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삶(16) 외식트렌드 _The Lives of Koreans (16) Dessert Industry (+ Topik graph)
한국인의 삶 (16) 디저트 산업 편 The Lives of Koreans (16) Dessert Industry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서울시 디저트 업계 현황과 정책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서울 디저트 산업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관련 한국어 어휘와 문법을 배워보겠습니다.
(Hello! This time, we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rapidly growing Seoul dessert industry through the "Seoul Dessert Industry Status and Policy Implications" report, and learn related Korean vocabulary and grammar.)
서울 디저트 산업의 매출액은 2022년 기준 7조 원을 넘을 정도로 거대한 규모를 자랑합니다. 서울시민의 약 3.1%는 외식으로 '밥'보다 '카페/베이커리'(디저트)를 선호한다고 꼽았습니다. 이는 디저트가 단순한 주전부리를 넘어선 하나의 문화 현상임을 보여줍니다.
(The sales of the Seoul dessert industry boast a huge scale, exceeding 7 trillion won as of 2022. About 3.1% of Seoul citizens named 'cafe/bakery' (dessert) as their preferred choice for dining out, rather than 'rice' (a main meal). This shows that dessert is a cultural phenomenon that goes beyond simple snacks.)
🔗고급 한국어 관용구를 위한 조건: 한국어 문화 이해의 첫걸음최근 디저트 업계의 흐름을 주도하는 것은 '할매니얼' 열풍입니다. 약과, 식혜 등 전통 간식이 현대적으로 재해석되며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The recent trend leading the dessert industry is the 'Halmae-nial' craze. Traditional snacks like Yakgwa and Sikhye are being reinterpreted in a modern way and gaining huge popularity.
지역별 사업체 증가는 강남구, 송파구 등 강남 지역과 마포구, 종로구 등 강북 지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특히 지난 10년간 자치구별 연평균 증가율은 **성동구**가 1위를 차지하는 추세입니다.
(The increase in local businesses is concentrated in the Gangnam area, such as Gangnam-gu and Songpa-gu, and the Gangbuk area, such as Mapo-gu and Jongno-gu. In particular, **Seongdong-gu** is the top trend in the average annual growth rate among autonomous districts over the past decade.)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2: 실용 한국어 표현과 문법 배우기이처럼 디저트 문화가 발전함에 따라, 단순히 맛뿐만 아니라 가격이나 **분위기** 등 다양한 요소가 소비자의 선택 기준으로 꼽힙니다. 이러한 트렌드는 앞으로도 한국 사회의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을 것입니다.
(As the dessert culture develops, various factors such as price and **atmosphere**, as well as taste, are being chosen as consumers' selection criteria. This trend will continue to be deeply rooted in Korean society's daily life.)
연습 문제 (Practice Questions)
1. 아래 빈칸에 알맞은 어휘를 넣어 문장을 완성하세요.
최근 전통 디저트에 대한 (현주소 / 열풍)이 불고 있다. (정답: 열풍)
많은 소비자들이 맛보다 분위기를 (선호한다 / 증가한다). (정답: 선호한다)
2. 아래 문장을 완성하기 위해 알맞은 문법 표현을 넣어보세요.
디저트는 단순한 식사를 (~에 따르면 / ~을/를 넘어) 하나의 문화로 발전했다. (정답: 넘어)
서울 시민들은 디저트를 고를 때 분위기를 중요한 요소로 . (~을/를 꼽다 / ~는 추세이다) (정답: 꼽습니다)
오늘의 필수 어휘 3가지 Today's 3 Essential Vocabulary Words
1. 현주소 (Hyeonjusso)
의미: 현재의 상황이나 위치를 나타내는 말. Meaning: The term indicating the current status or location. (Current Status/Location)
한국 디저트 산업의 현주소는 매우 역동적입니다.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dessert industry is very dynamic.
2. 선호하다 (Seonhohada)
의미: 여럿 중에서 특별히 더 좋아하다. Meaning: To specially like or prefer among many. (To prefer)
요즘 젊은 세대는 전통 간식을 선호합니다. The young generation these days prefers traditional snacks.
3. 열풍 (Yeol-pung)
의미: 어떤 현상이나 유행이 매우 뜨겁게 일어나는 것. Meaning: When a certain phenomenon or trend occurs very intensely. (Fever/Craze/Boom)
최근 전통 디저트 열풍으로 약과 판매량이 급증했습니다. The recent traditional dessert craze has sharply increased yakgwa sales.
한국어 어휘 학습을 심화하고 싶다면 다음 글도 함께 읽어보세요.
🔗실생활에서 사용하는 한국어 문법과 표현 5가지오늘의 유용한 문법 3가지 Today's 3 Useful Grammar Points
1. ~을/를 꼽다 (~eul/reul kkopda)
의미: 여럿 가운데에서 특별히 지목하거나 선택하다. Meaning: To specially point out or choose from among many. (To be considered/singled out as)
많은 전문가들이 성동구를 디저트 산업의 중심으로 꼽습니다. Many experts consider Seongdong-gu the center of the dessert industry.
2. ~을/를 넘어 (~eul/reul neomeo)
의미: 어떤 기준이나 범위를 초과하여 더 나아가다. Meaning: To go further by exceeding a certain standard or boundary. (Beyond/Exceeding)
디저트는 단순한 음식을 넘어 하나의 문화 현상이 되었습니다. Dessert has developed beyond simple food to become a cultural phenomenon.
3. ~(으)ㄴ/는 추세이다 (~(eu)n/neun chuse-ida)
의미: 어떤 현상이 널리 퍼지거나 진행되고 있는 경향을 나타냅니다. Meaning: Indicates a tendency in which a phenomenon is widespread or progressing. (To be a trend of/To be a tendency of)
최근 디저트 업계는 '단기간 반짝' 하는 추세입니다. The recent dessert industry is a trend that shines brightly for a short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