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Textbook(5)_5 Real Korean Expressions Used in Cleaning tasks(청소)

외국인을 위한 한국 직장 관용어 교육 자료: 청소 업무

외국인을 위한 한국 직장 관용어 교육 자료: 청소 업무

Korean Workplace Idioms for Foreigners: Cleaning Tasks

Level: Intermediate to Advanced

한국 직장에서는 특히 청소 업무와 관련하여 직역으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비유적이고 관용적인 표현들이 자주 사용됩니다. 이 자료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 들을 수 있는 5가지 표현을 학습하고, 한국 직장 문화에 더욱 잘 적응하시길 바랍니다.

In Korean workplaces, figurative and idiomatic expressions that are difficult to understand through literal translation are often used, especially concerning cleaning tasks. We hope this material helps you learn 5 such expressions commonly heard in real work settings and adapt better to Korean workplace culture.

청소 업무 관련 한국어 관용어구를 설명하는 이미지

외국인 근로자의 청소 용역 업무 종사 안내

Guide for Foreign Workers in Cleaning Services

외국인 노동자가 한국에서 청소 용역 업무에 종사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몇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Foreign workers can engage in cleaning services in Korea, but several conditions must be met.

비전문취업(E-9) 비자 (Non-professional Employment (E-9) Visa): 청소 용역과 같은 단순 기능 업무는 일반적으로 **비전문취업(E-9) 비자**를 통해 가능합니다. 이 비자는 고용노동부가 정한 업종과 인력 수요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를 합법적으로 고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고용허가제**를 통해 발급됩니다.

Non-professional Employment (E-9) Visa: Simple manual tasks like cleaning services are generally possible through the **Non-professional Employment (E-9) visa**. This visa is issued through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which allows legal employment of foreign workers based on industries and labor demands set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방문취업(H-2) 비자 (Visiting Employment (H-2) Visa): **방문취업(H-2) 비자**를 가진 재외동포도 일정 조건 하에 청소 업무에 종사할 수 있습니다.

Visiting Employment (H-2) Visa: Overseas Koreans holding a **Visiting Employment (H-2) visa** can also engage in cleaning work under certain conditions.


고용 조건 (Employment Conditions): 고용주가 외국인을 채용하려면 먼저 **내국인 구인 노력**을 해야 하며, **고용허가를 받은 사업장**이어야 합니다. 또한 외국인 근로자는 **한국어 능력시험(TOPIK)** 등 일정한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Employment Conditions: For an employer to hire a foreign national, they must first **attempt to hire domestic workers** and must be a **workplace with an employment permit**. Foreign workers must also complete certain procedures, such as passing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TOPIK)**.


주요 관용어 (Key Idioms)

1. (바닥/주변을) 싹 쓸다 / 싹 치우다 | Sweep clean / Clear everything away

유래 (Origin): '싹'은 '남김없이', '모조리'라는 의미를 강조하는 부사입니다. 물리적으로 모든 것을 제거하거나 정리하는 행위에서 유래했습니다.

의미 (Meaning): 특정 공간이나 물건을 **남김없이 깨끗하게 치우거나 정리하는 것**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싹'은 강조의 의미를 더합니다.

문법적 요소 (Grammatical Elements): 동사구 (Verb Phrase). '바닥을 싹 쓸어라', '테이블을 싹 치워야 해' 등으로 사용됩니다.

팀장 🧑‍💼: "손님들 다 가셨으니, 홀 바닥에 있는 쓰레기 싹 쓸어주세요."
외국인 직원 👩‍🏭: "네, 바로 싹 쓸어서 깨끗하게 치우겠습니다!"

외국인 직원의 오해 (Misunderstanding by Foreign Employees): '싹'이라는 부사가 들어가 자칫 거칠게 들릴 수 있지만, 실제로는 '**완전히, 남김없이 깨끗하게**'라는 의미를 강조하는 말입니다. 빠르게, 효과적으로 청소해달라는 지시입니다.

Foreign employees might misunderstand '싹' as being harsh, but it actually emphasizes '**completely and thoroughly clean**'. It's a directive to clean quickly and effectively.

---

2. 손때 묻다 | Get stained with handprints / Get worn from use

유래 (Origin): 사람의 손이 자주 닿아 물건에 때나 흔적이 남는 현상에서 유래했습니다.

의미 (Meaning): 물건에 사람의 손이 많이 닿아 **더러워지거나 낡아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특히 자주 만지는 부분에 얼룩이나 닳은 흔적이 생겨 청소가 필요할 때 사용됩니다.

문법적 요소 (Grammatical Elements): 동사구 (Verb Phrase). '손때가 묻었네', '손때가 묻은 의자' 등으로 사용됩니다.

팀장 👩‍🏭: "저기 문손잡이 좀 봐. 손때가 잔뜩 묻었네. 깨끗이 닦아야겠다."
외국인 직원 🧑‍💼: "네, 저도 아까 보면서 닦아야겠다고 생각했어요. 바로 닦을게요."

