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 graph_한국인의 삶(28)Changes in Teacher Numbers_교직원 수의 변화 (유초중등)

한국인의 삶 (28) 교직원 수 변화 편 (국영문) | Super Real Korean

한국인의 삶 (28) 교직원 수 변화 편 The Lives of Koreans (28) Changes in Teacher Numbers

안녕하세요! **2025년 교육기본통계**를 통해 유·초·중등학교의 교원 수와 연령 변화를 분석하고, 한국 사회의 교육 현주소를 반영하는 관련 한국어 어휘와 문법을 심층적으로 배워보겠습니다. (Hello! Based on the **2025 Education Basic Statistics**, we will analyze **changes in teacher numbers and age** in kindergarte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learn related Korean vocabulary and grammar reflecting the current state of Korean education.)

✅ 전체 교원 수, 감소하는 추세

「교육기본통계」 에 따르면 유·초·중등학교 전체 교원 수는 506,100명으로, 전년 대비 3,142명(0.6%↓) 감소했습니다. 이는 **학령인구 감소**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초등학교와 유치원에서 감소 폭이 컸으며, 특히 초등학교는 3,527명(1.8%↓) 줄었습니다. (The "Education Basic Statistics" show a total of 506,100 teachers, a 3,142 (0.6%↓) de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clearly reflecting the **declining school-age population**. Elementary schools saw the largest decrease (3,527 people, 1.8%↓), followed by kindergartens.)

🇰🇷 공익광고를 통해 한국 사회의 주요 문제 배우기 (인구 변화/교육 문제)

반면, 중학교는 116,046명으로 전년 대비 1,266명(1.1%↑) 증가하는 특이 현상을 보였습니다. 이는 학년 인구 변동이나 정책 영향 때문일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는 1,103명(0.9%↓) 감소하며 전반적인 감소 추세에 동참했습니다. 이러한 수치 변화는 교사 임용 규모와 교육 재정의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Conversely, middle schools showed a unique increase of 1,266 teachers (1.1%↑), reaching 116,046, possibly due to grade population changes or policy effects. High schools also decreased by 1,103 people (0.9%↓). These figures are key for teacher appointment scale and education budget distribution.)

👵 교원의 평균 연령은 41.6세로 미세하게 증가

유·초·중·고 교원평균 연령은 41.6세로, 전년 대비 0.1세 증가했습니다. 이는 젊은 교사 임용 감소와 정년 연장으로 인한 **고령화 추세**를 시사합니다. 유치원 교원평균 연령은 36.7세로 가장 젊지만, 전년 대비 0.5세 증가하여 가장 큰 폭의 증가를 보였습니다. 초등학교는 42.0세로 0.2세 증가했습니다. (The average age of teachers increased by 0.1 years to 41.6 years, suggesting an **aging trend** due to fewer young hires and longer tenure. Kindergarten teachers (36.7 years) are the youngest but saw the largest increase of 0.5 years. Elementary schools also increased by 0.2 years to 42.0 years.)

반면, 중학교 교원평균 연령은 42.3세로 전년 대비 0.2세 감소했는데, 이는 중학교 교원 수 증가와 함께 젊은 교사의 유입을 간접적으로 보여줍니다. 고등학교는 42.5세로 전년과 동일했습니다. **평균 연령 증가**는 교육의 질과 혁신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세대 간 균형 있는 전수를 위한 정책적 고민이 필요합니다. (Conversely, middle school teachers' average age decreased by 0.2 years to 42.3 years, suggesting an influx of younger teachers, consistent with the **increase in teacher numbers**. High schools remained at 42.5 years. **Increased average age** can affect quality and innovation, necessitating policy for a balanced transfer of know-how.)

💼 곧 다가올 기회: 한국에서의 교사/직업 커리어 전망 (임용 규모 관련)

🧑‍🏫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개선되는 추세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교육의 질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is a key indicator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education.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유치원 8.7명, 초등학교 12.1명, 중학교 11.8명, 고등학교 10.1명 으로 나타났습니다. 유치원과 초등학교는 전년 대비 각각 0.3명, 0.6명 감소하여 교육 환경 **개선 추세**를 보입니다. 이는 학령인구 감소의 결과이지만, 개별 학생에게 더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was: Kindergarten 8.7, Elementary 12.1, Middle 11.8, High 10.1.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decreased by 0.3 and 0.6, respectively, showing an **improving trend**. This is due to the declining school-age population but lays the groundwork for providing higher-quality education to individual students.)

