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vercoming TOPIK Traps 30-Day Project(11) : 주제를 헷갈리게 하는 함정 Escaping the 'Off-Topic' Supplementary Information Trap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11일차) | TOPIK TRAP BREAKTHROUGH 30-DAY MISSION (Day 11)

TOPIK 함정 돌파 30일 작전 (11일차)

TOPIK TRAP BREAKTHROUGH 30-DAY MISSION (Day 11)
TOPIK 시험 함정 문제 유형을 분석하며 오답 노트를 작성하는 학습자의 이미지

읽기: '주제와 다른' 부가 정보 함정 탈출

Reading: Escaping the 'Off-Topic' Supplementary Information Trap

TOPIK 읽기 영역에서는 글의 핵심 주제를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 그러나 이 함정은 본문의 주제가 아닌 지엽적인 부가 정보를 정답처럼 보이게 유도합니다. 따라서 지문에 있는 내용이라고 해서 무조건 정답이 아니라는 것을 명심하고, 글의 전체적인 흐름과 요지를 파악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In the TOPIK reading section, questions often ask for the core theme of a text. This trap, however, lures you into choosing a supplementary, off-topic detail as the correct answer. Therefore, remember that just because a piece of information is in the passage, it is not necessarily the right answer. You need to practice grasping the overall flow and main point of the text.


실전 문제 풀이 (Practice Problems)

지문에서 핵심 주제와 부가 정보를 구분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한 실전 문제들을 풀어보겠습니다. 각 문제 아래에 해설과 함정 분석이 바로 이어집니다.
Let's solve some practical problems to develop the skill of distinguishing between the main theme and supplementary information in a passage. The solution and trap analysis will follow directly below each question.

세트 1 (Set 1)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십시오.

최근 한 회사에서 유연근무제를 도입하여 직원들의 만족도가 높아졌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출근 시간을 1시간 늦추거나, 주 4일 근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로 인해 직원들은 개인의 생활 패턴에 맞춰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었고, 여가 시간도 늘어났다. 회사는 생산성 향상과 함께 인재 유출을 막는 효과도 얻었다. 다만, 일부 부서에서는 업무 협의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도 발생했다.

① 유연근무제 도입에 따른 직원들의 불만
② 한 회사의 유연근무제 도입과 그 효과
③ 주 4일 근무제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④ 유연근무제 시행으로 인한 회사의 어려움
⑤ 개인의 생활 패턴에 따른 업무 효율성 변화

정답: ②

함정 포인트: '주제와 다른' 부가 정보 함정 (11일차)

이 문제는 지문에 언급된 부가 정보('일부 부서의 어려움')를 전체 주제로 오인하게 만드는 함정입니다. 지문은 유연근무제 도입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주로 이야기하고 있으며, '일부 부서의 어려움'은 단지 부가적인 정보입니다. 따라서 글의 핵심 내용을 포괄하는 ②번이 정답입니다.


Trap Point: 'Off-Topic' Supplementary Information Trap (Day 11)

This question is a trap designed to make you mistake a supplementary detail ('difficulties in some departments') for the main topic. The passage primarily discusses the positive effects of introducing a flexible work system, while the 'difficulties in some departments' is only supplementary information. Therefore, option ②, which encompasses the core content of the text, is the correct answer.


세트 2 (Set 2)

다음 글의 요지를 고르십시오.

분리수거는 환경 보호의 가장 기본적인 실천이다. 플라스틱을 재활용하면 매립지에 버려지는 쓰레기 양을 줄일 수 있고, 새로운 자원을 생산하기 위한 에너지 소비도 아낄 수 있다. 특히 지난해 분리수거를 통해 재활용된 플라스틱병은 약 10억 개에 달했다. 이러한 노력은 지구 온난화 방지에도 큰 도움이 된다. 분리수거는 우리 모두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중요한 활동이다.

① 지난해 재활용된 플라스틱병의 수치
② 플라스틱 재활용이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③ 분리수거를 통해 절감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
④ 환경 보호를 위한 가장 중요한 실천으로서의 분리수거
⑤ 재활용의 어려움과 그에 따른 문제점

정답: ④

함정 포인트: '주제와 다른' 부가 정보 함정 (11일차)

지문은 분리수거가 '가장 기본적인 실천'이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중요한 활동'이라고 강조하며, 분리수거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습니다. ①번과 ②번은 지문에 언급된 내용이지만, 글 전체의 핵심을 이루는 주제는 아닙니다. 즉, 세부적인 내용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분리수거의 중요성을 포괄하는 ④번이 정답입니다.