외국인 직원의 오해 (Misunderstanding by Foreign Employees): 글자 그대로 '손에 때가 묻었다'는 뜻이 아니라, '**물건이 사용감으로 인해 지저분해졌다**'는 뜻입니다. 특정 부위의 오염을 지적하며 청소를 지시하는 표현입니다.

Foreign employees might misunderstand this as literally meaning 'dirt on hands,' but it actually means '**the object has become dirty from use**'. It's an expression pointing out contamination on specific areas and instructing to clean them.

---

3. 기름때가 끼다 | Get greasy / Get covered in grease stains

유래 (Origin): 기름 성분의 오염이 사물에 달라붙는 물리적 현상에서 유래했습니다.

의미 (Meaning): 주로 주방이나 조리 기구에 **기름 성분의 더러움이 들러붙어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묵은 기름때는 잘 지워지지 않아 특별한 청소가 필요하다는 뉘앙스를 포함합니다.

문법적 요소 (Grammatical Elements): 동사구 (Verb Phrase). '기름때가 꼈다', '기름때 낀 환풍기' 등으로 사용됩니다.

팀장 🧑‍💼: "튀김기 주변에 기름때가 잔뜩 꼈으니 오늘은 세제로 박박 문질러서 청소해야 해."
외국인 직원 👩‍🏭: "네, 알겠습니다. 강력 세제 써서 닦아볼게요."

외국인 직원의 오해 (Misunderstanding by Foreign Employees): 단순히 기름이 묻었다는 것을 넘어, **제거하기 어려운 끈적하고 묵은 기름 오염 상태**를 표현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더 철저한 청소를 요구하는 표현입니다.

Foreign employees might misunderstand this as simply "oil is on it," but it primarily describes **stubborn, sticky grease stains that are difficult to remove**. It's an expression requesting a more thorough cleaning.

---

4. 먼지 뽀얗다 | Covered in a fine layer of dust / Dusty white

유래 (Origin): 먼지가 쌓여 대상이 희뿌옇게 보이는 시각적인 상태를 묘사하는 데서 유래했습니다.

의미 (Meaning): **먼지가 많이 쌓여 희고 뿌옇게 된 상태**를 표현합니다. 먼지 제거 청소가 필요함을 나타냅니다.

문법적 요소 (Grammatical Elements): 형용사 (Adjective). '먼지가 뽀얗네', '먼지 뽀얀 장식장' 등으로 사용됩니다.

팀장 👩‍🏭: "창고 선반 위에 먼지가 뽀얗게 쌓였네. 오랜만에 대청소 좀 해야겠다."
외국인 직원 🧑‍💼: "네, 제가 마스크 쓰고 깨끗하게 닦아 놓겠습니다."

외국인 직원의 오해 (Misunderstanding by Foreign Employees): '뽀얗다'는 본래 깨끗하고 부드러운 하얀색을 뜻하지만, '먼지'와 함께 쓰일 때는 **청소가 시급하다는 부정적인 의미**를 전달합니다.

Foreign employees might misunderstand '뽀얗다' as meaning pure white, but when used with '먼지' (dust), it conveys a **negative meaning, indicating an urgent need for cleaning**.

---

5. 물기 싹 제거하다 / 물기 잡다 | Remove all moisture / Absorb moisture

유래 (Origin): 청소 후 물기를 완전히 없애는 물리적 행위에서 유래했습니다.

의미 (Meaning): 청소 후 **물기가 남아있지 않도록 완전히 닦아내거나 건조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위생이나 안전을 위해 물기 제거가 중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문법적 요소 (Grammatical Elements): 동사구 (Verb Phrase). '물기를 싹 제거했어', '물기 좀 잡아줘' 등으로 사용됩니다.

팀장 🧑‍💼: "설거지 다 했으면 그릇에 물기 싹 제거해서 건조대에 놓으세요."
외국인 직원 👩‍🏭: "네, 키친타월로 물기 싹 제거해서 정리할게요."

외국인 직원의 오해 (Misunderstanding by Foreign Employees): '물기 잡다'는 물기를 '붙잡다'는 의미가 아니라 '**물기를 없애다, 제거하다**'는 뜻입니다. 완전히 건조해야 함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Foreign employees might misunderstand '물기 잡다' as literally 'catching water,' but it means '**to remove or eliminate moisture**'. It emphasizes the need for complete drying.

청소 업무 이미지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 superrealkorean, All rights reserved

#한국어학습 #직장한국어 #청소업무 #관용어 #외국인근로자 #E9비자 #H2비자 #고용허가제 #TOPIK #KoreanLearning #WorkplaceKorean #CleaningTasks #Idioms #ForeignWorkers #E9Visa #H2Visa #EmploymentPermitSystem #TOPI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