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coming TOPIK Traps 30-Day Project(20)_대화의 흐름 함정! _Overcoming the 'Conversation Flow' Sabotage Trap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TOPIK Trap-Breaking 30-Day Project
20일차: 듣기: '대화의 흐름' 방해 부비트랩 해결
Overcoming the 'Conversation Flow' Sabotage Trap
핵심 어휘 (Key Vocabulary)
군더더기 없이 (Without superfluous details / To the point)
의미: 불필요한 것이나 쓸데없는 것이 없이 깔끔하고 간결하게.
활용: "이번 발표 자료는 군더더기 없이 핵심만 담아서 좋네요."
한숨 돌리다 (To take a breather / To relax after a difficult task)
의미: 힘들거나 바쁜 일을 끝내고 잠시 쉬거나 여유를 갖다.
활용: "큰 프로젝트가 끝나서 이제야 좀 한숨 돌릴 수 있겠어요."
핵심 문법 (Key Grammar)
-는 것 같다 (-neun geot gatda: It seems that...)
의미: 어떤 상황이나 상태에 대해 추측하거나 불확실한 의견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활용: "오늘 발표회는 성공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고 나서 (-go naseo: After doing something)
의미: 앞선 행동이 끝난 후에 뒤의 행동이 일어남을 나타냅니다. 앞뒤 문장이 시간적 순서로 연결됩니다.
활용: "보고서 다 마무리하고 나서 퇴근할게요."
오늘 학습할 내용은 TOPIK 듣기에서 대화 중간에 등장하는 함정 선택지에 휩쓸리지 않고, 대화의 전체 흐름을 따라가는 연습입니다. 한국어 능력 시험 듣기 영역에서 고득점을 받기 위해서는 단순히 개별 문장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 화자들의 의도와 대화의 전체 맥락을 파악하는 능력이 필수적입니다.
Today's lesson focuses on practicing how to follow the overall flow of a conversation in TOPIK listening without being swayed by trap options that appear in the middle of the dialogue. To get a high score in the listening section of the Korean proficiency test,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not just the content of individual sentences, but also the speakers' intentions and the overall context of the conversation.
세트 1. 다음 대화를 잘 듣고 물음에 답하십시오. (1번~5번)
(남) 오늘 프로젝트 발표 자료 다 됐어요? 저번에 말씀드린 대로 간결하고 핵심만 넣었죠?
(여) 네, 부장님. 말씀하신 부분들 반영해서 군더더기 없이 정리했습니다.
1. 이 대화의 주제로 가장 알맞은 것은 무엇입니까?
정답: ① 발표 자료 완성 여부 확인
해설 및 분석: 남자는 "발표 자료 다 됐어요?"라고 직접적으로 물었고, 여자는 "네, 부장님"이라고 답하며 자료가 완성되었음을 알리고 있습니다. '간결하고 핵심만', '군더더기 없이'는 자료의 내용적 특성에 대한 언급일 뿐, 대화의 궁극적인 목적은 자료의 완성 여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함정은 2번 선택지처럼 자료의 특성을 주제로 오인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이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대화의 시작과 끝을 아우르는 핵심 질문에 집중해야 합니다.
Solution & Analysis: The man directly asks, "Is the presentation material ready?", and the woman replies, "Yes, sir," indicating that the material is complete. 'Concise and to the point' and 'without superfluous details' are only mentions of the material's characteristics, while the ultimate purpose of the conversation is to confirm whether the material is ready. The trap is to make you mistake the material's characteristics for the main topic, as in option 2. To avoid this trap, you must focus on the core question that frames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conversation.
함정 포인트 (Trap Point): 대화 중간에 등장하는 '간결하게', '군더더기 없이'와 같은 단어에 현혹되어, 대화의 본질적인 목적(자료 확인)을 놓치고 부수적인 내용(자료의 특성)을 주제로 착각하게 만드는 함정입니다.
