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coming TOPIK Traps 30-Day Project(22)_주제/중심 생각의 함정_Finding Hidden Traps in 'Main Idea'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Day 22) | TOPIK Trap-Breaking 30-Day Project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TOPIK Trap-Breaking 30-Day Project
A calendar illustration highlighting Day 22, focusing on reading skills and identifying the main idea in the TOPIK test.

22일차: 읽기: '주제/중심 생각' 숨은 함정 찾기

Finding Hidden Traps in 'Main Idea' Reading Questions


핵심 어휘 (Key Vocabulary)

무심코 (Without thinking / Carelessly)

의미: 어떤 의도나 목적 없이 그냥 자연스럽게, 또는 부주의하게.

활용: "그는 무심코 던진 한마디가 상대방에게 큰 상처가 될 줄 몰랐다."

간과하다 (To overlook / To neglect)

의미: 마땅히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그냥 넘겨 버리다.

활용: "우리는 일상에서 소중한 것을 간과하며 살 때가 많다."


핵심 문법 (Key Grammar)

-(으)ㄹ 필요가 있다/없다 (-eul piryoga itda/eopda: To need to / Not to need to)

의미: 어떤 행동이나 상황이 필요한지, 필요하지 않은지를 나타냅니다.

활용: "건강을 위해서 꾸준히 운동할 필요가 있다."

-(으)ㄴ/는 만큼 (-eun/neun mankeum: As much as / To the extent that)

의미: 앞선 내용과 같은 정도나 분량을 나타냅니다. 비례 관계를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활용: "노력하는 만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오늘의 목표는 TOPIK 읽기 영역에서 글쓴이의 주장이나 중심 생각이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함정 문제를 분석하고 극복하는 것입니다. 함정 문제는 지문의 특정 정보만을 이용하거나, 글의 일부 내용과만 일치하는 선택지를 제시하여 수험생을 혼란스럽게 만듭니다. 우리는 글의 전반적인 맥락과 글쓴이가 궁극적으로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파악하는 연습을 할 것입니다.

Today's goal is to analyze and overcome trap questions in the TOPIK Reading section where the author's argument or main idea is not explicitly stated. These trap questions confuse test-takers by using only specific information from the text or presenting options that only match a part of the content. We will practice identifying the overall context and the ultimate message the author intends to convey.


세트 1. 다음 글의 중심 생각을 고르십시오.

환경 보호에 대한 중요성은 누구나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환경 보호를 위한 작은 실천을 간과하고 있다. 개인 컵 사용, 플라스틱 빨대 거절, 장바구니 이용 등은 결코 어렵지 않은 행동들이다. 이러한 작은 노력들이 모여야만 비로소 큰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환경 보호는 거창한 캠페인이나 정부 정책에만 의존할 문제가 아니다. 우리 모두의 책임이자 의무이다.

  • ① 정부의 환경 정책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 ② 환경 보호를 위한 대규모 캠페인이 필요하다.
  • ③ 사람들은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 ④ 작은 실천이 환경 보호에 큰 영향을 미친다.
  • ⑤ 환경 보호는 일부 전문가의 책임이다.

정답: ④ 작은 실천이 환경 보호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해설 및 분석: 이 글은 환경 보호가 중요하다고 말하며, 그 방법으로 '개인 컵 사용, 플라스틱 빨대 거절'과 같은 작은 실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결코 어렵지 않은 행동들', '작은 노력들이 모여야 큰 변화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표현을 통해 글의 중심 생각을 분명히 알 수 있습니다. 1번, 2번은 정부 정책이나 대규모 캠페인에 초점을 맞춰 글의 일부 내용만 언급한 함정입니다.

Solution & Analysis: This passage states that environmental protection is important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mall actions like 'using a personal cup' and 'refusing plastic straws.' The expressions 'actions that are by no means difficult' and 'only when these small efforts gather can a big change be made' clearly reveal the main idea. Options 1 and 2 are traps that focus only on government policies or large-scale campaigns, which are only a part of the text.

함정 포인트 (Trap Point): 글의 초반부에서 '정부 정책'이나 '캠페인' 같은 특정 단어를 언급하여 그것이 정답인 것처럼 보이게 합니다. 하지만 글의 후반부에서 '정부 정책에만 의존할 문제가 아니다', '우리 모두의 책임'이라고 반박하며, 글쓴이의 실제 주장은 '작은 실천'에 있음을 보여줍니다. 즉, 앞부분의 부분적 내용에 속지 않고 전체 흐름을 파악해야 합니다.

The trap makes you think specific words like 'government policy' or 'campaign' are the correct answer by mentioning them at the beginning of the passage. However, the author refutes this in the latter half, saying it's 'not a problem to rely only on government policy' and 'it's everyone's responsibility,' showing that the actual argument is about 'small actions.' In other words, you must grasp the overall flow and not fall for partial content in the beginning.


