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IK60_Day57 : 총정리: 영역별 핵심 전략 복습 _Critical tips
DAY 57
TOPIK 시험 전 최종 점검: 영역별 핵심 전략 복습
TOPIK 시험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지금까지 배운 모든 것을 총정리하고, 각 영역별로 가장 중요한 핵심 전략들을 복습하는 시간을 가질 때입니다. 이번 57일차에서는 듣기, 쓰기, 읽기 각 영역에서 고득점을 위해 반드시 기억해야 할 전략들을 다시 한번 살펴볼 것입니다. 여러분의 노력이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힘내세요!
The TOPIK exam is just around the corner. It's time to review everything you've learned so far and go over the most important core strategies for each section. In this Day 57, we will revisit the essential strategies you must remember to achieve high scores in listening, writing, and reading. Keep up the great work until the very end so all your efforts can bear fruit!
💡 오늘의 목표 / Today's Goals
듣기, 쓰기, 읽기 영역별 핵심 전략을 다시 확인하고 숙지하기.
Review and familiarize yourself with the core strategies for each of the listening, writing, and reading sections.
1. 듣기 영역 (Listening Section)
듣기 영역은 제한된 시간 안에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들리는 단어에 집중하기보다, 전체적인 흐름과 화자의 의도를 파악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In the listening section, it's crucial to grasp accurate information within a limited time. Rather than just focusing on individual words, practice understanding the overall flow and the speaker's intention.
핵심 전략 / Key Strategies
1. 미리 선택지 확인: 문제가 시작되기 전, 선택지를 빠르게 훑어보며 어떤 내용이 나올지 예측합니다. 이는 특히 Q1-Q30까지의 짧은 문제에서 효과적입니다.
1. Preview Choices: Before the question begins, quickly skim the answer choices to predict what content will appear. This is especially effective for short questions from Q1-Q30.
2. 핵심어/키워드 집중: 질문의 핵심 단어와 반복되는 키워드를 캐치하여 대화/지문의 주제를 파악합니다. 특히 인물, 장소, 시간, 이유 등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2. Focus on Core Words/Keywords: Catch the core words of the question and repeated keywords to identify the topic of the conversation/passage. Pay special attention not to miss people, places, times, or reasons.
3. 화자의 의도 파악: "왜 이 말을 했을까?", "어떤 감정으로 이야기할까?" 등 화자의 의도나 태도를 추론하는 연습을 합니다. 이는 뒤쪽의 긴 지문 문제에 특히 중요합니다.
3. Understand Speaker's Intention: Practice inferring the speaker's intention or attitude, such as "Why did they say this?" or "What emotion are they speaking with?"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longer passages towards the end of the test.
4. 오답 소거법: 헷갈리는 문제가 있다면, 확실히 틀린 선택지를 먼저 지워나가며 정답의 확률을 높입니다.
4. Elimination Method: If you're confused by a question, eliminate definitely wrong answer choices first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getting the correct answer.
예시 문장으로 연습하기 / Practice with Example Sentences
상황: 직장인 두 명이 점심 메뉴를 고르고 있습니다.
Situation: Two office workers are choosing a lunch menu.
오늘 점심 뭐 먹을까요? 저번에 갔던 그 한식집 어때요?
What should we eat for lunch today? How about that Korean restaurant we went to last time?
음... 오늘은 좀 다른 거 먹고 싶은데. 얼큰한 짬뽕이 당기네요.
Hmm... I want to eat something different today. Spicy Jjamppong sounds good.
문제: 그레이스가 먹고 싶어 하는 것은 무엇입니까?
Question: What does Grace want to eat?
- 한식 / Korean food
- 점심 / Lunch
- 짬뽕 / Jjamppong
- 다른 것 / Something different
정답: 3. (그레이스의 핵심어 '얼큰한 짬뽕'을 통해 바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Answer: 3. (You can find the answer immediately through Grace's keyword 'spicy Jjamppong'.)
2. 쓰기 영역 (Writing Section)
쓰기 영역은 논리적인 글쓰기 능력이 중요합니다. 문제 유형별 접근 방식을 명확히 하고, 자주 쓰는 표현과 문법을 완벽하게 익혀야 합니다.
The writing section emphasizes logical writing skills. You need to clearly define approach methods for each question type and thoroughly master frequently used expressions and grammar.
핵심 전략 / Key Strategies
1. Q51 (실용문): 편지, 공지, 안내문 등 주어진 상황에 맞춰 문맥에 맞는 자연스러운 문장으로 빈칸을 채워야 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과 높임말/반말 구분이 중요합니다.
1. Q51 (Practical Writing): Fill in the blanks with natural sentences appropriate to the context, such as letters, announcements, or notices. Commonly used everyday expressions and distinguishing between honorifics and plain speech are crucial.
