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stering Topik Errors 유의어(2) - Synonyms Part 2: Polysemy _ 말리다 Vs 건조시키다 / 멈추게 하다

한국어 유의어 정복하기 2편: 다의어 & 심화 학습 (Mastering Korean Synonyms Part 2: Polysemy & Advanced Tips)

한국어 유의어 정복하기 2편: 다의어 & 심화 학습
Mastering Korean Synonyms Part 2: Polysemy & Advanced Tips

한국어 유의어 정복하기 1편에 이어서, 이번에는 더 깊이 있는 **유의어**의 세계를 탐험해볼 거예요. 한 단어가 여러 의미를 가질 때(**다의어**), 그 **유의어** 역시 문맥에 따라 달라지는 흥미로운 현상을 배워 봅시다.

다의어와 유의어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olysemy and Synonyms

한국어는 하나의 단어가 다양한 의미를 가질 때가 많아요. 예를 들어 '쓰다'라는 단어는 '모자를 쓰다', '글을 쓰다', '맛이 쓰다' 등 여러 뜻을 가지고 있죠. 이처럼 단어의 의미가 여러 가지일 때, 각각의 의미에 맞는 **유의어**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의어 정복하기 이미지

맥락에 따른 유의어 심화 학습
Advanced Synonym Learning by Context

다음은 외국인 학습자들이 특히 어려워하는 다의어의 유의어 쌍과 그 예시입니다.

1. 미루다 (mi-ru-da) vs. 연기하다 (yeon-gi-ha-da) & 보류하다 (bo-ryu-ha-da)

문제점: '미루다'의 유의어가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Problem: The synonym of '미루다' chang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해결: '미루다'가 '시간을 늦추다'는 의미일 때는 '연기하다', '결정을 뒤로 하다'는 의미일 때는 '보류하다'를 사용합니다. Solution: When '미루다' means 'to postpone,' use '연기하다'. When it means 'to delay a decision,' use '보류하다'.

여행을 다음 달로 미뤘다. → 여행을 다음 달로 연기했다. I postponed the trip to next month. → I delayed the trip to next month.

그 제안에 대한 결정을 미뤘다. → 그 제안에 대한 결정을 보류했다. I put off the decision on the proposal. → I reserved the decision on the proposal.

🔗 한국어 시간 표현 배우기: '미루다'와 '연기하다'의 차이

2. 빠르다 (ppa-reu-da) vs. 신속하다 (sin-sok-ha-da) & 재빠르다 (jae-ppa-reu-da)

문제점: '빠르다'와 '신속하다', '재빠르다'의 뉘앙스 차이를 혼동하기 쉽습니다. Problem: It is easy to confuse the nuance differences between '빠르다', '신속하다', and '재빠르다'.

해결: '빠르다'는 일반적인 속도를 의미하지만, '신속하다'는 '매우 빠른' 공식적인 상황에, '재빠르다'는 '민첩하고 순발력 있는' 동작에 사용합니다. Solution: '빠르다' means general speed, '신속하다' is for 'very quick' formal situations, and '재빠르다' is for 'agile and nimble' movements.

기차가 매우 빠르게 달린다. The train runs very fast.

사고 현장에 신속하게 출동했다. They were quickly dispatched to the accident scene.

고양이는 아주 재빠르게 도망갔다. The cat ran away very nimbly.

🔗 한국어 동사 심화: 움직임을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들

3. 말리다 (mal-li-da) vs. 멈추게 하다 (meom-chu-ge ha-da) & 말다 (mal-da)

문제점: '말리다'는 두 가지 다른 의미를 가집니다. Problem: '말리다' has two different meanings.

해결: '말리다'가 '못하게 하다'는 의미일 때는 '멈추게 하다'와 비슷하고, '수분을 없애다'는 의미일 때는 '건조시키다'와 비슷합니다. Solution: When '말리다' means 'to stop someone from doing something,' it's similar to '멈추게 하다'. When it means 'to dry,' it's similar to '건조시키다'.

싸우는 사람들을 말렸다. → 싸우는 사람들을 멈추게 했다. I stopped the people fighting. → I made the people fighting stop.

젖은 옷을 햇볕에 말렸다. → 젖은 옷을 햇볕에 건조시켰다. I dried the wet clothes in the sun. → I made the wet clothes dry in the sun.

🔗 한국어 동사 활용 팁: '말리다'와 '말다'의 차이

오늘의 유의어 연습 문제
Today's Synonym Practice Questions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 문제를 풀어보세요.

1. 다음 문장의 밑줄 친 부분과 가장 비슷한 의미의 단어를 고르세요.

‘이 서류를 내일까지 미룰 수 있을까요?’

(A) 연기할 (B) 보류할

2.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단어의 유의어로 알맞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그는 재빠르게 공을 잡았다.’

(A) 신속하게 (B) 민첩하게

3. 다음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를 고르세요.

‘싸움이 커지지 않도록 친구가 ________.’

(A) 말렸다 (B) 건조시켰다

유의어를 공부할 때는 단순히 단어 하나만 외우기보다, 문맥 속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함께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꾸준히 연습하면 어휘력이 훨씬 풍부해질 거예요!

© 2025 Super Real Korean. All Rights Reserved.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