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coming TOPIK Traps 30-Day Project(21)_'수치와 표현의 불일치' _ Overcoming the 'Number and Expression' Discrepancy Trap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TOPIK Trap-Breaking 30-Day Project
21일차: 쓰기: '수치와 표현' 불일치 함정 타파
Overcoming the 'Number and Expression' Discrepancy Trap
핵심 어휘 (Key Vocabulary)
급증하다 (To increase sharply / To surge)
의미: 갑작스럽게 크게 늘어나다.
활용: "최근 온라인 쇼핑 이용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불과하다 (Only / No more than)
의미: 많지 않거나 중요하지 않은 수량이나 정도를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겨우', '단지'와 유사한 의미입니다.
활용: "총인구의 절반에 불과한 수치입니다."
핵심 문법 (Key Grammar)
-(으)로 인해 (-euro inhae: Due to / Because of)
의미: 어떤 원인이나 이유 때문에 뒤의 결과가 발생함을 나타냅니다. 보통 부정적인 상황에 사용됩니다.
활용: "1인 가구 증가로 인해 주거 형태가 다양해졌습니다."
-에 달하다 (-e dalhada: To reach / To amount to)
의미: 어떤 수치나 정도에 이르렀음을 나타냅니다.
활용: "이번 조사에서 아파트 거주 비율이 60%에 달했습니다."
오늘의 목표는 TOPIK 쓰기 53번 그래프 문제에서 제시된 수치와 표현을 정확하게 연결하여 함정이 있는 선택지를 피하는 연습입니다. 그래프 문제는 단순히 수치를 옮겨 적는 것이 아니라, 수치의 변화를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급증', '반 이상', '절반에 불과하다' 등)을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oday's goal is to practice accurately connecting the numbers and expressions provided in TOPIK Writing question 53 to avoid trap options. For graph questions, it's not just about transcribing numbers, but also about correctly using various expressions that represent changes in numbers, such as '급증' (sharp increase), '반 이상' (more than half), and '절반에 불과하다' (only half).
세트 1. 다음 자료를 보고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1번~3번)
<자료: 2010년~2020년 서울시 1인 가구 비율 변화>
2010년: 20%
2015년: 30%
2020년: 40%
정답: ③ 2020년에는 1인 가구 비율이 절반에 달했다.
해설 및 분석: 2020년 1인 가구 비율은 40%입니다. '절반'은 50%를 의미하므로, 제시된 수치와 '절반에 달했다'는 표현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5번 선택지는 2010년(20%)에서 2020년(40%)으로 '2배 증가'했으므로 올바른 표현입니다. 그래프 문제의 함정은 정확한 수치나 변화량을 잘못된 표현으로 서술하는 것입니다.
Solution & Analysis: The single-person household rate in 2020 is 40%. Since 'half' means 50%, the number provided does not match the expression 'reached half'. Option 5 is correct because the rate 'doubled' from 20% in 2010 to 40% in 2020. The trap in graph questions is to describe accurate numbers or changes with incorrect expressions.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절반'이라는 단어가 '40%'와 유사해 보이게 만드는 시각적 착시를 유도합니다. 정확히 '50%'일 때만 '절반'이라는 표현을 쓸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게 만드는 함정입니다. '절반에 달했다'와 같이 '근접했다'는 의미로 오인하게 만드는 부사어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The trap induces a visual illusion where the word 'half' seems similar to '40%'. It makes you overlook the fact that the expression 'half' can only be used when the number is exactly '50%'. You must also pay attention to adverbs that make you mistake the meaning for 'approached half,' such as '절반에 달했다' (reached half).
세트 2. 다음 자료를 보고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자료: 2023년 성인 남녀의 스마트폰 이용 시간>
남성: 4시간 10분
여성: 3시간 50분
<스마트폰 이용 목적>
SNS: 50%
게임: 30%
뉴스: 10%
기타: 10%
정답: ② 남녀 모두 SNS 이용 시간이 가장 길다.
해설 및 분석: 스마트폰 이용 목적 그래프에서 SNS가 5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수치는 남녀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남녀 모두'라는 표현이 적절합니다. 1번은 여성의 이용 시간이 더 짧으므로 틀렸고, 3번은 뉴스가 게임보다 비율이 낮아 틀렸습니다. 4번은 남성이 여성보다 20분 길어서 틀렸습니다. 5번은 30%는 3분의 1(약 33.3%)이 아니므로 틀렸습니다.
Solution & Analysis: In the smartphone usage purpose graph, SNS accounts for the highest percentage at 50%. Since this number is for both men and women, the expression 'both men and women' is appropriate. Option 1 is wrong because women's usage time is shorter. Option 3 is wrong because the percentage for news is lower than for games. Option 4 is wrong because men's usage time is 20 minutes longer than women's. Option 5 is wrong because 30% is not a third (approx. 33.3%).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수치와 표현의 미세한 차이를 이용한 함정입니다. 4번의 '20분'이라는 수치가 실제 차이와 동일하지만, '짧다'는 반대 의미의 표현을 사용하여 오답을 유도합니다. 또한 5번처럼 '30%와 3분의 1'처럼 비슷해 보이는 비율로 혼동을 주는 함정도 흔합니다.
This is a trap that uses a subtle difference between numbers and expressions. In option 4, the number '20 minutes' is the same as the actual difference, but it uses an expression with the opposite meaning ('짧다', shorter) to lead to a wrong answer. It is also common for traps to cause confusion with similar-looking percentages like '30% and one-third', as in option 5.
세트 3. 다음 자료를 보고 내용과 다른 것을 고르십시오.
<자료: 2020년 한국인의 주거 형태>
아파트: 60%
단독주택: 25%
빌라/다세대주택: 15%
정답: ④ 단독주택 거주 비율은 아파트의 3분의 1 수준이다.
해설 및 분석: 단독주택 거주 비율은 25%입니다. 아파트 비율은 60%입니다. 아파트의 3분의 1은 60% / 3 = 20%입니다. 따라서 25%는 20%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습니다. '수준이다'라는 표현이 비슷하게 보이게 하지만, 정확한 수치 관계를 따져야 합니다. 1번(60%는 절반 이상), 2번(25% > 15%), 3번(60% > 25%+15%=40%)은 모두 올바른 내용입니다.
Solution & Analysis: The percentage of people living in single-family homes is 25%. The apartment percentage is 60%. One-third of the apartment percentage is 60% / 3 = 20%. Therefore, 25% does not exactly match 20%. The expression 'at the level of' makes it seem similar, but you must check the exact numerical relationship. Options 1 (60% is more than half), 2 (25% > 15%), and 3 (60% > 25%+15%=40%) are all correct.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수준이다'라는 유사한 표현으로 정답을 헷갈리게 만듭니다. 25%와 20%는 '비슷한' 수치로 보일 수 있지만, '정확한 계산'을 통해 함정을 피해야 합니다. '약', '거의'와 같은 부사어가 없다면 정확한 수치로 판단해야 합니다. 이처럼 정확한 수치 대략적인 표현 사이의 불일치가 함정입니다.
This trap confuses the correct answer with a similar-looking expression like 'at the level of.' 25% and 20% may seem like 'similar' numbers, but you must avoid the trap by 'calculating precisely.' Unless adverbs like 'about' or 'almost' are present, you must judge based on the exact numbers. In this way, the discrepancy between precise numbers and approximate expressions is a tr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