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광고(Ads) + Korean Listening : '-아/어도 (a/eo-do)' Work-Life Balance & Selective Work System

고용노동부 공익광고로 배우는 '일생활균형'과 '선택근무제' 한국어 | Learning 'Work-Life Balance & Selective Work System' Korean from the MOEL PSA

고용노동부 공익광고로 배우는
'일생활균형''선택근무제' 한국어
Learning 'Work-Life Balance & Selective Work System' Korean from the MOEL PSA

레벨: 중급 (Intermediate)


나의 시간을 선택하는 권리: 선택근무제
The Right to Choose Your Time: Selective Work System

고용노동부의 이 공익광고는 **일생활균형 (Work-Life Balance)**의 핵심인 **선택근무제**를 유쾌하게 설명합니다. 광고는 직장인이 아침 일찍 출근하면서도 "일찍 ****서 늦게 ****도 일찍 **퇴근**하고 늦게 **출근**하는 기적"이라고 표현합니다 [00:00:10].
This MOEL PSA explains the **Selective Work System**, a key aspect of **Work-Life Balance (WLB)**. The ad describes it as a "miracle like **leaving work early** and **coming to work late**, even if you **went early** and **came late**," while the worker is commuting early in the morning.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일찍 가도**와 **일찍 퇴근하고**의 대비입니다. 즉, 근무 시간의 총량은 유지하되, 하루의 시작/종료 시각을 근로자가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이 유연성은 개인의 생활 패턴, 육아, 자기 계발 등에 시간을 할애하여 삶의 질을 높여줍니다.
The contrast between **going early** and **leaving early** is key. It emphasizes that while total working hours are maintained, the worker can **choose** the start/end times. This **Flexible Work (유연근무)** improves life quality by allowing time for personal life, childcare, and self-development.

광고는 '선택의 권리'를 노래하며 "**업무 시간은 내가 정하는 거라네**" [00:00:20]라고 반복 메시지를 던집니다. 이는 직장 문화가 경직된 상명하복 구조에서 벗어나 **자율성**을 부여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자율'은 한국 사회에서 점점 중요해지는 가치입니다.
The ad sings about the 'right to choose': "**I'm the one who decides my work hours**." This shows the workplace culture is shifting from a rigid hierarchy to one that grants **autonomy**. This concept is increasingly important in Korean society.


✏️ 핵심 어휘 및 문법 분석Key Vocabulary & Grammar Analysis

1. 일생활균형 (il-saeng-hwal-gyun-hyeong)
Noun. Work-Life Balance

의미: 일과 개인 생활 사이에 적절한 균형 유지. 줄여서 **워라밸 (Wo-Ra-Bel)**이라고 합니다.
Meaning: Maintaining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work and personal life. Often shortened to **WLB**.

많은 한국 젊은이들은 연봉보다 **일생활균형**을 더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Many young Koreans value **work-life balance** more than annual salary.

2. 선택근무제 (seon-taek-geun-mu-je)
Noun. Selective Work System / Flexible Hours System

의미: 근로자가 정해진 총 근로시간 내에서 업무의 시작 및 종료 시각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게 하는 제도.
Meaning: A system where workers decide their own work start and end times within a predetermined total working hour limit.

우리 회사는 **선택근무제** 덕분에 직원들의 만족도가 높습니다.
Thanks to the **selective work system**, employee satisfaction is high at our company.

3. -고 (go) vs. -아/어도 (a/eo-do)
Grammar. Sequential/Contrastive vs. Concession

광고에서 "**일찍 가**서 늦게 **와**도"는 노래 가사 표현이며, 문법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고 (go):** 동작의 **순서**나 단순 **나열**을 나타냅니다. (예: 일찍 가고 늦게 와요: Go early and come late.)
  •    
  • **-아/어도 (a/eo-do):** **양보**나 **가정**을 나타내며, **'~을 하더라도'**의 의미입니다. 선택근무제의 유연한 **시간 개념**을 명확히 보여주는 문법입니다. (예: 일찍 와도 늦게 와도: Even if you go early, even if you come late.)

돈이 **없어도** 마음은 부자입니다.
Even if I **don't have** money, my heart is rich.


✏️ 연습 문제Practice Questions

1. 다음 중 '일생활균형'을 줄인 말은 무엇입니까?
Which of the following is the shortened word for 'Work-Life Balance'?

(a) 열정페이 (b) 갑질 (c) 워라밸 (d) 출퇴근

2. 주어진 문장의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문법 표현은?
What is the most appropriate grammatical expression for the blank in the sentence?

비가 **_____** 우리는 약속 장소로 가야 합니다. (오다)
We must go to the meeting place **_____** it rains.

(a) 오고 (b) 오면 (c) 오거나 (d) 와도

정답 (Answers)

1. (c) 워라밸 (Wo-Ra-Bel)

2. (d) 와도 (양보의 의미를 강조하기에 가장 적절합니다.)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 2025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

  
#일생활균형 #선택근무제 #유연근무 #워라밸 #한국어문법 #직장문화
#WorkLifeBalance #SelectiveWork #FlexibleWork #WLB #KoreanGrammar #Workplace

popular & loved

Topik writing type no.53! How to prepare?

Indepth Korea_K-food, 이제 일상 간식까지 인기! (K-Food Tourist Snack Trend)

🛣️Mastering Korean / 한국어 장소 부사 : 여기, 저기, 거기

📖Top-Level Korean Grammar and Expressions① 존댓말 압존법

TOPIK60_DAY29 : 유추하다, 짐작하다, ~(으)면

Confused Korean Grammar: ~거든요, ~(으)면, ~ㄹ/을지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