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coming TOPIK Traps 30-Day Project(12) : 빈칸의 함정! Reading - Solving 'Fill-in-the-Blank'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12일차) | Overcoming TOPIK Traps 30-Day Plan (Day 12)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Overcoming TOPIK Traps 30-Day Plan

12일차: 읽기 '빈칸 채우기' 맥락 부비트랩 해결

Day 12: Reading - Solving 'Fill-in-the-Blank' Context Traps

선행 학습: 핵심 어휘 및 문법

Pre-learning: Core Vocabulary and Grammar

가치관 (Noun)

의미: 개인이 옳고 그름, 좋고 나쁨 등을 판단하는 데 기준이 되는 가치에 대한 견해나 태도.

Meaning: A person's perspective or attitude towards values that serves as a standard for judging right and wrong, good and bad.

예문:

1. 세대마다 가치관이 달라서 갈등이 생기기도 한다.
(The difference in values between generations can cause conflict.)

2. 돈이 인생의 전부라는 가치관은 위험하다.
(The belief that money is everything in life is dangerous.)

고수하다 (Verb)

의미: 본래의 상태나 방침, 의견 등을 변함없이 지키다.

Meaning: To stick to or adhere to one's original state, policy, or opinion without changing.

예문:

1. 그는 자신의 처음 주장을 끝까지 고수했다.
(He stuck to his initial argument to the end.)

2. 아무리 힘들어도 기본 원칙을 고수해야 한다.
(No matter how difficult, you must adhere to the basic principles.)

~으로써 (Grammar)

의미: 어떤 도구나 수단, 또는 어떤 자격이나 신분임을 나타내는 조사.

Meaning: A postpositional particle indicating a tool, means, or a qualification/status.

예문:

1. 노력으로써 어려움을 극복했다.
(I overcame the difficulties by means of effort.)

2. 학생으로서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As a student, you must study hard.)

선행 학습: 연습 문제

Pre-learning: Practice Questions

1. 빈칸에 알맞은 단어나 문법을 고르시오.

A: 그 사람은 회사의 전통을 ____하려고 하지 않아요.

B: 맞아요. 새로운 방식을 도입해야 하는데 말이죠.

(① 고수, ② 고집, ③ 고수하다, ④ 고집하다)

2. 빈칸에 알맞은 문법을 완성하시오.

개인적인 경험____ 이 문제는 이렇게 해결할 수 있어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정답: 개인적인 경험으로써)

빈칸의 부비트랩

오늘은 TOPIK 읽기 영역의 고난도 유형 중 하나인 빈칸 채우기 문제를 공략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이 유형은 단순한 단어의 의미나 문법적 연결을 묻는 것이 아니라, 빈칸 앞뒤 문장뿐만 아니라 전체 문맥을 읽어내야만 해결되는 고난도 함정 문제입니다. 단편적인 정보에 갇히지 않고 글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연습을 통해 함정을 극복해 봅시다.

Today, we will learn how to tackle one of the most challenging question types in the TOPIK Reading section: fill-in-the-blank questions. This type of question is not about simpl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a word or grammatical connection, but about solving high-level trap questions by reading the entire context, not just the sentences before and after the blank. Let's practice overcoming these traps by grasping the overall flow of the text rather than getting stuck on fragmentary information.

세트 1: 실전 문제 및 분석

문제

우리 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기술 발전으로 인해 삶의 방식이 달라지고, 새로운 가치관이 등장하면서 세대 간의 갈등은 더욱 깊어지고 있다. 특히 디지털 기술에 익숙한 젊은 세대와 전통적인 가치관을 중시하는 기성세대 사이의 격차는 여러 사회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갈등을 회피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소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각 세대가 가진 고유한 경험과 지혜를 존중하며, (__________________)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야 한다.

①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고집해야만

② 갈등을 피하고 각자의 삶을 살아야만

③ 서로에게 공감하고 함께 협력함으로써

④ 기존의 방식을 고수하여 갈등을 최소화함으로써

정답: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선택지 ①과 ④는 지문에서 언급된 '전통적인 가치관', '기존의 방식'과 같은 단어를 사용하여 그럴듯하게 보이지만, 지문의 전체적인 흐름인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소통하려는 노력'과 반대되는 내용입니다. 빈칸 앞 문장인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소통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맥을 통해 빈칸에 들어갈 내용은 '이해'와 '소통'에 관련된 긍정적인 내용임을 파악해야 합니다. 이처럼 빈칸의 전후 문장과 더불어 지문 전체의 논리적 흐름을 읽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Options ① and ④ use words like 'traditional values' and 'existing ways' mentioned in the text, making them seem plausible. However, they contradict the overall flow of the text, which emphasizes 'the effort to understand each other's positions and communicate.' By understanding the preceding sentence, 'the effort to understand each other's positions and communicate is necessary,' you can deduce that the blank requires a positive statement related to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It is crucial to read the logical flow of the entire text, not just the sentences before and after the blank.