2. Q52 (설명문): 빈칸의 앞뒤 문맥을 파악하여 논리적인 연결을 만들어야 합니다. 원인-결과, 대조, 예시 등의 관계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나 부사 사용이 중요합니다.
2. Q52 (Explanatory Writing): Understand the context before and after the blanks to create logical connections. The use of connecting endings or adverbs indicating relationships such as cause-effect, contrast, and example is important.
3. Q53 (그래프/표 설명): 제시된 그래프나 표의 정보를 정확하고 논리적으로 서술해야 합니다. 서론-본론(분석)-결론의 구조를 따르고, 변화 추이, 비교, 원인/결과, 전망 등을 나타내는 표현들을 활용합니다. (예: ‘-에 따르면’, ‘-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 비해’ 등)
3. Q53 (Graph/Table Description): Describe the information presented in the graph or table accurately and logically. Follow a introduction-main body (analysis)-conclusion structure, and utilize expressions that indicate trends, comparisons, causes/effects, and prospects (e.g., 'according to -', 'it was found that -', 'compared to -').
4. 문법/어휘 정확성: 정확한 문법과 적절한 어휘 사용이 고득점의 핵심입니다. 자주 틀리는 문법이나 헷갈리는 표현은 오답노트를 통해 확실히 익혀둡니다.
4. Grammar/Vocabulary Accuracy: Accurate grammar and appropriate vocabulary usage are key to high scores. Thoroughly learn frequently mistaken grammar points or confusing expressions through an error notebook.
⚠️ 주의사항 / Important Note
쓰기 영역은 반드시 시간 배분 연습을 해야 합니다. 특히 Q53은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미리 틀을 정해두고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For the writing section, you must practice time management. Q53, in particular, takes a long time, so it's important to set a template beforehand and practice.
3. 읽기 영역 (Reading Section)
읽기 영역은 방대한 지문을 빠른 시간 안에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요구합니다. 문제 유형별로 효과적인 독해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he reading section requires the ability to read and understand extensive passages quickly. It's crucial to apply effective reading strategies for each question type.
핵심 전략 / Key Strategies
1. 문제 유형별 독해: 빈칸 채우기, 순서 배열, 내용 일치/불일치, 주제 찾기 등 문제 유형에 따라 지문을 읽는 방식을 조절합니다. 예를 들어, 내용 일치 문제는 지문의 세부 정보를 빠르게 스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Reading by Question Type: Adjust how you read the passage according to the question type, such as fill-in-the-blank, sentence arrangement, content matching/mismatching, or finding the main topic. For example, for content matching questions, quickly scanning for detailed information in the passage is important.
2. 접속어/지시어 활용: ‘그러나’, ‘그래서’, ‘또한’, ‘이처럼’ 등 접속어와 ‘이것’, ‘그것’과 같은 지시어는 글의 흐름과 논리적 관계를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2. Utilize Conjunctions/Demonstratives: Conjunctions like '그러나 (however)', '그래서 (so)', '또한 (also)', '이처럼 (in this way)' and demonstratives like '이것 (this)', '그것 (that)' are very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flow of the text and logical relationships.
3. 속독과 정독의 조화: 전체 내용을 빠르게 훑어보는 속독을 통해 주제를 파악한 후, 정답과 관련된 부분은 정독하여 정확한 정보를 찾아냅니다.
3. Balance Skimming and Close Reading: Identify the topic by quickly skimming the entire content, then read closely the parts related to the answer to find accurate information.
4. 어휘력 강화: 듣기, 쓰기, 읽기 모든 영역에서 기본 어휘력은 필수입니다. 특히 다의어, 유의어, 반의어 등을 폭넓게 익혀두면 독해에 큰 도움이 됩니다.
4. Strengthen Vocabulary: Basic vocabulary is essential in all sections: listening, writing, and reading. Especially, knowing a wide range of polysemous words, synonyms, and antonyms greatly helps with reading comprehension.
💡 추가 팁 / Additional Tip
읽기 영역은 오답률이 높은 문제 유형(예: 순서 배열, 속담/관용어 문제)을 집중적으로 연습하여 약점을 보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For the reading section, it's important to focus on high error rate question types (e.g., sentence arrangement, proverbs/idioms) to compensate for weaknesses.
더 알아보기 / Learn More
- TOPIK 시험 오류 줄이고 고득점 정복하기 / TOPIK Tactics: Cut Errors & Conquer the Test
- TOPIK 쓰기 실력 향상을 위한 Q53: 그래프 제목/항목/수치 읽기 / TOPIK Writing Skills: Q53 Graph Title/Item/Value Reading
- TOPIK 쓰기 Q52, 어떻게 준비할까? / How to Prepare for TOPIK Writing Q52?
