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 독해 Fast Track💡 시리즈 1편
그러나, 하지만, 그렇지만
intermediate - advanced

TOPIK 독해, 긴 지문을 보며 한숨부터 나오시죠?
Taking a deep breath at the long TOPIK reading passages, aren't you?
하지만 모든 문장을 다 읽지 않아도 정답을 찾는 치트키가 있습니다. 바로 ‘접속부사’를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However, there's a cheat key to find the answer without reading every single sentence. It's the method of using 'connecting adverbs'.
오늘 그 첫 번째 시간으로, 반전의 신호를 알리는 3가지 접속부사에 대해 알아볼게요.
Today, for our first lesson, we'll learn about three connecting adverbs that signal a reversal.
1. 잊지 마세요! ‘그러나, 하지만, 그렇지만’
1. Don't Forget! ‘그러나, 하지만, 그렇지만’
이 세 단어는 모두 앞에 나온 내용과 반대되거나 다른 내용이 뒤에 이어질 때 사용됩니다.
These three words are all used when the content that follows is the opposite of or different from what was stated before.
TOPIK 시험에서는 이 단어들 뒤에 글쓴이의 진짜 주장이나 핵심 생각이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In the TOPIK exam, the author's real argument or core idea often appears after these words.
그러나 (geu-reo-na)
발음: 그로나 [그로나]
격식적이거나 딱딱한 글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신문 기사, 학술 지문 등)
It is mainly used in formal or rigid writing (e.g., newspaper articles, academic passages).
하지만 (ha-ji-man)
발음: 하지만 [하지만]
‘그러나’보다 부드럽고 일반적인 대화나 글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It is softer than '그러나' and is frequently used in general conversation or writing.
그렇지만 (geu-reot-ji-man)
발음: 그러치만 [그러치만]
앞에 나온 상황이나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다른 의견을 제시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It is mainly used when acknowledging a previous situation or fact but then presenting a different opinion.
이 세 단어를 발견하는 순간, 앞 문장은 가볍게 넘어가고 뒤 문장에 집중하세요.
The moment you find these three words, lightly skip the previous sentence and focus on the one that follows.
2. 실전 연습! 이 단어들만 찾아보세요
2. Practice! Find Only These Words
아래 지문을 읽고, ‘그러나, 하지만, 그렇지만’을 빠르게 찾아보세요. 그리고 그 뒤에 어떤 내용이 오는지 확인하며 핵심을 파악하는 연습을 해봅시다.
Read the passages below and quickly find ‘그러나, 하지만, 그렇지만’. Let’s practice grasping the core idea by checking what content comes after them.
📚 독해 지문 1📚 Reading Passage 1
최근 스마트폰 사용량이 늘면서 전자책을 읽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전자책은 종이책보다 가볍고, 언제 어디서든 읽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여전히 종이책의 질감과 넘기는 소리, 그리고 손으로 직접 필기하는 것을 선호한다. 전문가들은 종이책이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넘어, 독서의 즐거움을 준다고 강조한다.
Recently, as smartphone usage has increased, many people are reading e-books. E-book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lighter than paper books and can be read anytime, anywhere. However, many people still prefer the texture and sound of turning pages of a paper book, and writing directly by hand. Experts emphasize that paper books go beyond simply conveying information and provide the joy of reading.
핵심 파악: 지문의 진짜 주장은 무엇일까요? ‘하지만’ 뒤에 나오는 내용, 즉 종이책이 주는 즐거움이 이 지문의 핵심입니다.
Core Comprehension: What is the true main point of the passage? The content after ‘하지만’, which is the joy that paper books provide, is the core of this passage.
📚 독해 지문 2📚 Reading Passage 2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많은 정보가 있으면 더 좋은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너무 많은 정보는 오히려 혼란을 초래하여 올바른 판단을 방해할 수 있다. 오히려 꼭 필요한 정보만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People generally think that they can make better decisions if they have a lot of information. However, too much information can actually cause confusion and hinder proper judgment. It is more efficient to selectively use only the necessary information.
핵심 파악: 이 글의 주제는 무엇일까요? ‘그러나’ 뒤에 나오는 ‘너무 많은 정보는 좋지 않다’는 내용이 바로 핵심입니다.
Core Comprehension: What is the topic of this text? The content that comes after ‘그러나’, which is ‘too much information is not good’, is the very core idea.
📚 독해 지문 3📚 Reading Passage 3
이 회사는 직원들의 복지 향상을 위해 다양한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자유로운 출퇴근 시간을 보장하고, 휴가를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했다. 그렇지만, 과도한 업무량으로 인해 직원들이 이러한 제도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직원 만족도를 높이려면 업무량 조절이 가장 중요하다.
This company is implementing various systems to improve employee welfare. It guarantees flexible working hours and allows employees to take leave freely. Nonetheless, an issue has arisen where employees cannot fully utilize these systems due to an excessive workload. To increase employee satisfaction, controlling the workload is most important.
핵심 파악: 지문이 말하고자 하는 진짜 문제는? ‘그렇지만’ 뒤에 나오는 ‘과도한 업무량’이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Core Comprehension: What is the real problem the passage is trying to convey? You can see that ‘the excessive workload’ that appears after ‘그렇지만’ is the most important problem to solve.
3. 복습 및 다음 예고
3. Review and Next Preview
오늘 배운 ‘그러나, 하지만, 그렇지만’은 TOPIK 독해의 핵심 문장을 찾을 수 있는 강력한 무기입니다.
The words ‘그러나, 하지만, 그렇지만’ that we learned today are powerful weapons for finding the key sentences in TOPIK reading.
긴 지문을 볼 때 이 단어들을 놓치지 마세요.
Don't miss these words when you see a long passage.
다음 2편에서는 범위와 예외를 나타내는 접속부사 ‘단지, 다만’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더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In the next part, we'll give you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how to use the connecting adverbs ‘단지, 다만’ which indicate scope and exceptions.
TOPIK 독해 만점을 향해 함께 달려가 봅시다! 💪
Let's run toward a perfect score on TOPIK Reading together! 💪
연습 문제
Practice Question
다음 문장의 빈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접속부사를 고르세요.
Choose the most appropriate connecting adverb for the blank in the following sentence.
"이 식당은 맛있는 음식으로 유명하다. (_______ ) 가격이 비싸서 자주 오기는 어렵다."
"This restaurant is famous for its delicious food. (_____ ) The prices are expensive, so it's difficult to come often."
a) 그리고 (and)
b) 그래서 (so)
c) 그러나 (however)
d) 즉 (that is)
정답: c) 그러나 (그러나, 하지만, 그렇지만 모두 가능)
Answer: c) 그러나 (그러나, 하지만, and 그렇지만 are all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