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삶(4) 고용률 : The Lives of Koreans (4) Employment Rate (Topik graph)

한국인의 삶 (4)고용률 편 (국영문) | Super Real Korean

한국인의 삶 (4)고용률 편
The Lives of Koreans (4) Employment Rate

안녕하세요!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고용률 변화에 대해 알아보고, 유용한 한국어 어휘와 문법을 배워볼게요. (Hello! Let's learn about the changes in the employment rate in Korea through the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People 2024" report, and learn useful Korean vocabulary and grammar.)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한국의 고용률은 62.9%로 2022년의 62.3%에 비해 상승했습니다. 이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99년 이후 최고 수준입니다. (According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People 2024" report, Korea's employment rate in 2023 was 62.9%, an increase from 62.3% in 2022. This is the highest level since statistics began in 1999.)

2023년 한국 고용률 그래프

(이미지 출처: 국민 삶의 질 2024 보고서)

성별로는 남성과 여성 모두 고용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는데, 특히 여성 고용률이 2023년 53.6%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습니다. 남성 고용률은 71.3%로 여전히 여성보다 높지만, 여성 고용률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By gender, both male and female employment rates showed an increasing trend, with the female employment rate reaching an all-time high of 53.6% in 2023. Although the male employment rate of 71.3% is still higher than that of women, the female employment rate is a fast-increasing trend.)

🔗한국의 일과 학습 문화

이는 한국 사회가 단순히 젊은 세대뿐만 아니라, 모든 세대가 경제활동에 활발하게 참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This shows that Korean society is moving towards a direction where not only the younger generation but all generations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economic activities.)

고용률 상승은 인구 구조 변화와 함께 다양한 세대가 노동 시장에 참여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The increase in the employment rate is analyzed to be due to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and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generations in the labor market.

특히 60대 이상 고령층의 고용률이 40.7%에 달하는 등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 연령이 높아지면서 노동 시장의 변화를 이끌고 있어요. (In particular, the employment rate of the elderly aged 60 and over reaching 40.7% is leading changes in the labor market as the retirement age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increases.)

🔗한국의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
월별고용률

고용률과 관련된 더 많은 정보가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을 읽어보세요.

🔗한국 직장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

오늘의 필수 어휘 3가지
Today's 3 Essential Vocabulary Words

1. 고용률 (goyongnyul)

의미: 일정 연령 이상의 인구 중에서 취업한 사람의 비율. Meaning: The percentage of people aged over a certain age who are employed. (Employment rate)

우리나라의 고용률은 매년 조금씩 높아지고 있습니다. Our country's employment rate is slightly increasing every year.

2. 추세 (chuse)

의미: 일정한 방향으로 기울거나 흐르는 경향. Meaning: A tendency or inclination to move in a certain direction. (Trend)

최근 물가가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Recently, prices have shown an increasing trend.

3. 달하다 (dalhada)

의미: 어떤 수준이나 정도에 이르다. Meaning: To reach a certain level or degree. (To reach)

이 프로젝트의 예상 수익이 1억 원에 달할 것으로 보입니다. The estimated profit of this project is expected to reach 100 million won.

연습 문제: 아래 빈칸에 알맞은 어휘를 넣어 문장을 완성하세요.
(Practice questions: Fill in the blanks with the correct vocabulary to complete the sentences.)
1. 2024년 한국의 고용률은 62.9%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용률 / 추세)
2. 최근에는 건강을 중시하는 추세가 강해지고 있다. (고용률 / 추세)

오늘의 유용한 문법 3가지
Today's 3 Useful Grammar Points

1. ~(으)ㄴ 반면 (~(eu)n banmyeon)

의미: 앞의 내용과 반대되거나 대조되는 내용을 뒤에 올 때 사용합니다. Meaning: Used when the following content is opposite or contrasted with the preceding content. (While / On the other hand)

한국은 여성 고용률이 증가한 반면, 남성 고용률은 소폭 감소했다. While the female employment rate in Korea increased, the male employment rate slightly decreased.

2. ~(으)ㄹ 뿐만 아니라 (~(eu)l ppunman anira)

의미: 어떤 사실에 더하여 다른 사실이 추가됨을 나타냅니다. Meaning: Indicates that another fact is added to a certain fact. (Not only... but also...)

고용률이 증가했을 뿐만 아니라 소득 만족도도 높아졌습니다. Not only did the employment rate increase, but also satisfaction with income rose.

3. ~는 것으로 분석되다 (~neun geos-euro bunseokdoeda)

의미: 어떤 현상이나 사실의 원인 또는 이유를 분석하여 결론 내릴 때 사용합니다. Meaning: Used when analyzing the cause or reason for a phenomenon or fact and drawing a conclusion. (It is analyzed that / It is seen as a result of)

고령층 고용률 증가는 인구 구조 변화 때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The increase in the elderly employment rate is analyzed to be due to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연습 문제: 아래 문장을 완성하기 위해 알맞은 문법 표현을 넣어보세요.
(Practice questions: Insert the correct grammar expression to complete the sentences below.)
1. 한국어는 발음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문법도 복잡하다. (~ㄴ/은 반면 / ~ㄹ 뿐만 아니라)
2.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증가한 반면, 남성의 참여율은 다소 정체되었다. (~는 것으로 분석되다 / ~ㄴ/은 반면)

© 2025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