions for social problem solving are shared over 30 days.)
핵심 어휘 및 문법 분석 Core Vocabulary and Grammar Analysis
핵심 표현 (Core Expressions)
공감대를 형성하다 (共感帶를 形成하다) [gong-gam-dae-reul hyeong-seong-ha-da] (Exp.)
의미: 여러 사람이 공통으로 느끼거나 생각하는 바를 이루다. (**To form a consensus/sympathy**)
활용: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다, 여론의 공감대를 형성하다. (To form a social consensus, to form public consensus)
예문: 정책 추진을 위해서는 국민과의 충분한 공감대 형성이 필수적이다. (Sufficient consensus formation with the public is essential for policy implementation.)
대안을 모색하다 (代案을 摸索하다) [dae-a-neul mo-saek-ha-da] (Exp.)
의미: 현재 문제나 상황을 대신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다. (**To seek/devise an alternative**)
활용: 합리적인 대안을 모색하다,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다. (To seek a reasonable alternative, to devise a new alternative)
예문: 환경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안 모색이 시급하다. (It is urgent to seek fundamental alternatives to solv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여론을 수렴하다 (輿論을 收斂하다) [yeo-ro-neul su-ryeom-ha-da] (Exp.)
의미: 일반 대중의 의견을 모아 받아들이다. (**To gather/collect public opinion**)
활용: 시민의 여론을 수렴하다, 각계각층의 여론을 수렴하다. (To gather citizen's public opinion, to collect opinions from all walks of life)
예문: 정부는 전문가 회의를 통해 다양한 여론을 수렴했다. (The government collected diverse public opinions through expert meetings.)
핵심 문법 (Core Grammar)
-을/를 바탕으로 [-eul/reul ba-tang-eu-ro] (Prep.)
의미: 어떤 사실, 경험, 지식 등을 근거로 하여. (**Based on / On the foundation of**)
활용: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험을 바탕으로. (To proceed based on research results, based on experience)
예문: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래 시장을 예측할 수 있다. (We can predict the future market based on the accumulated data.)
-을/를 기점으로 (起點으로) [-eul/reul gi-jeom-eu-ro] (Exp.)
의미: 어떤 일이나 변화가 시작되는 기준이 되는 시점. (**Starting from / Taking X as a turning point**)
활용: 이번 사건을 기점으로, 2024년을 기점으로. (Starting from this incident, starting from 2024)
예문: 새 대통령의 취임을 기점으로 외교 정책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A major change in foreign policy is expected starting from the inauguration of the new president.)
-에 불과하다 (不科하다) [-e bul-gwa-ha-da] (Exp.)
의미: 오직 그것뿐이고 더 이상은 아님. 가치나 중요성이 적음을 나타냄. (**To be nothing more than / To be merely X**)
활용: 일부분에 불과하다, 단순한 예측에 불과하다. (To be nothing more than a part, to be merely a simple prediction)
예문: 현재 성과는 장기 목표의 첫걸음에 불과하다. (The current result is merely the first step of the long-term goal.)
실전 문제 풀이 (Practical Problem Solving)
실전 문제 풀이로 핵심 구절을 익힙시다. (Let's master core phrases through practical problem-solving.)
세트 1. Key Phrase: 공감대를 형성하다
[문제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을 고르시오. (Choose the most appropriate expression for the blank.)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 정책을 성공시키려면 국민들의 (_______)을/를 (_______)하는 것이 중요하다.
- 이익 / 추구
- 대안 / 모색
- 공감대 / 형성
- 의견 / 해소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c
해설: 정책 성공을 위해 국민의 지지('함께 느끼는 바')를 얻는다는 의미의 '공감대를 형성하다'가 가장 적절합니다.
Analysis: Successful policy requires public support, making '공감대를 형성하다' most appropriate.
세트 2. Key Phrase: 대안을 모색하다
[문제 2] 다음 글의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표현을 고르시오. (Choose the most appropriate expression for the blanks.)
현재의 에너지 공급 방식은 환경 문제를 유발하므로, 미래 세대를 위해 새로운 친환경 (_______)을/를 (_______)해야 한다.
- 정책 / 완화
- 제도 / 도입
- 대안 / 모색
- 규제 / 수렴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c
해설: 현재 방식이 문제를 유발하므로, 이를 해결할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대안을 모색하다'가 가장 적절합니다.
Analysis: Since the current method is causing problems, we need to 'find' an 'alternative solution.' '대안을 모색하다' is the most appropriate.
세트 3. 실전 적용 (Practical Application)
[문제 3]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사용이 가장 자연스러운 것을 고르시오. (Choose the most natural sentence.)
- 이 결정은 모든 시민의 의견을 바탕으로 불과하다.
- 기업은 소비자와의 원활한 소통으로 여론을 수렴해야 한다.
- 작년의 실패를 모색하여 새로운 전략을 수립했다.
- 새로운 정부의 발표를 기점으로 공감대를 형성했다.
정답 및 해설 (Answer and Analysis)
정답: b
해설: a) 두 표현은 동시에 사용 불가. (The two phrases cannot be used together.) b) '소통'을 통해 대중의 의견을 모으는 것은 '여론을 수렴해야'가 가장 자연스러움. (Correctly gathers public opinion through communication.) c) '실패'는 '모색' 대상이 아님. ('실패를 바탕으로'가 적절). (Failure is not the object of 'to seek/devise'.) d) '기점으로'는 시점을 나타내며, '공감대 형성'과 어울리지 않음. (Not naturally linked to 'formed a consensus'.)
복습 연습 문제 (Review Practice)
다음 문장의 빈칸에 알맞은 단어나 표현을 넣어보세요. (Fill in the blanks with the appropriate words or expressions.)
1.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사회적 (___________)을/를 (___________)할 수 있었다.
2. 새로운 기술 도입을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___________)을/를 (___________)해야 한다.
3. 그들의 주장은 현재 상황의 단편적인 모습 (___________)에 (___________).
(정답 예시: 1. 공감대, 형성 / 2. 대안, 모색 / 3. 불과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