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tering Topik Errors : 다의어 반의어 Antonyms: Polysemy Antonyms (2) 빨래를 걸다, 전화를 걸다

한국어 반의어 정복하기: 다의어 반의어 & 심화 학습 (Mastering Korean Antonyms: Polysemy & Advanced Tips)

한국어 반의어 정복하기: 다의어 반의어 & 심화 학습
Mastering Korean Antonyms: Polysemy & Advanced Tips

한국어 반의어 정복기 1편에 이어, 이번에는 더 깊이 있는 반의어의 세계를 탐험해볼 거예요.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가질 때(다의어), 그 반의어도 문맥에 따라 달라지는 흥미로운 현상을 배워 봅시다.

다의어와 반의어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olysemy and Antonyms

한국어는 하나의 단어가 다양한 의미를 가질 때가 많아요. 예를 들어 '쓰다'는 '모자를 쓰다', '글을 쓰다', '맛이 쓰다' 등 여러 뜻을 가지고 있죠. 이처럼 단어의 의미가 여러 가지일 때, 각각의 의미에 맞는 반의어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의어의 반의어

맥락에 따른 반의어 심화 학습
Advanced Antonym Learning by Context

다음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특히 어려워하는 다의어의 반의어 쌍과 그 예시입니다.

1. 걸다 (geol-da) vs. 풀다 (pul-da) & 끊다 (kkeun-ta)

문제점: '걸다'의 반의어가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Problem: The antonym of '걸다' chang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해결: '걸다'가 '매달다'는 의미일 때는 '풀다', '연결하다'는 의미일 때는 '끊다'를 사용합니다. Solution: When '걸다' means 'to hang,' use '풀다'. When it means 'to connect,' use '끊다'.

빨래를 끈에 걸었다. → 빨래를 끈에서 풀었다. I hung the laundry on the line. → I took down the laundry from the line.

전화를 걸었다. → 전화를 끊었다. I made a phone call. → I hung up the phone.

2. 밝다 (bal-da) vs. 어둡다 (eo-dup-da) & 느리다 (neu-ri-da)

문제점: '밝다'의 의미에 따라 반의어가 다릅니다. Problem: The antonym of '밝다' varies with its meaning.

해결: '밝다'가 '빛이 많다'는 의미일 때는 '어둡다', '속도가 빠르다'는 의미일 때는 '느리다'를 사용합니다. Solution: When '밝다' means 'bright,' use '어둡다'. When it means 'quick' (mentally), use '느리다'.

방이 아주 밝다. → 방이 아주 어둡다. The room is very bright. → The room is very dark.

그는 머리가 밝다. → 그는 머리가 느리다. He is mentally quick. → He is mentally slow.

🌟 한국어 '밝다'와 '어둡다'의 심층 탐구: 단순한 색깔을 넘어선 의미!

3. 깊다 (gip-da) vs. 얕다 (yat-da) & 얇다 (yal-da)

문제점: 의미가 비슷해 보이는 '얕다'와 '얇다'를 혼동하기 쉽습니다. Problem: It is easy to confuse '얕다' and '얇다' as they seem similar.

해결: '깊다'의 반의어는 '얕다'이며, '깊이'와 관련된 반의 쌍입니다. '얇다'는 '두껍다'의 반의어로 '두께'와 관련된 반의 쌍입니다. Solution: The antonym of '깊다' is '얕다', related to 'depth'. '얇다' is the antonym of '두껍다', related to 'thickness'.

물이 깊은 강. → 물이 얕은 강. A deep river. → A shallow river.

책이 두껍다. → 책이 얇다. The book is thick. → The book is thin.

📏 한국어 형용사 활용법: '두껍다'와 '얇다'의 미묘한 차이점

📝 한국어 동사 활용법: '보다'와 '보이다'의 차이점

오늘의 반의어 연습 문제
Today's Antonym Practice Questions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문제를 풀어보세요.

1.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과 반대되는 의미의 단어를 고르세요.

‘그의 방은 항상 빛이 잘 들어와서 밝다.’

(A) 어둡다 (B) 느리다

2. 다음 문장의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고르세요.

‘전화가 자꾸 와서 통화를 _____.’

(A) 걸었다 (B) 끊었다

3. 다음 중 밑줄 친 단어의 반의어로 알맞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생각이 깊다.’

(A) 얕다 (B) 얇다

반의어를 공부할 때는 단순히 단어 하나만 외우기보다, 문장 속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함께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꾸준히 연습하면 어휘력이 훨씬 풍부해질 거예요!

© 2025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