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ller Korean in 60 Seconds(+Topik focused) " 사회적 편견 " Social Prejudice

사회적 편견 | Killer Korean in 60 Seconds

This blog introduces important keywords strategical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xam or Korean business.
이 블로그는 한국어 시험이나 한국어 비즈니스에 전략적으로 쓰이고 중요한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Killer Korean in 60 Seconds
사회적 편견

1분안에 끝내는 고급한국어

"사회적 편견"
(Sahoeyeok Pyeongyeon)
Social Prejudice

우리는 **사회적 편견**을 극복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자세를 길러야 합니다.

We must overcome **social prejudice** and foster an attitude of respecting diversity.

그 연구는 지역 사회에서 만연한 성별 고정관념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The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pervasive gender stereotypes in the community on employment.

무의식적인 편견은 조직 내에서 공정한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가장 큰 장애물 중 하나이다.

Unconscious prejudice is one of the biggest obstacles hindering fair decision-making within an organization.

단어분석

사회적 편견 (Sahoeyeok Pyeonygeon) : 특정 집단이나 개인에 대해 사실에 근거하지 않고 가지는 치우친 의견. (A preconceived opinion, often negative, about a particular group or person without sufficient knowledge/Social Prejudice.)

고정관념 (Gojeonggwannyeom) : 어떤 대상에 대한 지나치게 단순하고 획일적인 생각이나 이미지. (An overly simplistic and uniform thought or image about a certain subject/Stereotype.)

차별 (Chabyeol) : 특정 집단을 불리하게 대우하는 행위. (The act of treating a specific group unfavorably/Discrimination.)

사회적 편견 설명문단

사회적 편견(社會的 偏見)은 사회 구성원들이 특정 집단에 대해 사실에 근거하지 않고 가지는 **치우친 의견**을 의미하며, 이는 고정관념(固定觀念)에서 출발하여 **혐오(嫌惡)**나 불합리한 대우인 차별(差別)로 이어지기 쉽습니다. 한국 사회에서도 학력, 지역, 성별, 세대 등 다양한 측면에서 **편견**이 존재하며, 이는 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Social prejudice (社會的 偏見) refers to a **biased opinion** that social members hold about a specific group, not based on facts. It often originates from a stereotype (固定觀念) and easily leads to **aversion (嫌惡)** or discrimination (差別)—unreasonable treatment. In Korean society too, such **prejudices** exist across various aspects like education, region, gender, and generation, and it is recognized as a serious social issue that hinders social unity.

📢 사회적 소수자 | Killer Korean in 60 Seconds 🔗

편견은 복잡한 세상을 단순화하려는 인간의 인지적 경향 때문에 발생하지만, 잘못된 학습이나 미디어 이미지에 의해 강화됩니다. 특히 최근에는 개인이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작용하는 **'무의식적 편견(Unconscious Bias)'**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며, 이는 채용, 승진 같은 중요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비합리적인 차별을 발생시키는 주범이 될 수 있습니다. 건강한 사회를 위해 **무의식적 편견**을 인지하고 교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Prejudice arises from the human cognitive tendency to simplify a complex world, but it is also reinforced by incorrect learning or media images. Recently, awareness of **'Unconscious Bias,'** which operates without conscious knowledge, has become important, as it can be a primary culprit in causing irrational discrimination in crucial decision-making processes like hiring and promotion. For a healthy society, efforts are needed to recognize and correct these **unconscious prejudices**.

🤔 TOPIK 54번 쓰기: 올바른 '태도' 논하기 (고난도 주제) 🔗

사회적 편견을 해소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다양한 경험**과 **적극적인 소통**입니다. 서로 다른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의 직접적인 교류는 고정관념이 얼마나 잘못되었는지 깨닫게 해줍니다. '편견', '고정관념', '차별', '다양성' 같은 어휘는 고급 한국어 회화와 작문 능력을 측정하는 중요한 척도이며, 이 키워드들을 정확히 활용하는 것은 한국 사회를 깊이 있게 이해하는 시작점입니다.

The most effective ways to resolve social prejudice are through **diverse experiences** and **active communication**. Direct interaction with people from different backgrounds helps us realize how wrong stereotypes can be. Vocabulary such as 'prejudice,' 'stereotype,' 'discrimination,' and 'diversity' is an important measure of advanced Korean conversation and writing skills. Accurately utilizing these keywords is the starting point for a deeper understanding of Korean society.

📚 고급 한국어 문법과 표현 익히기 (심화 학습) 🔗

어떻게 사용할까요? (How to Use?)

'사회적 편견'은 사회학, 심리학, 인권 관련 뉴스나 논평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Social Prejudice' is mainly used in news or commentary related to sociology, psychology, and human rights.

 
다양성과 포용을 상징하는 그림
  • ▶️ 뉴스 분석 시: "우리 사회는 여성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더 노력해야 합니다."
  • ▶️ 정책 논의 시: "새로운 정책은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고정관념차별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 ▶️ 비즈니스 상황 시: "면접관들은 무의식적인 편견을 배제하고 지원자를 공정하게 평가해야 한다."
#사회적편견 #고정관념 #차별 #사회문제 #비즈니스한국어 #SocialPrejudice #Stereotype #Discrimination #KoreanEconomy

popular & loved

Topik writing type no.53! How to prepare?

Indepth Korea_K-food, 이제 일상 간식까지 인기! (K-Food Tourist Snack Trend)

🛣️Mastering Korean / 한국어 장소 부사 : 여기, 저기, 거기

📖Top-Level Korean Grammar and Expressions① 존댓말 압존법

TOPIK60_DAY29 : 유추하다, 짐작하다, ~(으)면

Confused Korean Grammar: ~거든요, ~(으)면, ~ㄹ/을지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