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광고(Radio Ads) + Korean listening : " 테러는 막을 수 있습니다." ( terrorism and 'social indifference)
한국어 공익광고로 배우는 한국어
Learning Korean with a Public Service Announcement (PSA)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무조정실 대테러센터의 공익광고를 통해 '테러'와 '사회적 무관심'에 대한 심각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한국어를 배워볼게요. 이 영상은 '외면과 무관심이 만든 테러'라는 강력한 주제로, 우리 사회의 **책임감**과 **협력**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영상을 통해 긴급 상황에서 사용하는 격식 있는 한국어 표현을 익힐 수 있습니다. 먼저 영상을 보시죠.
Hello! Today, let's learn Korean that conveys a serious message about 'terrorism' and 'social indifference' through a Public Service Announcement (PSA) from the National Counter-Terrorism Center. This video discusses **responsibility** and **cooperation** in our society with the powerful theme of 'Terror created by turning away and indifference.' Through the video, you can learn formal Korean expressions used in emergency situations. Let's watch the video first.
선행 학습: 꼭 알아야 할 한국어
Pre-learning: Essential Korean
본격적인 내용에 앞서, 영상에 나오는 주요 어휘와 문법 표현을 미리 배워두면 훨씬 더 재미있고 유익하게 학습할 수 있어요!
Before we dive into the main content, you can learn more effectively and have more fun by pre-learning the key vocabulary and grammar expressions from the video!
테러 (Terror)
발음: [tereo]
품사: 명사
의미: 폭력이나 위협을 통해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고 정치적 또는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려는 행위. 공익광고에서는 심각한 사회 문제로 다루어집니다.
예시:
1. 테러는 절대 용납될 수 없는 범죄입니다. (Terror is an absolutely unforgivable crime.)
2. 국민의 작은 관심이 테러를 막을 수 있습니다. (The small interest of the citizens can prevent terror.)
무관심 (無關心)
발음: [mugwansim]
품사: 명사
의미: 어떤 대상에 대하여 마음을 쓰지 않거나 흥미가 없는 상태. 영상에서는 '테러를 만드는 원인' 중 하나로 제시됩니다. (Lack of interest or concern.)
예시:
1. 우리의 무관심 때문에 문제가 더 커졌습니다. (The problem grew bigger because of our indifference.)
2. 주변 사람들에게 무관심해서는 안 됩니다. (You should not be indifferent to the people around you.)
외면 (外面)
발음: [oemyeon]
품사: 명사, 동사 (-하다)
의미: ① 모르는 체하고 돌아서 버림. 또는 얼굴을 돌림. ② 어떤 일이나 진실을 인정하지 않고 무시함. (① Turning away as if not knowing. ② Ignoring or not acknowledging a truth/fact.)
예시:
1. 어려운 사람들을 외면하지 말아야 합니다. (We must not turn away from those in need.)
2. 그는 자신의 실수에 대한 책임을 외면했습니다. (He ignored the responsibility for his mistake.)
-(으)ㄹ 수 있다
발음: [-(eu)l su itda]
의미: 동사나 형용사 뒤에 붙어, '능력이나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영상의 주제처럼 '우리가 막을 수 있습니다'와 같이 **강한 가능성**을 표현할 때 유용합니다. ('can' or 'to be able to')
의미 (English): This is attached to a verb or adjective to indicate that there is an 'ability or possibility.' It is useful for expressing **strong possibility**, such as in the video's theme, 'We can stop it.'
예시:
1. 당신의 작은 관심이 테러를 막을 수 있습니다. (Your small interest can prevent terror.)
2. 저는 이 어려운 한국어 문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I can understand this difficult Korean grammar.)
-다 (declarative ending)
발음: [-da]
의미: 동사, 형용사, 서술격 조사 '-이다'의 어간에 붙어 평서형 문장을 만듭니다. 사실을 간결하게 진술하거나 문학적인 표현에 사용됩니다. 공익광고의 **강력한 메시지** 전달에 효과적입니다.
의미 (English): This ending is attached to the stem of a verb, adjective, or the copula '-이다' to form a declarative sentence. It is used to state a fact concisely or in literary expressions. It is effective for delivering the **strong message** of a PSA.
예시:
1. 외면과 무관심이 만든다. (Indifference and turning away create it.)
2. 신고하는 것이 시민의 의무다. (Reporting is a citizen's duty.)
-므로 (since, because of - formal)
발음: [-meuro]
의미: 앞선 상황이나 사실이 뒷문장의 원인이나 근거가 됨을 나타냅니다. '-기 때문에'보다 격식 있고 **공적인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This indicates that the preceding situation or fact is the reason or basis for the following clause. It is a more formal expression than '-기 때문에'.)
