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익광고(Radio Ads) + Korean listening : " 공익신탁 " ( Justice Public Trust Ad: 'Warm Wind')

법무부 공익신탁 광고로 배우는 한국어: '따뜻한 바람' | Learning Korean with the Ministry of Justice Public Trust Ad: 'Warm Wind'

법무부 공익신탁 광고로 배우는 한국어
'따뜻한 바람'
Learning Korean with the Ministry of Justice Public Trust Ad: 'Warm Wind'

 

안녕하세요! 오늘은 **법무부**(`beommubu` [bʌmubu])에서 진행한 **공익신탁**(`gong-ik-sintak` [koŋiksintak]) 캠페인 영상을 통해 사회 문제 및 법률 관련 **TOPIK 고급** 표현을 배워볼게요. 이 광고는 **기부** 문화의 투명성과 신뢰를 강조하며, 우리의 **'바람'**(`baram` [param])을 현실로 만드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고급 어휘와 격식 문장을 익히기에 아주 좋습니다. 먼저 영상을 보시죠.

Hello! Today, let's learn **TOPIK Advanced** expressions related to social issues and law through the **Ministry of Justice**'s **Public Trust** campaign video. This ad emphasizes the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of the **donation** culture, guiding us on how to make our **'wishes'** a reality. It's great for mastering advanced vocabulary and formal sentences. Let's watch the video first.

선행 학습: 꼭 알아야 할 한국어
Pre-learning: Essential Korean for Social/Legal Topics

본격적인 내용에 앞서, 영상에 나오는 주요 어휘와 문법 표현을 미리 배워두면 훨씬 더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어요!

Before we dive into the main content, you can learn more effectively and have more fun by pre-learning the key vocabulary and grammar expressions from the video!

공익신탁 (公益信託)

발음: [gong-ik-sintak]

품사: 명사

의미: 특정한 **공익 목적**(`gong-ik mokjeok` [koŋik moktɕʌk]), 예를 들어 학술, 자선, 환경 등을 위해 재산을 기부하고, 이를 **법무부**의 관리·감독 하에 운영하는 제도입니다. 영상의 핵심 주제입니다.

예시:

1. 공익신탁을 통해 원하는 분야에 기부할 수 있습니다. (You can donate to your desired field through the Public Trust.)

2. 공익신탁은 기부 내역이 투명하게 공개됩니다. (The donation details of the Public Trust are disclosed transparently.)

따뜻한 바람

발음: [ttatteutan baram]

품사: 합성어

의미: 직역하면 '따뜻한 바람'이지만, 이 광고에서는 **'세상을 이롭게 하려는 따뜻한 소망이나 희망'** [00:00:00]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고급 한국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은유적 표현입니다.

예시:

1. 그의 작은 행동이 사회에 따뜻한 바람을 불어넣었습니다. (His small action brought a warm wind [hope] to society.)

2. 우리의 따뜻한 바람을 공익신탁이 실행합니다. [00:00:16] (Public Trust executes our warm wish/hope.)

투명하다 (透明)

발음: [tumyeonghada]

품사: 형용사

의미: 속이 훤히 비치듯, **숨김없이 밝고 명확하다**는 의미입니다. 특히 기부나 재정 관리 분야에서 **'투명하게 공개되다'** [00:00:26]와 같이 신뢰의 척도를 나타낼 때 중요하게 쓰입니다.

예시:

1. 정부는 모든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합니다. (The government must disclose all information transparently.)

2. 투명한 운영은 신뢰의 기본입니다. (Transparent operation is the foundation of trust.)

명사 + -대로 (Postposition)

의미: 앞선 명사가 나타내는 **기준, 방법, 내용**과 **같거나 그것에 따라서** 행동함을 나타냅니다. 영상에서는 **'기부자의 바람대로'** [00:00:22] 자산을 운영한다고 설명합니다.

의미 (English): This denotes acting **according to** or **the same as** the **standard, method, or content** indicated by the preceding noun. In the video, it explains that assets are managed **'as per the donor's wish.'**

예시:

1. 저는 선생님이 시키는 대로 숙제를 했습니다. (I did my homework ** as the teacher instructed.**)

2. 계획 대로 일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The work is progressing ** according to the plan.**)

-ㄹ 수 있다 (Verbal Ending)

발음: [l su itda]

의미: 어떤 행동을 할 수 있는 **능력**이나 그렇게 될 **가능성** 또는 **허락**을 나타냅니다. 영상에서는 '더 믿을 수 있습니다' [00:00:28]처럼 신탁 제도의 신뢰도를 강조합니다.

의미 (English): This denotes the **ability** to perform an action, the **possibility** of it happening, or **permission** to do so. In the video, it emphasizes the reliability of the trust system, such as 'you **can trust** it more.'

예시:

1. 이 제도는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Anyone **can use** this system easily.)

2.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You **can judge** more accurately with the help of an expert.)

