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coming TOPIK Traps 30-Day Project(13) : 문장 순서의 함정 _ Reading: Finding Clues for 'Sentence Order Arrangement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 TOPIK Trap-Breaking 30-Day Operation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TOPIK Trap-Breaking 30-Day Operation
TOPIK 시험 문제와 돋보기를 통해 문장 배열의 힌트를 찾는 모습

13일차: 읽기 영역
'문장 순서 배열' 힌트 찾기

Day 13: Reading: Finding Clues for 'Sentence Order Arrangement'

TOPIK 읽기 영역에서 가장 많은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문제 유형 중 하나가 바로 ‘문장 순서 배열’입니다. 이 문제는 단순히 각 문장의 의미를 아는 것을 넘어, 문장 간의 논리적 흐름과 연결 관계를 정확히 파악해야만 정답을 맞힐 수 있습니다. 특히, 지문 전체의 맥락을 파악하지 않고 특정 단어만 보고 순서를 정하려다가 함정에 빠지기 쉽습니다.

One of the most challenging question types for many learners in the TOPIK Reading section is 'sentence arrangement'. This type of question requires not just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each sentence, but also accurately grasping the logical flow and connections between them. It's easy to fall into a trap by focusing on specific words without understanding the overall context of the passage.


오늘 학습에서는 문장 순서 배열 문제의 숨겨진 힌트를 찾는 방법을 집중적으로 훈련합니다.

In today's lesson, we will intensively train on how to find the hidden clues in sentence arrangement problems.


📌 실전 문제 풀이 (Actual Problem Solving)

[세트 1] 다음 글을 순서에 맞게 배열한 것을 고르십시오.

(가) 이처럼 식물을 키우는 것은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나) 많은 사람이 집에서 반려 식물을 기르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다) 식물이 자라는 과정을 지켜보며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때문이다.

(라) 이는 혼자 사는 가구가 늘어나면서 정서적인 교감을 얻기 위함으로 볼 수 있다.

  1. (나)-(라)-(다)-(가)
  2. (라)-(나)-(다)-(가)
  3. (다)-(가)-(나)-(라)
  4. (나)-(다)-(라)-(가)

정답: 1번 (나)-(라)-(다)-(가)

함정 포인트: '이처럼'에 속지 마세요.

'이처럼'은 앞선 내용을 요약하거나 정리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처럼'이 포함된 문장 (가)가 가장 마지막에 와야 함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문장들의 논리적 연결을 먼저 찾은 후, (가)를 마지막으로 배치하면 쉽게 정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Trap Point: Don't get fooled by '이처럼' (in this way).

'이처럼' is used to summarize or conclude the preceding content. Therefore, it is crucial to recognize that sentence (가), which includes '이처럼', must come last. By first finding the 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 other sentences and then placing (가) at the end, you can easily find the correct answer.


[세트 2] 다음 글을 순서에 맞게 배열한 것을 고르십시오.

(가)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아직 보완할 점이 많아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다.

(나) 따라서 인공지능이 인간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다) 인공지능(AI) 기술이 발전하면서 인간의 업무를 대신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라) 예를 들어, 단순 반복적인 사무 작업이나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AI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1. (다)-(라)-(가)-(나)
  2. (라)-(다)-(가)-(나)
  3. (다)-(나)-(가)-(라)
  4. (나)-(가)-(라)-(다)

정답: 1번 (다)-(라)-(가)-(나)

함정 포인트: 역접 접속사 '하지만'과 인과관계 '따라서'의 역할.

'하지만'은 글의 흐름을 전환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다)와 (라)가 AI의 발전이라는 긍정적인 측면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하지만'이 이 흐름을 반전시켜 문제점을 제시하는 (가)가 뒤따라야 합니다. 그리고 그 문제점 때문에 '따라서'라는 결론을 이끌어내는 (나)가 마지막에 와야 자연스러운 흐름이 됩니다.

Trap Point: The roles of the adversative conjunction '하지만' (but) and the causal conjunction '따라서' (therefore).

'하지만' plays a key role in changing the flow of the text. Since (다) and (라) describe the positive aspects of AI development, '하지만' must be followed by sentence (가), which reverses this flow to present a problem. The sentence (나) must then come last, as it draws a conclusion with '따라서' based on the problem mentioned in (가).


[세트 3] 다음 글을 순서에 맞게 배열한 것을 고르십시오.

(가) 그것은 바로 한글의 창제 원리가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라는 점이다.

(나) 이처럼 한글은 배우기 쉬울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 뛰어난 가치를 지닌 문자이다.

(다)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 가장 먼저 놀라는 것이 있다.

(라) 덕분에 한글은 짧은 시간 안에 익힐 수 있어 한국어 학습의 진입 장벽을 낮춘다.