세트 2: 실전 문제 및 분석

문제

환경 보호를 위한 개인의 노력은 중요하다.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분리수거를 철저히 하는 등 작은 실천들이 모여 큰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환경 문제는 국가적인 정책과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함께 이루어져야만 근본적인 해결이 가능하다. 따라서 진정한 변화는 개개인의 의식 변화뿐만 아니라 (_______________) 발생할 수 있다.

① 개인의 노력을 사회적으로 강제함으로써

② 더 많은 사람들이 개인적인 실천을 할 때

③ 정부와 기업이 책임감을 가지고 행동할 때

④ 개인의 노력이 불필요함을 인정함으로써

정답:

함정 포인트 (Trap Point):

빈칸 앞 문장의 '하지만'은 글의 흐름이 반전됨을 알리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앞서 개인의 노력이 중요하다고 했지만, '하지만 이러한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말하면서 글의 중심이 개인의 노력에서 다른 요소로 옮겨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문은 '국가적인 정책과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를 강조하고 있으므로, 빈칸에는 이에 해당하는 내용이 들어가야 합니다. 선택지 ②는 '개인의 노력'을 다시 언급하므로 함정입니다. 이처럼 '하지만', '그러나'와 같은 역접 접속사를 통해 글의 논리적 전환점을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The word '하지만' (but) at the beginning of the sentence before the blank is a crucial signal that the flow of the text is shifting. Although the text firs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effort, it then states 'However, there is a limit to such individual effort alone,' indicating that the focus is moving from individual actions to other factors. The passage stresses 'national policies and active participation from corporations,' so the blank must be filled with content that corresponds to this. Option ② is a trap because it reverts to 'individual effort.' It is essential to accurately identify the logical turning point of the text through contrastive conjunctions like '하지만' (but) or '그러나' (however).

세트 3: 실전 문제 및 분석

문제

기술이 발전하면서 우리는 더 많은 정보를 더 빠르게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덕분에 현대인들은 과거보다 훨씬 풍요로운 삶을 누리는 듯하다. 그러나 정보의 양이 많아질수록 필요한 정보와 그렇지 않은 정보를 구분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졌다. 이는 불필요한 정보에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게 만들고, 결국 정보의 홍수 속에서 길을 잃게 만든다. 따라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단순히 많은 정보를 얻는 것보다 (_________________) 능력을 길러야 한다.

① 정보를 빨리 찾아내는

② 정보를 더 많이 저장하는

③ 올바른 정보를 선택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④ 정보를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는

정답:

함정 포인트 (Trap Point):

이 문제는 빈칸 앞 문장인 '불필요한 정보에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게 만들고, 결국 정보의 홍수 속에서 길을 잃게 만든다'는 부정적인 결과를 통해 해결의 방향을 유추하게 만듭니다. '정보의 홍수 속에서 길을 잃지 않기 위해' 필요한 능력이 무엇인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선택지 ①과 ②는 지문의 초반부 내용인 '정보를 더 빠르게, 더 많이 얻는다'와 관련되어 있어 함정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글의 핵심은 '정보의 양이 많아진 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므로, ③번과 같이 정보를 '선택하고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능력이 정답이 됩니다. 이처럼 지문의 문제점-해결책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his question is solved by inferring the direction of the solution from the negative consequence mentioned in the preceding sentence: 'wastes time and energy on unnecessary information, ultimately leading to getting lost in a flood of information.' You must consider what ability is needed to 'avoid getting lost in a flood of information.' Options ① and ② may seem like traps because they relate to the initial part of the text, 'obtaining information faster and in greater quantity.' However, the core of the passage is to point out the 'problems that arise after the quantity of information increases' and to propose a solution. Therefore, the ability to 'select and critically analyze' information, as stated in option ③, is the correct answer. Identifying the problem-solution structure of the text is crucial in this case.


😜 하루 5분만 투자하면 한국어는 더 이상 어렵지 않아요. 힘내요!
😜 Even just 5 minutes a day makes learning Korean easier. Let’s stay strong!

© superrealkorean, All rights reserved.

#TOPIK #한국어능력시험 #TOPIK읽기 #빈칸채우기 #TOPIK함정 #한국어공부 #KoreanReading #TOPIKExam #StudyKorean #KoreanLanguage #KoreanGrammar #TOPIK6급 #ReadingTrap #ReadingStrategy #TOPIKTips #토픽공부 #한국어문법 #한국어어휘 #TOPIK준비 #외국인한국어 #topiktest #koreanforbeginners #koreanforintermediate #koreanforadvanced #koreanalphab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