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tering Topik Errors : 반의어 Antonyms (1) 열다 Vs 닫다, 잠그다?

한국어 반의어 정복하기: 자주 틀리는 문제 & 학습 팁 (Mastering Korean Antonyms: Common Mistakes & Learning Tips)

한국어 반의어 정복하기: 자주 틀리는 문제 & 학습 팁
Mastering Korean Antonyms: Common Mistakes & Learning Tips

한국어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러분을 위해, 오늘은 어휘력 향상에 꼭 필요한 '반의어(Antonyms)'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특히 한국어 능력 시험(TOPIK)을 준비하는 분들이라면 반의어 문제 때문에 헷갈리는 경우가 많을 텐데요, 이 글을 통해 고민을 해결해 보세요!

반의어란 무엇인가요?
What are Antonyms?

반의어(反義語, ban-ui-eo)는 의미가 서로 반대되는 단어들을 말합니다. '크다'의 반대말은 '작다'이고, '많다'의 반대말은 '적다'이죠. 한국어는 문맥에 따라 다른 반의어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 외국인 학습자들이 헷갈리기 쉽습니다.

반의어 특집1

자주 틀리는 반의어 문제 & 해결 팁
Common Antonym Mistakes & Tips to Solve Them

다음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특히 어려워하는 반의어 쌍과 그 이유입니다.

1. 열다 (yeol-da) vs. 닫다 (dat-da) & 잠그다 (jam-geu-da)

문제점: '열다'의 반의어를 '닫다'로만 생각하기 쉽습니다. Problem: It's easy to think of '닫다' as the only antonym of '열다.'

해결: '닫다'는 물리적 행위, '잠그다'는 잠금장치를 사용하는 행위로 구분해야 합니다. Solution: You must distinguish between '닫다,' which is physically closing something, and '잠그다,' which is locking it.

방문이 열려 있으니 닫아 주세요. The door is open, please close it.

외출할 때는 문을 꼭 잠그세요. When you go out, be sure to lock the door.

2. 빌리다 (bil-li-da) vs. 빌려주다 (bil-lyeo-ju-da)

문제점: 의미가 비슷해 보여 혼동하기 쉽습니다. Problem: They seem similar and are easy to confuse.

해결: '빌리다'는 물건을 '받는' 입장에서, '빌려주다'는 '주는' 입장에서 사용합니다. Solution: '빌리다' is used from the perspective of 'receiving,' while '빌려주다' is from 'giving.'

제가 친구에게 책을 빌렸어요. I borrowed a book from my friend.

제가 친구에게 책을 빌려줬어요. I lent a book to my friend.

🇰🇷 '빌리다'와 '빌려주다'에 대한 더 깊은 이해: 공공장소 vs 사적인 공간에서 헷갈리는 한국어 어휘!

3. 채우다 (chae-u-da) vs. 비우다 (bi-u-da)

문제점: '채우다'의 반의어로 '버리다'를 생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Problem: Sometimes people think '버리다' is the antonym of '채우다.'

해결: '채우다'는 '가득 차게 하다', '비우다'는 '안에 든 것을 내보내다'는 의미입니다. '버리다'는 뉘앙스가 다릅니다. Solution: '채우다' means 'to fill,' and '비우다' means 'to empty.' '버리다' has a different nuance.

컵에 물을 채우세요. Please fill the cup with water.

컵의 물을 비우세요. Please empty the water from the cup.

오늘의 반의어 연습 문제
Today's Antonym Practice Questions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문제를 풀어보세요.

1.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과 반대되는 의미의 단어를 고르세요.

‘비가 와서 창문을 열어야 해요.’

(A) 닫아야 (B) 잠가야

2. 다음 문장의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고르세요.

‘저는 친구에게 돈을 ___고, 친구는 저에게 돈을 ___.’

(A) 빌리고, 빌려줬습니다 (B) 빌려주고, 빌렸습니다

반의어를 공부할 때는 단순히 단어 하나만 외우기보다, 문장 속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함께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꾸준히 연습하면 어휘력이 훨씬 풍부해질 거예요!

📝 TOPIK 시험에 자주 나오는 '헷갈리는 문법' 정복하기

🏆 토픽 시험 고득점 전략: 헷갈리는 문법과 어휘 한 번에 정리!

© 2025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