Trap Point: 'Off-Topic' Supplementary Information Trap (Day 11)

The passage emphasizes that recycling is the 'most fundamental practice' and an 'important activity we can all easily participate in for a sustainable future,' thereby stressing the importance of recycling. Options ① and ② are mentioned in the passage, but they are not the central theme of the entire text; they are merely supplementary details. Therefore, option ④, which encompasses the importance of recycling, is the correct answer.


세트 3 (Set 3)

다음 글의 내용과 같은 것을 고르십시오.

과학자들은 최근 심해 탐사 로봇 '바다누리호'를 이용해 해저 1,500m 지점에서 새로운 미생물 군집을 발견했다. 이 미생물들은 고온과 고압의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팀은 이 미생물들의 유전자를 분석하여 새로운 항생제 개발 가능성을 탐색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3년간 총 5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으며, 연구팀은 총 10명으로 구성되었다.

① 바다누리호는 항생제를 개발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② 새로운 미생물 군집은 고압의 환경에서만 생존한다.
③ 연구 예산은 50억 원으로 미생물 탐사에만 사용되었다.
④ 연구팀은 새로운 항생제 개발 가능성을 탐색할 것이다.
⑤ 미생물 군집은 해저 1,500m 지점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답: ④

함정 포인트: '지나친 일반화와 부가 정보' 함정 (11일차)

이 문제는 '고온과 고압의 극한 환경'을 '고압의 환경만'으로 축소하거나('지나친 일반화'), 지문에 언급된 '예산'이나 '연구팀 인원'과 같은 부가 정보를 정답으로 유도하는 함정입니다. ④번은 연구팀의 앞으로의 계획을 정확하게 서술하고 있어 내용과 일치합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일부 사실을 왜곡하거나 부가 정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Trap Point: 'Overgeneralization and Supplementary Information' Trap (Day 11)

This question is a trap that reduces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to 'high pressure only' ('overgeneralization'), or leads you to choose supplementary details like the 'budget' or 'number of researchers' as the answer. Option ④ accurately describes the research team's future plan, making it consistent with the content. The other options either distort some facts or focus solely on supplementary information.


핵심 어휘 (Core Vocabulary)

주제 (Main Topic)

글 전체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내용을 말합니다. 보통 첫 문장이나 마지막 문장에 명시적으로 제시되거나, 전체 맥락을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글의 핵심 생각입니다.
This refers to the central content of the entire text. It is the core idea of a passage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overall context, or it is sometimes explicitly stated in the first or last sentence.

예시 (Example)

이 글의 주제는 환경 보호의 중요성입니다.

The main topic of this article i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부가 정보 (Supplementary Information)

글의 주제를 뒷받침하거나 보충하는 데 쓰이는 세부적인 내용입니다. 주제와 혼동하기 쉽지만, 글의 핵심적인 목적은 아닙니다. 문제 풀이 시, 부가 정보에 현혹되지 않고 주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his refers to detailed content used to support or complement the main topic of a text. It is easy to confuse it with the main topic, but it is not the core purpose of the passage. When solving problems, it is important to grasp the main topic without being misled by supplementary details.

예시 (Example)

본문에는 다양한 부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만, 주제는 하나입니다.

The main text includes various supplementary information, but there is only one main topic.


핵심 문법 (Core Grammar)

-에 대해(서) (-e daehae(seo))

어떤 대상이나 주제를 가리키거나, 그것과 관련된 내용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
“명사 + 에 대해(서) + 동사/형용사” (About/regarding Noun)

This is used to refer to a certain subject or topic, or to talk about content related to it.
“Noun + e daehae(seo) + Verb/Adjective” (About/regarding Noun)

예시 (Example)

저희는 새로운 프로젝트에 대해서 논의했습니다.

We discussed about the new project.

-고 있다 (-go itda)

현재 어떤 동작이나 상태가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진행 중인 상황을 설명할 때 사용합니다.
“동사/형용사 + 고 있다” (Is/are Verb-ing)

This indicates that a certain action or state is currently ongoing. It is used to describe a situation that is in progress.
“Verb/Adjective + go itda” (Is/are Verb-ing)

예시 (Example)

사람들이 환경 보호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People are making effort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TOPIK #한국어능력시험 #TOPIK읽기 #한국어독해 #주제파악 #부가정보 #오답피하기 #TOPIKREADING #CORETHEME #SUPPLEMENTARYINFO #टॉपिक #कोरियाईभाषा #कोरियाईव्याकरण #कोरियाईपढ़ना #TOPIKटिप्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