  1. (다)-(가)-(라)-(나)
  2. (가)-(다)-(라)-(나)
  3. (다)-(라)-(가)-(나)
  4. (가)-(나)-(라)-(다)

정답: 1번 (다)-(가)-(라)-(나)

함정 포인트: 지시 대명사 '그것'이 가리키는 대상을 찾아라!

지시 대명사 '그것'은 앞서 언급된 특정한 내용을 다시 가리킵니다. 문장 (다)에서 언급된 '가장 먼저 놀라는 것'이 바로 (가)의 '한글의 창제 원리가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라는 점'을 가리킵니다. 이 연결고리를 먼저 찾아 (다)-(가)의 순서를 확정하면 문제를 쉽게 풀 수 있습니다.

Trap Point: Find the antecedent of the demonstrative pronoun '그것' (that)!

The demonstrative pronoun '그것' refers back to a specific piece of information mentioned earlier. The 'thing that most surprises' (가장 먼저 놀라는 것) mentioned in sentence (다) is precisely what '그것' in sentence (가) refers to: 'the fact that the creative principles of Hangul are scientific and systematic'. By first finding this link and confirming the order (다)-(가), you can solve the problem easily.


[세트 4] 다음 글을 순서에 맞게 배열한 것을 고르십시오.

(가) 그러나 이는 오히려 고객의 선택을 방해하고 피로감을 높일 수 있다.

(나) 최근에는 신제품이 출시될 때마다 다양한 종류로 세분화되어 나온다.

(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경우 화면 크기, 색상, 저장 용량 등을 세분화하여 여러 모델로 출시된다.

(라) 이처럼 제품의 세분화는 기업 입장에서는 판매 전략이 될 수 있다.

  1. (나)-(다)-(라)-(가)
  2. (라)-(나)-(다)-(가)
  3. (가)-(다)-(나)-(라)
  4. (다)-(가)-(나)-(라)

정답: 1번 (나)-(다)-(라)-(가)

함정 포인트: '예를 들어'와 '이처럼'의 역할.

'예를 들어'는 앞 문장의 일반적인 진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따라서 (나)의 '다양한 종류로 세분화'라는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인 (다)가 바로 뒤에 와야 합니다. '이처럼'은 앞의 내용을 요약하고 다른 관점을 제시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합니다. 즉, (나)-(다)에서 설명한 제품 세분화의 긍정적 측면을 정리하는 (라)가 그 뒤에 오고, 그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는 (가)가 마지막에 와야 합니다.

Trap Point: The roles of '예를 들어' (for example) and '이처럼' (in this way).

'예를 들어' provides a specific example for a general statement in the preceding sentence. Thus, sentence (다), which gives a concrete example of the 'diversification into various types' mentioned in (나), must follow immediately. '이처럼' serves as a link that summarizes the preceding content and presents another perspective. Therefore, (라), which summarizes the positive aspect of product diversification described in (나)-(다), must come after them, and (가), which presents a problem with that, should be the final sentence.


[세트 5] 다음 글을 순서에 맞게 배열한 것을 고르십시오.

(가) 그것은 바로 '마음챙김 명상'이다.

(나)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이 스트레스와 불안을 겪는다.

(다) 마음챙김 명상은 현재의 순간에 집중하여 불안감을 줄이고 심리적 안정을 가져온다.

(라) 따라서 심리적 안정을 찾는 사람들이 늘면서 새로운 해결책이 주목받고 있다.

  1. (나)-(라)-(가)-(다)
  2. (라)-(가)-(다)-(나)
  3. (나)-(가)-(라)-(다)
  4. (가)-(다)-(나)-(라)

정답: 1번 (나)-(라)-(가)-(다)

함정 포인트: '따라서'의 결론과 '그것은'의 지시 관계.

먼저 (나)에서 '스트레스와 불안'이라는 문제 상황을 제시합니다. 이 문제 때문에 '따라서'라는 인과 관계를 통해 '새로운 해결책'이 주목받는다는 (라)가 이어져야 자연스럽습니다. 그리고 (라)의 '새로운 해결책'이 바로 (가)의 '마음챙김 명상'이므로 (가)가 뒤따르고, 마지막으로 (다)에서 그 명상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덧붙이는 구조가 됩니다.

Trap Point: The conclusion of '따라서' (therefore) and the referential relationship of '그것은' (it is).

First, sentence (나) presents the problem of 'stress and anxiety'. Due to this problem, it is natural for sentence (라) to follow with a causal link ('따라서'), stating that a 'new solution' is gaining attention. This 'new solution' in (라) is precisely what '그것은' in (가) refers to, namely 'mindfulness meditation', so (가) must follow. Finally, (다) adds a specific explanation about that meditation, completing the structure.