의미 (English): This indicates that the preceding situation or fact is the reason or basis for the following clause. It is a more formal expression than '-기 때문에' and is often used in **public or official situations.**
예시:
1. 안전이 최우선이므로 모두 주의해야 합니다. (Since safety is the top priority, everyone must be careful.)
2. 규율이 엄격하므로 모두 규칙을 지켜야 합니다. (Since the rules are strict, everyone must follow them.)
공익광고 대화 속 숨은 한국어
Hidden Korean in PSA Dialogue
영상은 '정말 피할 수 없었을까요?' [jeongmal pihal su eopseosseulkkayo?] 라는 질문을 던지며 시작합니다. 이는 사건 발생 후 '만약에'라는 후회와 함께 주변의 **무관심**이 큰 원인이었음을 지적합니다. 공익광고에서 사용하는 문체는 일반적인 대화보다 훨씬 **격식 있고 명확**하며, **책임감**을 강조하는 어휘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공식적인 언어를 이해하는 것은 한국 사회의 중요한 사안을 접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The video begins by asking, 'Could it really not have been avoided?' This points out that after an incident, the thought of 'what if' arises, and that the surrounding **indifference** was a major cause. The writing style used in the PSA is much more **formal and clear** than in general conversation, and it uses vocabulary that emphasizes **responsibility.** Understanding this official language is essential for grasping important social issues in Korea.
박민수 대리님, 이 공익광고는 정말 심각해요. '무관심'이 테러를 만든다는 메시지가 무겁네요. 위험한 상황을 **'신고'**할 때 어떤 한국어 표현을 써야 하나요?
Deputy Park Min-su, this PSA is very serious. The message that 'indifference' creates terror is a heavy one. What Korean expressions should I use when **'reporting'** a dangerous situation?
네, 그레이스 씨. 공익광고는 국가적 사안이므로 [imeuro] 격식 있고 명확한 언어를 사용합니다. 신고 시에는 정확하고 간결하게 사실을 전달해야 합니다. 핵심 동사는 **'신고하다'** [sin'gohada] 이며, **'즉시 신고해야 합니다'** 또는 **'수상한 점을 발견했습니다'** 와 같은 표현을 씁니다. 공식적인 언어를 이해하는 것은 한국 사회의 공적 업무를 처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Yes, Grace. Since a PSA is a national matter, it uses formal and clear language. When reporting, you must convey the facts accurately and concisely. The core verb is **'신고하다'** (to report), and we use expressions like **'You must report immediately'** or **'I found something suspicious.'** Understanding official language helps you deal with public affairs in Korean society. 🚀직장 첫날 대화: 마이클과 그레이스의 오피스 대화를 보시면 대화의 핵심을 전달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관련 표현 및 문화 팁 | Related Expressions and Cultural Tips
한국에서는 '방관자 효과'라는 심리 현상에 대한 경계심이 높습니다. '내 일이 아니다'라며 **외면**하는 태도가 큰 문제를 만들 수 있다는 사회적 인식이 있습니다. 영상에서처럼 '당신의 작은 관심'이 세상을 바꿀 수 있음을 기억하세요!
In Korea, there is high vigilance against the psychological phenomenon known as the 'bystander effect.' There is a social awareness that the attitude of **turning away** ('It's not my problem') can create big problems. Remember that 'your small interest' can change the world, just like in the video!
이러한 **사회적 책임**에 대한 더 깊은 이해는 한국 직장 문화의 근간이 되는 협력과 공동체 의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한국 직장생활 첫날! 미나와 마이클의 대화를 통해 동료와의 관계 형성에 필요한 기초 표현을 익혀보세요.
💡 오늘의 팁 | Today's Tip
위험을 알리는 문장에서는 **'-(으)ㄹ 수 있다'** [-(eu)l su itda] 형태와 **'명령형/의무형'** [myeongnyeonghyeong/uimuhyeong] 어미인 **'-야 한다'** [ya handa]를 자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즉시 대피해야 한다." (You must evacuate immediately.) 처럼 명확하고 단호한 표현을 익혀두세요.
In sentences that warn of danger, the form **'-(으)ㄹ 수 있다'** and the **'imperative/obligation'** ending **'-야 한다'** are often used. For example, learn clear and firm expressions like, "You must evacuate immediately." 🚀나를 돋보이게 하는 한국 시 한 편에서 발견할 수 있는 문학적이고 깊이 있는 표현들도 결국 명확한 의사 전달을 목표로 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Recommended Articles
아래 링크를 통해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다른 글들도 함께 만나보세요. 특히 **격식 있는 상황**에서 유용한 표현을 더 깊이 공부할 수 있습니다.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2): 🚀세상 탐험하기 | Extraordinary Attorney Woo (2): Exploring the World
- 🚀한국 직장생활 필수 어휘 | Essential Korean Vocabulary for Workplace Social Life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