세트 2.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우리는 흔히 행복을 찾기 위해 먼 곳으로 떠나거나 특별한 이벤트를 계획하곤 한다. 하지만 진정한 행복은 오히려 아주 가까운 곳에 있다. 무심코 지나쳤던 아름다운 풍경, 사랑하는 사람과의 따뜻한 대화, 맛있는 음식을 먹는 순간 등이 바로 행복이다. 행복은 찾으려 노력하는 만큼 더 멀어지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이제는 특별한 행복을 좇기보다, 일상 속 작은 행복을 소중하게 여길 필요가 있다.

  • ① 행복을 찾기 위해 여행을 떠나야 한다.
  • ② 행복은 노력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 ③ 행복은 특별한 이벤트에서만 찾을 수 있다.
  • ④ 일상 속 작은 것에서 행복을 찾아야 한다.
  • ⑤ 행복은 항상 우리와 함께하고 있다.

정답: ④ 일상 속 작은 것에서 행복을 찾아야 한다.

해설 및 분석: 글은 '행복을 찾기 위해 먼 곳으로 떠난다'는 일반적인 생각으로 시작하지만, 바로 '하지만'이라는 역접 접속사를 사용하여 행복이 '아주 가까운 곳에' 있다고 주장합니다. '무심코 지나쳤던 아름다운 풍경'과 같은 예시를 통해 일상 속의 행복을 설명하고, '일상 속 작은 행복을 소중하게 여길 필요가 있다'라는 결론으로 글의 주제를 명확히 제시하고 있습니다.

Solution & Analysis: The passage begins with the common idea that 'people travel far to find happiness' but immediately uses the reversal conjunction '하지만 (however)' to argue that happiness is 'in a very close place'. It explains happiness in daily life through examples like 'a beautiful landscape we carelessly passed by' and concludes by stating the need to 'cherish small happiness in daily life,' clearly presenting the main theme of the text.

함정 포인트 (Trap Point): 글의 도입부만 읽고 1번과 같은 일반적인 통념을 정답으로 착각하게 만듭니다. '하지만', '오히려'와 같은 역접 접속사 뒤에 글쓴이의 진짜 의도가 숨어 있다는 점을 항상 기억해야 합니다. 이러한 접속사들을 간과하는 순간 오답의 함정에 빠지게 됩니다.

This trap makes you mistake a common misconception like option 1 for the correct answer by only reading the introduction. You must always remember that the author's true intention is hidden after reversal conjunctions like '하지만' (however) or '오히려' (rather). The moment you overlook these conjunctions, you fall into the trap of an incorrect answer.


세트 3. 다음 글의 중심 생각을 고르십시오.

성공하기 위해서는 뛰어난 재능이나 운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물론 그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꾸준한 노력이다. 세계적인 피겨 스케이팅 선수 김연아는 "재능만으로는 안 된다. 끊임없는 훈련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많은 위인들의 삶을 살펴보면, 그들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탁월한 재능 때문이 아니라 포기하지 않는 끈기와 성실함 때문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① 성공하기 위해서는 운이 좋아야 한다.
  • ② 뛰어난 재능은 성공의 필수 조건이다.
  • ③ 위인들은 재능보다 운이 더 좋았다.
  • ④ 재능이나 운보다는 꾸준한 노력이 중요하다.
  • ⑤ 성공한 사람들은 포기하지 않는 끈기가 있다.

정답: ④ 재능이나 운보다는 꾸준한 노력이 중요하다.

해설 및 분석: 글은 '재능이나 운'이라는 일반적인 생각을 제시한 후, '하지만'이라는 접속사로 논점을 전환합니다. 이어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이 꾸준한 노력이다'라고 명확하게 주제를 밝히고, 김연아 선수와 위인들의 사례를 들어 그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5번은 맞는 내용이지만, 글의 전체적인 '중심 생각'을 담고 있기보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세부적인 내용에 가깝습니다.

Solution & Analysis: The passage introduces the common idea of 'talent or luck' and then shifts the focus with the conjunction '하지만' (but). It then clearly states the main idea that 'what is more important is consistent effort' and supports this claim with examples of Kim Yuna and other great people. While option 5 is a correct statement, it is closer to a detailed supporting point rather than the overall 'main idea' of the text.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주장'과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혼동하게 만드는 함정입니다. 5번 선택지는 지문에 나온 정확한 내용('포기하지 않는 끈기')이지만, 이것이 글의 핵심 주장이라기보다는 '꾸준한 노력'이라는 중심 생각을 뒷받침하는 예시 중 하나입니다. 지문에 언급된 내용이라고 해서 모두 중심 생각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This trap confuses 'the main argument' with 'the evidence supporting the argument.' Option 5 contains accurate information mentioned in the text ('persistence without giving up'), but it's one of the examples that support the main idea of 'consistent effort,' not the core argument itself. Just because something is mentioned in the text does not mean it is the main idea.


#TOPIK #토픽 #한국어읽기 #중심생각 #함정문제 #TOPIK읽기 #ReadingStrategy #MainIdea #KoreanReading #TOPIKTips #KoreanStudy #TOPIKPrep #Korean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