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ller Korean in 60 Seconds(+Topik focused) "고질적인 문제" Chronic Problem

고질적인 문제 | Killer Korean in 60 Seconds

This blog introduces important keywords strategically used in the Korean language exam or Korean business.
이 블로그는 한국어 시험이나 한국어 비즈니스에 전략적으로 쓰이고 중요한 키워드를 소개합니다.

Killer Korean in 60 Seconds

1분안에 끝내는 고급한국어

"고질적인 문제"
(Gojiljeogin Munje)
Chronic Problem / Deep-rooted Issue

저출산은 한국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로, 단기적인 정책으로는 해결하기 어렵다.

The low birth rate is a chronic problem in Korean society, difficult to solve with short-term policies.

우리 회사의 비효율적인 업무 방식은 고질적인 문제이니,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하다.

Our company's inefficient work methods are a deep-rooted issue, requiring fundamental reform.

정부는 부동산 투기라는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력한 규제책을 마련했다.

The government prepared strong regulatory measures to solve the chronic problem of real estate speculation.

단어분석 (Word Analysis)

고질적 (Gojiljeok): 오랫동안 지속되어 고치기 어려운, 뿌리 깊은. (Deep-rooted, persisting for a long time, difficult to fix.)

문제 (Munje): 해결해야 할 대상이나 사안. (An object or matter to be solved/Problem, Issue.)

고질적인 문제 (Gojiljeogin Munje): 오랫동안 지속되어 고치기 어려운, 뿌리 깊은 사회적 또는 개인적 문제점. (A deep-rooted social or personal problem that has persisted for a long time and is difficult to fix/Chronic Problem, Deep-rooted Issue.)

고질병 (Gojilbyeong): 고치기 어렵고 오래 끄는 병. (A disease that is difficult to cure and prolonged/Chronic Illness.)

만성적 (Manseongjeok): 어떤 현상이나 병이 장기간 계속되는 것. (Something or a disease that continues for a long period/Chronic.)

고질적인 문제 설명 (Chronic Problem Explanation)

고질적인 문제는 마치 **고질병**처럼 오랫동안 지속되어 쉽게 해결되지 않는 사회적, 경제적, 조직적 병폐를 뜻합니다. 단기적인 처방으로는 증상만 완화시킬 뿐, 근본적인 구조 개혁 없이는 반복되는 악순환을 낳습니다. 특히 한국 사회에서 **저출산, 부동산 문제, 양극화** 등은 대표적인 **고질적인 문제**로 손꼽힙니다.

A Chronic Problem (고질적인 문제) refers to a social, economic, or organizational ill that, like a **chronic disease**, persists for a long time and is not easily resolved. Short-term measures only alleviate symptoms, leading to a vicious cycle without fundamental structural reform. In Korean society, the **low birth rate, real estate issues, and polarization** are cited as representative chronic problems.

기업이나 조직 내에서도 고질적인 문제는 흔히 발견됩니다. 수직적인 조직 문화, 비효율적인 의사결정 구조, 고질적인 인력난 등이 여기에 해당하며, 이는 업무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장기적인 성장을 저해합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표면적인 현상을 넘어 **근본 원인**을 찾아 제거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Chronic problems are also frequently found within companies or organizations. A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inefficient decision-making, and chronic labor shortages fall into this category, decreasing work efficiency and hindering long-term growth. To solve the problem, effort is needed to eliminate the **root cause** rather than just the superficial phenomena.

이 키워드는 논평, 뉴스 분석, 고급 에세이 등에서 깊이 있는 시각을 드러낼 때 유용합니다. 단순히 '문제'라고 하기보다 **고질적인 문제**라고 표현함으로써 그 심각성과 해결의 어려움을 강조합니다. 한국어 토론이나 비즈니스 상황에서 복잡한 상황을 진단할 때 이 용어는 화자의 분석 능력을 돋보이게 합니다.

This keyword is useful when expressing a deep perspective in commentaries, news analyses, and advanced essays. By calling it a **chronic problem** rather than just a 'problem,' you emphasize its seriousness and the difficulty of its resolution. In Korean debates or business situations, this term enhances the speaker's analytical ability when diagnosing a complex situation.

어떻게 사용할까요? (How to Use?)

'고질적인 문제'는 사회 구조, 조직 문화, 개인의 습관 등 쉽게 바뀌지 않는 부정적인 현상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Chronic Problem' is used to describe negative phenomena in social structure, organizational culture, or personal habits that are difficult to change.

고질적인 문제를 상징하는 얽힌 매듭 그림
  • 사회 논평 시: "학벌 지상주의는 한국 교육 시스템의 고질적인 문제입니다."
  • 비즈니스 진단 시: "만성적인 야근 문화는 우리 팀의 성과를 저해하는 고질적인 문제다."
  • 일상 대화 시: "그 사람은 지각하는 게 거의 고질적인 문제라서 고치기 어려워요."
#고질적인문제 ##고질병 #만성적 #사회문제 #비즈니스한국어 #ChronicProblem #DeepRootedIssue #KoreanVocabulary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Remastering(4) : K DRAMA '멜로가 체질' + topik essential

당신이 곧 만나게 될 Korean movie (명작, masterpiece) "어쩔수가 없다" :"No Other Choice" by Park Chan-wook

Remastering K drama (7) '그 해 우리는' + Topik essent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