다만, 중학교는 전년 대비 0.2명 증가하여 유일하게 교원 부담이 미세하게 증가했습니다. 고등학교는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교육 당국은 학생 수 감소가 교육의 질 증가로 이어지도록 교원 수의 적절한 배치와 인력 운용 계획을 지속적으로 수립해야 할 것입니다. (However, middle schools were the only ones to increase by 0.2 students, showing a slight increase in teacher workload. High schools maintained the previous year's level. Education authorities must continually plan appropriate teacher deployment to ensure the student decrease leads to education quality increase.)

📈 한국어 실력, 극적으로 향상시키는 학습법 (어휘/문법 심화 학습)

오늘의 필수 어휘 3가지 Today's 3 Essential Vocabulary Words

1. 교원 수 (Gyo-won Su)

의미: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사의 총 인원수. Meaning: The total number of teachers who teach students in schools. (Teacher Count) 로마자 발음: **Gyo-won Su**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전체 교원 수가 줄어들었습니다. The total teacher count decreased due to the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2. 감소/증가 (Gamso/Jeungga)

의미: **감소(減少)**는 수나 양이 줄어듦. **증가(增加)**는 수나 양이 늘어남. Meaning: **Gamso** means a reduction in number or amount (Decrease). **Jeungga** means an increase in number or amount (Increase). 로마자 발음: **Gamso / Jeung-ga**

초등학교 교원 수감소 폭이 가장 컸습니다. The largest decrease was in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3. 평균 연령 (Pyeong-gyun Yeon-ryeong)

의미: 집단의 구성원 나이를 모두 합한 후 인원수로 나눈 평균 나이. Meaning: The average age, calculated by summing the ages of a group's members and dividing by the number of members. (Average Age) 로마자 발음: **Pyeong-gyun Yeon-ryeong**

교직원의 평균 연령 증가는 교육계의 고령화 추세를 보여줍니다. The increase in the average age of teachers shows the aging trend in the education sector.

오늘의 유용한 문법 3가지 Today's 3 Useful Grammar Points

1. ~에 대비 (~e daebi)

의미: 앞의 대상이나 시점과 뒤의 상황을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와/과) 비교하여'와 비슷합니다. (Compared to / In comparison with) Meaning: Used when comparing the current situation with a preceding object or time point. 로마자 발음: **~e daebi**

전년 에 대비하여 초등학교 교원 수가 크게 줄었습니다.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count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2. ~에 따르면 (~e ttareumyeon)

의미: 출처나 기준을 밝힐 때 사용하며, '그 정보의 내용을 인용한다'는 뜻입니다. (According to) Meaning: Used to cite a source or standard, indicating that the content of that information is being quoted. 로마자 발음: **~e ttareumyeon**

교육부 통계 에 따르면 중학교 교원 수증가했습니다.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tatistics, the number of middle school teachers increased.

3. ~(으)ㄴ/는 추세이다 (~(eu)n/neun chuse-ida)

의미: 어떤 현상이나 상황이 특정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향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It is a trend of...) Meaning: Used to indicate a tendency for a phenomenon or situation to move in a particular direction. 로마자 발음: **~(eu)n/neun chuse-ida**

학생 수 감소는 교육 환경 개선으로 이어지는 추세입니다. The decrease in student numbers is a trend leading to an improvement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연습 문제 (Practice Questions)

1. 아래 빈칸에 알맞은 어휘를 넣어 문장을 완성하세요.

저출산으로 인해 유치원의 (교원 수)가 크게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젊은 교사의 유입으로 중학교 교직원의 (평균 연령)이 미세하게 (감소)했습니다.

2. 아래 문장을 완성하기 위해 알맞은 문법 표현을 넣어보세요.

OECD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학생 1인당 (교원 수)는 높은 편입니다.

지난 학년도 (에 대비)하여 초등학교 교사의 이직률이 약간 (증가)했습니다.

© 2025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popular & loved

Topik writing type no.53! How to prepare?

Indepth Korea_K-food, 이제 일상 간식까지 인기! (K-Food Tourist Snack Trend)

🛣️Mastering Korean / 한국어 장소 부사 : 여기, 저기, 거기

📖Top-Level Korean Grammar and Expressions① 존댓말 압존법

TOPIK60_DAY29 : 유추하다, 짐작하다, ~(으)면

Confused Korean Grammar: ~거든요, ~(으)면, ~ㄹ/을지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