📚 핵심 어휘 (Core Vocabulary)

문장 순서 배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주요 어휘를 학습해 봅시다.

Let's learn the key vocabulary that helps in solving sentence arrangement problems.

논리적 [nolliseok] (Logical)

의미: 이치에 맞고 타당한. 글의 흐름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Meaning: Consistent with reason and valid. A crucial concept for understanding the flow of a text.

예시: 그 사람의 주장은 논리적이지 않아서 설득력이 없었다.

Example: His argument was not logical, so it was not convincing.

GO TO : 논리적인 대화의 힘을 길러주는 꿀팁!

순서 [sunseo] (Order, Sequence)

의미: 정해진 차례나 배열. 문제의 핵심 목표입니다.

Meaning: A pre-determined turn or arrangement. This is the main objective of the problem.

예시: 발표는 순서대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Example: The presentation will proceed in order.

지시어 [jisieo] (Demonstrative Word)

의미: 이것, 그것, 저것처럼 앞의 내용을 가리키는 말. 문장 간의 연결고리를 찾을 때 중요한 힌트가 됩니다.

Meaning: A word like 'this', 'that', 'that over there' which refers to preceding content. It serves as an important clue for finding the connection between sentences.

예시: "마이크 씨는 한국 문화를 좋아한다. 이것이 그가 한국어를 공부하는 이유다."

Example: "Mike likes Korean culture. This is the reason he is studying Korean."

📝 핵심 문법 (Core Grammar)

문장 간의 논리적 관계를 명확히 하는 문법 표현들을 익혀 봅시다.

Let's master the grammatical expressions that clarify the logical relationships between sentences.

~(으)로 인해 (Due to, Because of)

의미: 어떤 원인이나 이유로 인해 뒤에 오는 결과가 발생함을 나타냅니다.

Meaning: Indicates that a result occurs due to a certain cause or reason.

예시: 집중 호우로 인해 도로가 폐쇄되었다.

Example: The road was closed due to heavy rainfall.

~에 따르면 (According to)

의미: 다른 사람의 말이나 정보의 출처를 밝힐 때 사용합니다. 글의 시작이나 특정 주장의 근거를 제시할 때 자주 쓰입니다.

Meaning: Used to state the source of information or someone else's words. It is often used at the beginning of a text or when providing evidence for a specific claim.

예시: 전문가에 따르면 경제 상황이 곧 나아질 것이라고 합니다.

Example: According to experts, the economic situation will improve soon.

~기 때문에 (Because, Since)

의미: 뒤 문장의 원인이나 이유를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으)로 인해'보다 더 구어체적이고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Meaning: Used to explain the cause or reason for the following sentence. It is more colloquial and commonly used than '~(으)로 인해'.

예시: 날씨가 춥기 때문에 따뜻한 옷을 입어야 합니다.

Example: Because it's cold, you should wear warm clothes.


✅ 복습 및 연습문제 (Review & Practice Questions)

[문제 1] 다음 빈칸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표현을 고르십시오.

그들은 서로 다른 의견을 제시했지만, 결국 ____ 논쟁 끝에 합의점을 찾았다.

  1. 논리적
  2. 순서
  3. 지시어

정답: 1번 논리적

해설: 이 문맥에서는 '이치에 맞는' 논쟁을 통해 합의점을 찾았다는 의미가 가장 자연스럽습니다.

Answer: 1. 논리적

Explanation: In this context, the meaning that they found a point of agreement through a 'logical' argument is the most natural.

[문제 2] 다음 두 문장을 자연스럽게 연결할 때, 가장 알맞은 표현을 고르십시오.

새로운 정책이 시행되었다. ____ 사람들의 반응이 좋지 않다.

  1. ~에 따르면
  2. ~기 때문에
  3. 그러나

정답: 3번 그러나

해설: 새로운 정책이 시행된 것과 사람들의 반응이 좋지 않은 것은 서로 상반되는 내용입니다. 따라서 '그러나'와 같은 역접 접속사를 사용해야 자연스럽습니다.

Answer: 3. 그러나

Explanation: The fact that a new policy was implemented and that people's reactions are not good are contradictory. Therefore, using an adversative conjunction like '그러나' (but) is natural.

#토픽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문장순서 #문장배열 #논리 #지시어 #연결어 #한국어공부 #토픽공부

#TOPIK #KoreanTest #Reading #SentenceArrangement #LogicalFlow #Grammar #Vocabulary #StudyKorean #KoreanLanguageLearning

#टोपीक #कोरियनभाषा #पढ़ना #वाक्यक्रम #व्याकरण #शब्दावली #कोरियनसीखें #भाषासीखना #कोरियालीभाषापरीक्षा #अध्ययनकेटिप्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