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Level Korean Grammar and Expressions② 맞히다, 맞추다
🎬 맞히다 vs 맞추다: 혼동되는 한국어 동사 마스터하기 🎯🧩
한국어 학습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헷갈리는 동사 '맞히다'와 '맞추다'. 이 두 동사의 정확한 의미와 사용법을 쉽고 명확하게 알려드립니다. 비즈니스 상황에서의 실수를 줄여 한국어 자신감을 높여보세요!
Here's a clear guide to '맞히다' and '맞추다', two verbs that often confuse Korean learners. Learn their exact meanings and how to use them correctly with easy examples and dialogues, especially in business contexts, to boost your Korean confidence and reduce mistakes!
📚 '맞히다' vs '맞추다', 핵심 차이점! ✨
정답이나 목표물에 정확히 적중할 때 쓰는 동사입니다.
Used when hitting the correct answer or target exactly.
🎯 예: 퀴즈 정답을 맞히다
여러 요소를 조정하거나 일치시킬 때 쓰는 동사입니다.
Used when adjusting or matching multiple elements together.
🧩 예: 시계를 맞추다
📝 비즈니스 상황 대화로 배워봐요! 💼
🚨 어라? 박 대리님, 잠깐만요! 이번 주 매출 보고서 합계가 뭔가 안 맞혀진 것 같은데요? 1억 원이나 차이가 나요! 💥
Mike: 🚨 Wait, Assistant Park! I think the total in this week’s sales report doesn’t match. There’s a 100 million won discrepancy! 💥네?! 잠깐만요… 제가 분명히 엑셀 자동 합계로… 😵💫 엇, 진짜네요. 왜 이러지? 제가 다시 한번 맞춰 보겠습니다.
Assistant Park: What?! One sec… I definitely used Excel’s auto-sum… 😵💫 Oh, you’re right! What’s going on? I’ll adjust it again.🤨 박 대리님, "합계가 안 맞혀진 것 같다" 말고 "합계가 안 맞는다" 또는 "안 맞춰졌다"라고 하는 게 찰떡! 👍
Mike: 🤨 Instead of saying “합계가 안 맞혀진 것 같다,” say “합계가 안 맞는다” or “안 맞춰졌다” — that fits better! 👍“맞히다” is for hitting something specific, like “정답을 맞히다 (hit the correct answer)”.
But when putting many numbers together to match a total, use “맞추다” — like putting puzzle pieces together! 🧩
🤯 아하! "정답 맞히고, 합계 맞추고!" 이렇게 외우면 되겠네요!
Assistant Park: 🤯 Aha! “맞히다 the answer, 맞추다 the total!” That’s how I’ll remember it!제가 얼른 매출 보고서 합계를 다시 꼼꼼하게 맞춰 놓겠습니다! 🚀
I’ll go fix the sales report total right away! 🚀😄 Exactly! 역시 박 대리님, 한번 알려드리면 바로 캐치하시네요! 😉👍
Mike: 😄 Exactly! As expected, you catch on right away once I explain it! 😉👍🎧 오디오 듣기
아래 오디오 플레이어를 통해 대화 내용을 직접 들어보세요!
📝 문법 노트 ✨
'맞히다' vs '맞추다' 사용법 요약
- 맞히다: 주로 '정답', '문제', '퀴즈', '과녁' 등과 함께 사용하여 무언가에 '정확히 들어맞거나 적중하는' 의미로 쓰입니다. (예: 답을 맞히다, 화살을 과녁에 맞히다)
- 맞추다: 여러 개를 '비교하여 같게 하거나', '조화롭게 어울리게 하거나', '기준에 맞게 조절하는' 의미로 폭넓게 쓰입니다. (예: 옷 색깔을 맞추다, 시계를 맞추다, 입을 맞추다, 합계를 맞추다)
💡 특히 숫자나 계산 결과가 일치하는지 확인할 때는 '맞추다'를 사용해야 합니다.
🔑 핵심 어휘/표현 살펴보기 ✨
Sales report
Total amount, Sum
To have a difference, To have a discrepancy
Carefully, Meticulously
To catch on, To grasp quickly (loanword from English 'catch')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