공익광고 속 사회 한국어
Social & Formal Korean in the Public Service Ad

이 캠페인은 **공익신탁**이라는 다소 생소할 수 있는 법률 용어를 친숙하게 알리려는 목적으로 제작되었습니다. 특히 **'국가 관리로 기부 내역이 투명하게 공개되기에'** [00:00:26]라는 설명은 기부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투명성**(`tumyeongseong` [thumjʌŋsʌŋ]) 문제를 명확히 해소해 줍니다. 이는 **'선진국형 기부문화'** [00:00:30]를 정착시키려는 법무부의 의지를 보여줍니다.

This campaign was created to introduce the somewhat unfamiliar legal term, **Public Trust**, in a friendly manner. The explanation, **'Because donation details are transparently disclosed under state management,'** [00:00:26] clearly addresses the issue of **transparency**, which donors consider most important. This shows the Ministry of Justice's commitment to establishing a **'developed country-style donation culture.'**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또 다른 공익광고로 배우는 한국어: 사회 이슈 학습 | Learning Korean from Another Public Service Ad: Social Issue Study

그레이스 👩‍🏫:

광고에 **'당신은 어떤 바람을 갖고 계세요'** [00:00:14]라는 문장이 인상 깊은데요. '바람'은 명사로 'wish'나 'hope'의 뜻이잖아요. 이런 공적인 광고에서 '바람'을 사용해 감정을 호소하는 이유가 있나요?

The sentence **'What kind of wish do you have?'** [00:00:14] in the ad is impressive. 'Baram' (바람) means 'wish' or 'hope' as a noun. Is there a reason why 'Baram' is used to appeal to emotions in such a public advertisement?

박민수 대리 👨‍⚖️:

네, 매우 전략적인 선택입니다. '기부'는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는 단어인데, **'바람'** [00:00:14]이라는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기부 행위를 개인의 **따뜻한 소망** [00:00:00]과 연결하여 감성적으로 접근합니다. 이는 기부 목적을 '질병 있는 아이들을 보듬기 바라고' [00:00:04]나 '깨끗한 지구를 물려주기 바란다' [00:00:07]와 같이 구체적인 선행으로 표현하게 만듭니다. '공익신탁'은 이 **개인의 선한 바람**을 법적으로 보장하고 실현하는 수단임을 강조하는 것이죠.

Yes, it's a very strategic choice. 'Donation' (기부) can sound stiff, but using the word **'Baram'** connects the act of donation with an individual's **warm wish** [00:00:00], making it an emotional appeal. This allows the purpose of the donation to be expressed as specific good deeds, such as 'wishing to **comfort** children with diseases' [00:00:04] or 'wishing to **hand down** a clean earth.' [00:00:07] It emphasizes that 'Public Trust' is the means to legally guarantee and fulfill this **individual's good wish**.

추가 학습: 🔥 한국어 고급 문법 및 표현: TOPIK 6급을 위한 필수 정리 | Top-Level Korean Grammar and Expressions: Essential Prep for TOPIK Level 6

💡 오늘의 팁 | Today's Tip

**'선진국형 기부문화'** [00:00:30]와 같은 사회적 개념을 한국어로 표현할 때는 **`-형`** (type/style) 접미사와 **`문화`** (culture)라는 단어를 결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TOPIK 쓰기 54번 문제에서 현황을 분석하거나 해결책을 제시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교육**형** 시스템'이나 '수평적 조직**문화**'처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국가 관리로'** [00:00:26]와 같이 주체를 명확히 하여 글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When expressing social concepts in Korean like **'developed country-style donation culture,'** [00:00:30] it is common to combine the suffix **`-hyeong`** (type/style) with the word **`munhwa`** (culture). This is very useful in TOPIK Writing Question 54 when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r presenting solutions. For example, you can use it like, 'a new education **type** system' or 'a horizontal organizational **culture**.' It's also important to clearly state the subject, like **'under state management,'** [00:00:26]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the writing.

심화 학습: ⚖️ TOPIK 쓰기 실력 향상: 논리적 글쓰기 기술 | Improving TOPIK Writing Skills: Logical Writing Techniques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Recommended Articles

아래 링크를 통해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다른 글들도 함께 만나보세요.

#공익광고한국어#공익신탁#기부문화#법무부#LearnKorean#KoreanExpressions#사회한국어#법률한국어#격식표현#한국어공부#TOPIK #PublicServiceAdKorean#PublicTrust#DonationCulture#MinistryOfJustice#AdvancedKorean#KoreanWords#KoreanLanguage#TOPIKPrep#KoreanCulture#StudyKorean #KoreanLesson#KoreanGrammar#KoreanPhrases#KoreanStudy#Hangeul#따뜻한바람#투명성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 superrealkorean, All rights reserved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Remastering(4) : K DRAMA '멜로가 체질' + topik essential

K-Drama 🏋️힘쎈 여자 도봉순으로 배우는 한국어(1) '~ 게 되다.' Learn Korean with Strong Woman Do Bong Soon

당신이 곧 만나게 될 Korean movie (명작, masterpiece) "어쩔수가 없다" :"No Other Choice" by Park Chan-w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