- TOPIK 쓰기 53번 그래프: 데이터 해설 & 표현 익히기 / TOPIK Writing Q53 Graph: Data Interpretation & Expression Learning
- TOPIK 고득점 위한 문장 패턴 / High-scoring Sentence Patterns for TOPIK
TOPIK 60일 코스 전체 과정표
일차 (Day) | 주제 (Topic) |
---|---|
1일차 | 챌린지 시작! 기본 단어 & 문법 ① |
2일차 | 첫 듣기 연습 & 기초 단어 복습 |
3일차 | Q51 맛보기 & 기본 문장 만들기 |
4일차 | 필수 단어 & 문법 ② |
5일차 | 듣기: 주제 파악 & 문법 복습 |
6일차 | Q52 맛보기 & 간단 연결 표현 (-고) |
7일차 | 핵심 단어 & 문법 ③ |
8일차 | 듣기: 세부 정보 & 누적 복습 |
9일차 | Q53: 그래프 제목/항목/수치 읽기 |
10일차 | 핵심 단어 & 문법 ④ |
11일차 | 듣기: 장소/시간 정보 & 단어 활용 복습 |
12일차 | Q51: 자연스러운 끝맺음 연습 |
13일차 | 핵심 단어 & 문법 ⑤ |
14일차 | 듣기: 이유/목적 파악 & 문법 활용 복습 |
15일차 | Q52: 빈칸 채우기 기초 (-아/어서) |
16일차 | 핵심 단어 & 문법 ⑥ |
17일차 | 듣기: 제안/권유 & 누적 복습 |
18일차 | Q53: 변화 추이 설명 ① (-아/어서) |
19일차 | 핵심 단어 & 문법 ⑦ |
20일차 | 듣기: 감정/상태 파악 & 단어 복습 |
21일차 | Q51 실전 연습 |
22일차 | 핵심 단어 & 문법 ⑧ |
23일차 | 듣기: 짧은 뉴스/공지 & 누적 복습 |
24일차 | Q52: 빈칸 채우기 ② (-기 때문에) |
25일차 | 핵심 단어 & 문법 ⑨ |
26일차 | 듣기: 간접적인 정보 & 단어/문법 활용 |
27일차 | Q53: 변화 추이 설명 ② (-았/었더니) |
28일차 | 핵심 단어 & 문법 ⑩ |
29일차 | 듣기: 어려운 표현 유추 & 누적 복습 |
30일차 | Q51/52 종합 연습 |
31일차 | 핵심 단어 & 문법 ⑪ (간접화법) |
32일차 | 듣기: 전체 내용 요약 & 단어 복습 |
33일차 | Q53: 비교 설명 (-에 비해, -와/과 달리) |
34일차 | 핵심 단어 & 문법 ⑫ |
35일차 | 듣기: 시사/사회 주제 맛보기 & 누적 복습 |
36일차 | Q52: 문맥 파악 & 알맞은 표현 넣기 |
37일차 | 핵심 단어 & 문법 ⑬ |
38일차 | 듣기: 의견/주장 파악 & 단어/문법 활용 |
39일차 | Q53: 원인/결과 설명 |
40일차 | 핵심 단어 & 문법 ⑭ |
41일차 | 듣기: 긴 지문 도전 & 누적 복습 |
42일차 | Q51/52 심화 연습 |
43일차 | 핵심 단어 & 문법 ⑮ |
44일차 | 듣기: 실전처럼 & 단어/문법 총정리 |
45일차 | Q53: 해결 방안/전망 제시 기초 |
46일차 | 누적 단어/문법 최종 점검 ① |
47일차 | 듣기 실전 모의고사 (짧게) |
48일차 | 쓰기: Q51/52 실전 모의 연습 |
49일차 | 누적 단어/문법 최종 점검 ② |
50일차 | 읽기 실전 연습 맛보기 (짧은 지문) |
51일차 | Q53 전체 쓰기 연습 ① (쉬운 주제) |
52일차 | 듣기/읽기 혼합 연습 |
53일차 | Q53 전체 쓰기 연습 ② (조금 더 어려운 주제) |
54일차 | 누적 단어/문법 오답 노트 복습 |
55일차 | 실전처럼: 듣기 + 읽기 (짧은 세트) |
56일차 | Q53 전체 쓰기 연습 ③ (실전처럼) |
57일차 | 총정리: 영역별 핵심 전략 복습 |
58일차 | 최종 모의고사 (듣기/읽기) - 시간 맞춰 풀기 |
59일차 | 최종 모의고사 (쓰기 Q51, 52, 53) - 시간 맞춰 풀기 |
60일차 | 시험 전 최종 점검 & 마인드 컨트롤 |
댓글
댓글 쓰기