This trap lures you with words like 'concisely' and 'without superfluous details' that appear in the middle of the conversation, making you mistake the ancillary content (the material's characteristics) for the main topic and overlook the conversation's essential purpose (confirming the material).
세트 2. 다음 대화를 잘 듣고 물음에 답하십시오.
(여) 김 대리님, 어제 보고서는 다 마무리하셨어요? 아직 퇴근 안 하셨네요.
(남) 네. 끝내고 퇴근하려고요. 그래도 어제보다는 일찍 끝날 것 같아요.
(여) 너무 늦지 않게 들어가세요. 걱정돼서 그래요.
2. 이 대화에서 남자가 하는 행동은 무엇입니까?
정답: ① 야근을 하고 있다.
해설 및 분석: 여자가 "아직 퇴근 안 하셨네요"라고 물었고, 남자가 "끝내고 퇴근하려고요"라고 답했습니다. 이 두 문장을 통해 남자가 정시 퇴근 시간이 지난 후에도 일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야근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대화의 일부분만을 보고 판단하거나, 화자의 의도를 잘못 해석한 함정입니다.
Solution & Analysis: The woman asks, "You haven't left work yet," and the man replies, "I'm going to finish it and then leave." Through these two sentences, we can understand that the man is still working after the regular quitting time. In other words, he's working overtime. The other options are traps that either misinterpret the speaker's intention or judge based only on a part of the conversation.
함정 포인트 (Trap Point): '그래도 어제보다는 일찍'이라는 표현은 야근을 하는 상황을 전제로 하는 말입니다. 이 표현을 놓치면 남자가 야근을 하지 않는다고 오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걱정돼서 그래요'라는 여자의 의도에 초점을 맞춰 남자의 행동을 혼동하게 만드는 함정입니다.
The expression 'sooner than yesterday, still' implies a situation where overtime is happening. Missing this expression can lead to the misunderstanding that the man is not working overtime. This trap also confuses the man's action by focusing on the woman's intention, 'I'm just worried.'
세트 3. 다음 대화를 잘 듣고 물음에 답하십시오.
(남) 이 과장님, 이번 신제품 발표회는 정말 성공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여) 그렇죠? 시장 반응도 아주 좋다고 들었어요. 이제 좀 한숨 돌리겠어요.
3. 대화 후 두 사람이 할 것으로 예상되는 행동은 무엇입니까?
정답: ③ 잠시 휴식을 취한다.
해설 및 분석: 여자는 "이제 좀 한숨 돌리겠어요"라고 말했습니다. '한숨 돌리다'는 힘든 일을 끝내고 잠시 쉬거나 여유를 갖는다는 의미의 관용 표현입니다. 즉, 발표회라는 큰 일이 끝났으니 이제 좀 쉬겠다는 의도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시장 반응'이라는 단어는 나왔지만, '분석'이라는 행동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Solution & Analysis: The woman says, "I can finally take a breather now." '한숨 돌리다' (take a breather) is an idiom meaning to rest or have a moment of ease after a difficult task. She is expressing her intention to take a break after the big event of the presentation is over. The word 'market reaction' was mentioned, but the action of 'analyzing' it was not.
함정 포인트 (Trap Point): 대화의 핵심 관용구('한숨 돌리다')를 모르면 문맥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시장 반응'이라는 단어에 초점을 맞춰 ⑤번을 고르기 쉽습니다. 하지만 '시장 반응이 좋다'는 상황에 대한 설명일 뿐, 이어진 행동은 '휴식'입니다. 단어 하나에 집중하지 말고 전체 문장의 의미를 파악해야 합니다.
If you don't know the key idiom ('한숨 돌리다'), it's difficult to grasp the context. It's also easy to choose option ⑤ by focusing on the word 'market reaction.' However, 'the market reaction is good' is only a description of the situation, and the subsequent action is 'resting.' You must grasp the meaning of the entire sentence, not just focus on one w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